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머리말
2. 시조 수록 가집의 시대별 분류
3. 사설시조에서 평시조로의 텍스트 변형
(1) ‘취흥’과 ‘애정놀음’에서 보이는 텍스트 변형
(2) ‘사설시조의 형식적 틀’-> ‘평시조의 형식적 틀’에의 영향
4. 맺음말
1. 머리말
2. 시조 수록 가집의 시대별 분류
3. 사설시조에서 평시조로의 텍스트 변형
(1) ‘취흥’과 ‘애정놀음’에서 보이는 텍스트 변형
(2) ‘사설시조의 형식적 틀’-> ‘평시조의 형식적 틀’에의 영향
4. 맺음말
본문내용
2. 시조 수록 가집의 시대별 분류
3. 사설시조에서 평시조로의 텍스트 변형
(1) ‘취흥’과 ‘애정놀음’에서 보이는 텍스트 변형
(2) ‘사설시조의 형식적 틀’-> ‘평시조의 형식적 틀’에의 영향
4. 맺음말
1. 머리말
현재까지 시조 연구에 있어서 사설시조는 평시조의 ‘패러디’라는 설이 지배적이었다. 즉 선행하는 평시조를 대상 텍스트로 하여 그것을 모방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새로운 사설시조 텍스트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이는 사설시조가 평시조의 후발성 장르 유형이라는 면에서 상당한 설득력을 가져왔으며 별다른 의문 없이 인정되어왔다.
그러나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작품 연관은 사설시조가 평시조를 패러디한 유형만 있는 것이 아니고 작자나 가집의 편찬 연대로 추정했을 때 그 반대 유형, 곧 사설시조 작품을 원 텍스트로 하여 평시조를 재창작하는 역방향의 관계도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필자는 여기에 중점을 두고 자료의 실상에 따라 근본적으로 재검토하여 사설시조에서 평시조로의 텍스트 변형에 대한 구체적 양상을 작품을 근거로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시조 수록 가집의 시대별 분류 <박노준(2003), 『고전 시가 엮어 읽기』 참고>
시조를 수록한 문헌 가운데 가장 큰 난점은 『청홍(靑洪)』,『악(樂)서』,『동국(東國)』,『흥비(興比)』,『가보(歌譜)』,『영류(永類)』같이 편자나 편찬 연대를 확인할 만한 관련 기록이 전혀 없는 가집들에 대한 연대 추정이다. 이런 가집들은 편찬 연대가 비교적 분명히 밝혀진 가집을 중심으로 하여 대비하되, 특히 악곡에 대한 당대의 인식과 수록된 악곡의 종류 및 배열방식, 수록 작품의 사설 대비, 고악보와의 대비 등을 중점 지표로 하여 판별하는 방법이 현재로선 가장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시조를 수록한 각종 가집을 크게 4개의 시대별 군집으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박노준, 『사설시조 엮어 읽기(하)』, 태학사, 2003, p.152
.
제1기 : 청진, [병가]
제2기 : (가) ㉠청가 / ㉡ 해박, 해일, 해UC, 해주, 청요해아수/ ㉢ 시가, 청홍
(나) 병가
제3기 : (가) 청연, 고금, 악서, 영류, 동가, 청영
(나) ㉠ 경대본 시조집, 근악, 동국/ ㉡ 청륙, 가보, 흥비
제4기 : (가) 금옥/ 원국, 원규, 원가, 원육, 원불, 원박, 원황, 해악, 원가, 원일,
원동, 협률, 화악, 여요/ 방초록
(나) 청조, 남태, 시어, 조사, 시요, 시
3. 사설시조에서 평시조로의 텍스트 변형
(1) ‘취흥’과 ‘애정놀음’에서 보이는 텍스트 변형
(2) ‘사설시조의 형식적 틀’-> ‘평시조의 형식적 틀’에의 영향
4. 맺음말
1. 머리말
현재까지 시조 연구에 있어서 사설시조는 평시조의 ‘패러디’라는 설이 지배적이었다. 즉 선행하는 평시조를 대상 텍스트로 하여 그것을 모방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새로운 사설시조 텍스트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이는 사설시조가 평시조의 후발성 장르 유형이라는 면에서 상당한 설득력을 가져왔으며 별다른 의문 없이 인정되어왔다.
그러나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작품 연관은 사설시조가 평시조를 패러디한 유형만 있는 것이 아니고 작자나 가집의 편찬 연대로 추정했을 때 그 반대 유형, 곧 사설시조 작품을 원 텍스트로 하여 평시조를 재창작하는 역방향의 관계도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필자는 여기에 중점을 두고 자료의 실상에 따라 근본적으로 재검토하여 사설시조에서 평시조로의 텍스트 변형에 대한 구체적 양상을 작품을 근거로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시조 수록 가집의 시대별 분류 <박노준(2003), 『고전 시가 엮어 읽기』 참고>
시조를 수록한 문헌 가운데 가장 큰 난점은 『청홍(靑洪)』,『악(樂)서』,『동국(東國)』,『흥비(興比)』,『가보(歌譜)』,『영류(永類)』같이 편자나 편찬 연대를 확인할 만한 관련 기록이 전혀 없는 가집들에 대한 연대 추정이다. 이런 가집들은 편찬 연대가 비교적 분명히 밝혀진 가집을 중심으로 하여 대비하되, 특히 악곡에 대한 당대의 인식과 수록된 악곡의 종류 및 배열방식, 수록 작품의 사설 대비, 고악보와의 대비 등을 중점 지표로 하여 판별하는 방법이 현재로선 가장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시조를 수록한 각종 가집을 크게 4개의 시대별 군집으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박노준, 『사설시조 엮어 읽기(하)』, 태학사, 2003, p.152
.
제1기 : 청진, [병가]
제2기 : (가) ㉠청가 / ㉡ 해박, 해일, 해UC, 해주, 청요해아수/ ㉢ 시가, 청홍
(나) 병가
제3기 : (가) 청연, 고금, 악서, 영류, 동가, 청영
(나) ㉠ 경대본 시조집, 근악, 동국/ ㉡ 청륙, 가보, 흥비
제4기 : (가) 금옥/ 원국, 원규, 원가, 원육, 원불, 원박, 원황, 해악, 원가, 원일,
원동, 협률, 화악, 여요/ 방초록
(나) 청조, 남태, 시어, 조사, 시요, 시
추천자료
전반적인 미술사 정리와 이해
바로크 알레고리 ― 발터 벤야민 ―
백석의 「여우난골족」,「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분석과 수업지도방법
[정지용][문학][시 세계][정지용 문학][정지용 시 세계][시][동시][율격]정지용의 문학과 시 ...
수사학과 기호학
국어교육학 요약정리
< 시, 그리고 영화 >
[고전주의 문학][프랑스문학][독일문학]고전주의 문학의 개념, 고전주의 문학의 특징, 고전주...
[인터넷미술][미술품경매][미술관교육]인터넷미술의 필요성, 인터넷미술의 활용 분야, 인터넷...
낭만주의음악(낭만파음악)의 특징과 성격, 낭만주의음악(낭만파음악)의 시대, 낭만주의음악(...
[친환경견축] 친환경건축의 특징과 사례
실내장식사[ 미술공예운동~아르누보~아르데코]
패스트푸드점(맥도날드), 아이스크림전문점(롯데제과 나뚜루), 홈쇼핑(GS홈쇼핑), 패밀리레스...
손창섭 생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