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의 지명과 방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창원의 지명과 방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 창원 지명의 변화
2) 창원의 지명유래

2. 본 론
1) 창원의 연혁
2) 창원 각면의 지명유래
3) 방언의 특징과 예

3. 결 론
1) 나의 생각

☞ 해당 자료는 한글2002로 작성이 되어있습니다
다운받으시는 회원님 컴퓨터에 한글2002프로그램이 설치가 되어있어야 정상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단형을 취한다. 예)\"안 좋다\", \"안 걱정스럽다\"
7) 서술형으로 말할 것을 의문형으로 표현한다. 예)\"그기 책 아이가?\"
8) 특정적인 어휘
할배(할아버지), 시껍했다(놀랐다), 보듬다(껴안다), 머라쿤다(꾸짖다)
(1) 음운체계
ㄱ. 모음체계
- 단모음 : 6모음체계
① \'애, 에\'의 구별이 모호하다: 제재소(저이자이소)
② \'어, 으\'의 구별이 모호하다: 어머니, 으악새, 걷다, 긋다)
③ \'외\'의 비존재 : 외갓집(애갓집, 이갓집)
- 중모음: jE, ja, ju, jo, j , wa, wE 등
\'예\' : 대답의 발음(상칭표현) - 한정적으로 쓰임
며느리 - \'매느리\'로 발음
ㄴ. 자음체계
양산, 밀양, 언양 등 동부경남(\'ㅅ\'과 \'ㅆ\'을 구별하지 못함)
ㄷ. 운소체계
(2) 특징적인 음운현상
ㄱ. 초성  의 쓰임 : 스스 , 이 긔
① 단독 : 조 ,  자 , 도 대하꾜,
② ㄱ의 비음화 : 버르때 , 구디 
③ 곡용시 : 자 (場)이
④ ㄴ의 동화 : 가니(가 :성조의 변동) 가마니, 가망이, 가만히, 가니(肝이:성조의 문제)
ㄴ. 자음동화
① 잇기다 (익기다), 굳게(국게)
② 밥그릇 (박그륵), 곱게(곡게)
③ 손발(솜발), 감기(강기)
ㄷ. 구개음화 : 길 -\'질\', 김치 - \'짐치\', 힘 -\'심\'
ㄹ. 움라우트 : 잡히다 - 잽히다, 속이다 - 색이다 , 벗기다 -백기다
ㅁ. 축약과 생략 : 정도가 강함
① 그리어서(기리서) 보아라(바라)
② 가+아+버리+었+다 (가뿟다) 경음화, 모음변동, 음절생략, 모음생략
가+아+버리+ㄴ+다 (가뿐다) 불규칙활용도 아닌 것의 현상
가+아+버리+겠+다 (가뿌겄다)
③ 선생님(샘) : 경제성의 원리(?)
머라카노(무엇이라고 하느냐)
ㅂ. 어간의 \'ㅂ, ㅅ\'의 유지 : 고우니 - 고바니, 잇으니 - 이사니
ㅅ. \'ㄴ\'의 첨가 : 꾼지람, 깐치, 연치, 안주, 인자, 난중, 간지로미, 목안지, 끈티
ㅇ. \'ㄹ\'의 불탈락 : 버들나무, 솔나무, 불살개, 불손
(3) 어법적인 특징
ㄱ. \'예\'형 상칭표현
ㄴ. 아주높임, 예사높임, 예사낮춤, 아주낮춤, 반말투
① -ㅂ니다/더(서술형)
② -ㅂ니꺼/까 (의문형)
③ -시이소 (명령형)
④ -입시더/다 (청유형)
ㄷ. 종지법 : 집에 가는데예, 여 있으라꼬예, 근냥 가시지예, 같이 드시지예
ㄹ. 접속법 : 철수는 공부하는데예, 영수가 깨방을 놓는기라예
ㅁ. 체언 + 예 : 샘예, (매께고) 하나예
ㅂ. 사동표현 : 물쫌 마사도, 이 옷 나한테 이파줄래, 씸지를 독가바라
(4) 어휘적인 특징
가리늑가 : 뒤늦게 (가리늑가 와가꼬 머 돌라카노)
깨깍시리 : 새삼스레 (깨깍시리 밥 돌라카지 마라)
껄떡이다 : 너무 껄떡거리지 마라
너얼찌다 : 떨어지다 (야 널찔라 단디해라)
맥지로(백지로) : 공연히, 맥지로 그걸 해가아꼬
삐대다 : 사람이 삐대야(거처하다) 뜨시지, 논 삐대지 말라
비미이 : 어련히 (아가 비미이 알아서 하겠나)
짜다라 : 아주 많이 (짜다라 할 일이 없다)
천지 삐까리 : 아주 많다 (천지 삐까리다)
치대다 : 빨래를 할 때 문지르다, 사람의 몸에 귀찮게 엉겨붙다
패내끼 : 재빨리
해나 : 혹시나
ㄱ. 추비/추부, 더비/더부, 새비, 고방, 자부름, 호부래비, 따뱅이/따바리, 가분데, 이부지, 예비다/에비다,
찌부러진다(순경음 ㅂ에 소급될 수 있는 것)
ㄴ. 야시/여수, 가시개, 가실, 저실, 마실, 끄시름, 부석, 끄실다(반치음에 소급될 수 있는 것)
ㄷ. 가분다리(진드기), 비리(진드기) 삐비(삘기), 능가/능까(벼랑), 짠지, 지렁, 심장구/멍장구/싱거무(멍),
입수구리/입수부리/입소리, 그릉지, 멀꺼딩이, 깨네기/개냉이/애앵구
ㄹ. 갈

키워드

창원,   창원지명,   지명,   방언,   ,   지명유래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1.17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