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활성슬러지의 숙성 불충분
2. 변색
3. 벌킹현상
4. 부상현상
5. 질산화현상
6. 부패현상
7. 해체현상(Disintegration)
8. 이상산화현상
2. 변색
3. 벌킹현상
4. 부상현상
5. 질산화현상
6. 부패현상
7. 해체현상(Disintegration)
8. 이상산화현상
본문내용
흡착능력이 낮아지고 이 때문에 처리수의 수질이 악화된다. 결과적으로 침전조 상등액은 매우 탁도가 심하고 다량의 SS와 세균이 현탁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1) 해체가 발생하는 상태
· 플록 중에 정화에 관여하는 세균군이 사멸하여 플록이 매우 작은 조각형태로 분산되어 있다.
· 침전조 상등액의 pH는 약산성을 나타낸다.
· 제거율이 매우 낮아진다.
· 부패균과 효모가 급속하게 증식하기 시작한다.
2) 해체현상의 원인
· 유해물질의 유입
· 적은 BOD부하에서 생물밀도 과다(슬러지부하 0.1이하)
· 높은 BOD부하에서 생물밀도 과소(슬러지부하 0.4이상)
· MLVSS가 적어져서 포기조의 공기공급 과잉
· 아메바, 소형편모충류 등의 특수한 원생동물의 이상번식
· 해수의 유입으로 식염농도의 증가에 따른 해체 현상
· ABS 등 합성세제의 유입증가에 원인
· 포기조의 기계적 교반의 과도
· 유입폐수의 수질변동
8. 이상산화현상
이상산화현상의 대책
· 포기조내 pH 중성(7.0~7.2) 또는 미알카리성(7.2~7.6)까지 조정하거나 NaOH 용액을 포기조에 살포
· 포기조의 공기공급량 감소
· 포기조 유입수량의 증가
· MLSS의 증가를 위해 반송슬러지량 증가
1) 해체가 발생하는 상태
· 플록 중에 정화에 관여하는 세균군이 사멸하여 플록이 매우 작은 조각형태로 분산되어 있다.
· 침전조 상등액의 pH는 약산성을 나타낸다.
· 제거율이 매우 낮아진다.
· 부패균과 효모가 급속하게 증식하기 시작한다.
2) 해체현상의 원인
· 유해물질의 유입
· 적은 BOD부하에서 생물밀도 과다(슬러지부하 0.1이하)
· 높은 BOD부하에서 생물밀도 과소(슬러지부하 0.4이상)
· MLVSS가 적어져서 포기조의 공기공급 과잉
· 아메바, 소형편모충류 등의 특수한 원생동물의 이상번식
· 해수의 유입으로 식염농도의 증가에 따른 해체 현상
· ABS 등 합성세제의 유입증가에 원인
· 포기조의 기계적 교반의 과도
· 유입폐수의 수질변동
8. 이상산화현상
이상산화현상의 대책
· 포기조내 pH 중성(7.0~7.2) 또는 미알카리성(7.2~7.6)까지 조정하거나 NaOH 용액을 포기조에 살포
· 포기조의 공기공급량 감소
· 포기조 유입수량의 증가
· MLSS의 증가를 위해 반송슬러지량 증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