시조집 편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가객의 출현

3. 청구영언(靑丘永言) ― 남파(南派) 김천택 시조집

4. 해동가요(海東歌謠) ― 노가재(老歌齋) 김수장의 시조집

5. 가곡원류(歌曲源流) ― 박효관·안민영의 시조집

6. 그 밖의 시조집

7. 정리하며

본문내용

곡조에 의해 분류 배열하였다. 고구려 을파소가 지었다는 것으로부터 조선시대 말기의 안민영, 박효관의 작품까지 수록되어 있다. 필사본은 이능우 소장본이 알려져 있다.
(5) 동가선
편자, 편찬 연대 미상의 가집으로, 235수의 시조가 수록된 조선시대 시조 선집이다. 작자 및 내용별로 분류해 순조 때 백경현이 엮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평조, 우조 등의 용어에 대한 간단한 해설을 서두에 붙였으며, 곡조 위주로 편차 했으면서도 아울러 주제별 구분을 각 작품에 표시해 두고 있다. 112명의 이름을 알 수 있는 작가의 시조는 대충 시대순을 따랐다.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본이 있으며, 이것이 동국대학교에서 낸 국어국문학 자료총서 제5집 '시조자료집성' 속에 포함되어 있다.
(6) 남훈태평가
편찬자, 편찬 연대, 판각 연대 미상의 조선 가곡집으로, 목판본 본문에 수록된 작품 가운데 숙종 때의 김유기, 김삼현, 김두성 등의 것이 있고, 권말에 '계해석동신간'이라는 기록이 보인다. 가집 중에서 유일한 판본이며, 순 한글로 표기되어 있다. 다른 가집과 달리 음악적 목적을 위해서 편차된 것이어서 시조의 종장 끝구가 탈락되어 있다. 내용, 체재는 권두에 낙시됴, 롱, 편, 송, 소용, 우됴, 후정화, 만수대엽, 원사쳬, 잡가, 가사 등의 순서로 분류 배열되었다. 그런데 실은 낙시됴에 224수와 잡가 3편 및 가사 4편을 편입시켰다.
7. 정리하며
영정조(英正祖)시대에는 구전되어 오던 시조의 일실(逸失)을 염려하여 편찬사업이 성행하였다. 1728년(영조 4) 김천택의 「청구영언(靑丘永言)」을 효시로, 63년(영조 39)에는 김수장의 「해동가요(海東歌謠)」, 1876년(고종 13)에 박효관과 안민영의 「가곡원류(歌曲源流)」, 그 밖에 「고금가곡」,「근화악부 」,「병와가곡집」 ,「화원악보」, 「동가선」, 「남훈태평가」 등의 시조집들이 쏟아져 나왔음은 시조의 보존을 위한 쾌사였다. 조선 후기까지 시조 편수는 2,000여 수에 달하는 방대한 것으로 거기에 담긴 사상과 정서는 한국의 역사를 시간과 공간으로 그대로 꿰뚫어 모은 정신적 유산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정재호/ 한국시조문학론/ 태학사, 1999
박규홍/ 시조문학연구/ 형설출판사, 1996
조규익/ 조선조 시문집 서·발의 연구/ 숭실대학교 출판부, 1988
황충기/ 해동가요에 관한 연구/ 국학자료원, 1996
김명직/ 조선후기 중인의 시가집 편찬 의의/ 인하대학교 학위논문, 1991
박천호/ 김수장 시조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학위논문, 1992
이태희/ 김수장 시조 주제 연구/ 대진대학교 학위논문, 1998
신동원/ 안민영의 시조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학위논문, 1991
http://hanlover.pe.kr/muniron6.htm
http://ipcp.edunet4u.net/~koreannote/12/12-청구영언.htm
http://user.mokpo.or.kr/youjle/h/시조에대하여.htm
http://www.koreandb.net/Kodia/KodiaList.asp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1.12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4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