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왑의 개념 및 발전과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왑의 개념 및 발전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스왑거래

2.스왑거래의 정의

3.스왑거래의 목적 및 기능

4.금리스왑(interest rate swap)

5.금리스왑의 기본구조

5.기타 금리스왑의 형태

6.자산스왑(Asset Swap)

7.통화스왑(Currency Swap)

8.통화스왑의 형태

9.변형스왑과 스왑에 대한 옵션

본문내용

동금리
기업 A 5.500% LIBOR+0.375%
기업 B 6.125% LIBOR+0.125%
금리차 0.625% 0.250%
이와 같은 경우에 두 기업은 각각 상대기업보다 차입조건이 유리한 시장에서 차입한 다음 통화스왑을 체결함으로써 차입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즉 기업 A는 고정금리 CHF를 5.50%에 차입하고 기업 B는 변동금리 USD를 LIBOR+0.125%에 차입하여 원금과 이자지급을 교환하는 통화스왑을 하면 두 기업 모두 이익을 얻을 수 있다.
8.통화스왑의 형태
초기형태 : Parallel Loan 과 Back-to-Back Loan
통화스왑(CRS : Cross Currency And Interest Rate Swap)이란 이종 통화간에 고정금리,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또는 변동금리끼리의 교환으로서 거래 개시와 종료시에 원금의 교환이 수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은 금리를 교환한다는 점에서 금리스왑과 같지만 이종통화의 교환이라는 점에서는 외환스왑의 성격을 가진다.
역사적으로 통화스왑의 원초적 형태로 볼 수 있는 것이 : Parallel Loan 과 Back-to-Back Loan 이다. parallel loan 은 영국에서 해외투자와 관련된 외환규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1960년대에 고안되어 1973년에 이 규제가 철폐되기까지 널리 이용되었다. 당시 영국은 경상수지의 대폭적자와 파운드 약세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자본유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해외투자용 달러의 구입에 대해 프리미엄을 부과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미국에 있는 영국기업의 현지법인은 모회사로부터 직접 출자 받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영국에 있는 미국기업의 자회사에게 영국 모기업이 파운드 대출을 하는 대신에 이 파운드금액에 상당하는 달러를 미국 모기업이 영국 현지법인에게 대출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여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첫째로 이 거래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국적이 다른 두 기업이 동일기간, 동일금액의 자금수요가 있어야 하는데 이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parallel loan 계약은 두 개의 대출계약이 별개로 실행되는 것이어서 양자간에 상호 견제력이 없어서 신용 리스크가 문제될 수 있다. 만약 한쪽의 채무불이행 사태가 발생했을 때 상대방의 채무상쇄(set-off)가 가능하냐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중도에 환율이 크게 변동하였을 때 대응문제도 있다.
두번째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back-to-back loan이 고안되었다. 원래 back-to-back financing 기법은 50~60년대에 다국적기업이 정치적 위험도가 큰 개발도상국에 있는 현지 자회사에 영업자금을 충원하는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다국적 정유메이저인 G사는 한국에 있는 자회사Y사에게 직접 출자를 하기보다는 체이스 은행에 예금을 하고 이자금을 체이스 은행이 Y사에게 대출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G사보다 체이스 은행이 국제적 신용관리에 우월성이 있기 때문에 G사는 정치적 위험도를 낮추면서 자회사에게 필요한 자금을 공급할 수 있다.
9.변형스왑과 스왑에 대한 옵션
금리스왑에는 거래 조건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된 "비표준 스왑" 또는 "변형 스왑"이 있고 ,또 스왑에 대한 여러 가지의 옵션이 있다. 이들 변형 스왑과 스왑에 대한 옵션은 대부분이 금리스왑과 관련하여 개발되었다.
1) 변형 스왑
① 금리스왑은 이자지급의 기준이 되는 명목 원금이 계약기간 동안 일정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계약기간 동안 명목 원금이 단계적으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는 스왑이 있는데 이를 각각 Accreting swap 과 Amortising swap 이라고 부른다. 한편 계약기간 동안 명목 원금이 증감하는 스왑을 가리켜 Rollercoaster Swap이라고 부른다.
② 금리스왑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교환하는 쿠폰 스왑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이자 기준이 서로 다른 두 변동금리에 따른 이자지급을 교환하는 스왑을 베이시스 스왑이라고 한다.
③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교환하는 쿠폰 스왑에서 고정금리는 계약기간동안 일정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계약기간 중 고정금리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스왑을 각각 step-up swap 과 step-down swap 이라고 한다.
④ 쿠폰스왑의 변동 금리는 6개월 LIBOR "flat"이 일반적인데 여기에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마진을 부치는 스왑을 Margin swap 이라고 한다.
⑤ 고정금리나 변동금리의 이자지급이 일정기간동안 연기되는 여러 형태의 변형 스왑이 있는데, 특히 고정금리의 지급이 모두 만기까지 연기되는 스왑을 가리켜 zero-coupon swap 이라고 부른다.
⑥ 금리스왑은 거래일로부터 2일 후에 스왑이 시작되는 spot swap 또는 immediate swap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해 거래일로부터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 시작하는 스왑으로 Delayed -start swap과 forward swap 이 있는데 , 전자는 거래일로 부터 6개월 이내에 시작하는 스왑을 말하고 ,후자는 6개월 이후에 시작하는 스왑을 말한다.
2) 스왑에 대한 옵션
스왑에 대한 옵션을 통칭하는 용어로 흔히 스왑션을 쓰고 있는데, 스왑에 대한 옵션의 여러 종류에 대해서는 사람에 따라 다른 뜻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유의하여야 한다. 스왑에 대한 옵션도 다른 옵션과 마찬가지로 유럽식 옵션과 미국식 옵션이 있다.
① 스왑에 대한 옵션에는 먼저 일정한 옵션의 행사 기간후 일정 만기의 신규 스왑을 시작할 권리를 갖는 옵션이 있는데, 이는 지급자 스왑션과 수취자 스왑션으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고정금리 지급자로 스왑을 시작하는 것인데 이를 콜스왑션이라 부르기도 한다. 후자는 고정금리 수취자, 즉 변동금리 지급자로 스왑을 시작하는 것으로 풋스왑션이라 부르기도 한다.
② 스왑에 대한 옵션에는 또 기존 스왑의 만기를 연장하거나 또는 기존 스왑을 계약기간중에 취소할 수 있는 것이 있는데 전자를 Callable swap 또는 Extendible swap 이라 부르고 후자를 Cancellable swap 또는 Terminable swap 이라고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11.19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4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