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차 국정교과서 삼국의 경제생활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 7차 국정교과서 삼국의 경제생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국(倭國)과 우호를 맺고 태자 전지(支)를 볼모로 보냈다.
三國史記 百濟本紀 비유왕
三年 秋 遣使入宋朝貢
3년(429) 가을에 사신을 송(宋)나라에 보내 조공하였다.
三國史記 百濟本紀 동성왕
二十年 八月 王以耽羅不修貢賦 親征至武珍州 耽羅聞之 遣使乞罪 乃止 耽羅 卽耽牟羅
8월에 왕은 탐라(耽羅)<탐라는 곧 탐모라(耽牟羅)이다.>가 공물과 조세[貢賦]를 바치지 아니하자 친히 정벌하려고 무진주(武珍州)에 이르렀다. 탐라가 이를 듣고 사신을 보내 죄를 [용서해 달라고] 빌었으므로 그만두었다.
. 신라는 한강 유역을 획득하기 이전에는 고구려와 백제를 통하여 중구과 무역을 하였으나
) 三國史記 신라본기 내물이사금
二十六年, 遣衛頭入符 秦 貢方物 符堅
위두(衛頭)를 부(부)씨의 진(秦)나라에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 한강 유역으로 진출한 이후에는 당항성을 통하여 직접 교역하게 되었다
) 三國史記 新羅本紀 진흥왕
二十五年 遣使北齊朝貢
25년(564) 북제(北齊)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二十六年 春二月 北齊武成皇帝詔 以王爲使持節東夷校尉樂浪郡公新羅王
陳遣使劉思與僧明觀 來聘 送釋氏經論千七百餘卷
26년(565) 봄 2월에 북제의 무성황제(武成皇帝)가 조서(詔書)를 내려, 왕을 사지절(使持節) 동이교위(東夷校尉) 낙랑군공(樂浪郡公) 신라왕(新羅王)으로 삼았다. 가을 8월에 아찬 춘부(春賦)에게 명하여 나아가 국원(國原)을 지키게 하였다. 9월에 완산주를 폐하고 대야주(大耶州)를 설치하였다. 진(陳)나라에서 사신 유사(劉思)와 승려 명관(明觀)을 보내 예방하고, 불교 경론(經論) 1천7백여 권을 보내주었다.
.

키워드

발췌,   원문,   경제,   교과서,   분석,   삼국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1.13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6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