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리스크 관리기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대외적 관리기법
1) 선물환시장 헷징 (HEDGING)
2) 단기금융시장 헷징
3) 외환스왑(FX SWAP)
4) 통화스왑(CURRENCY SWAP)
5) 통화선물(CURRENCY FUTURES)
6) 통화옵션(CURRENCY OPTIONS)
7) 할인(DISCOUNTING)
8) 팩토링(FACTORING)
9) 환율변동보험(EXCHANGE RISK INSURANCE)

2.대내적기법
1) 맷칭
2) 리딩(LEADING)과 래깅(LAGGING)
3) 네팅(NETTING)
4) 가격정책 (pricing policy)
5) 자산/부채관리 (ASSET-LIABILITY MANAGEMENT : ALM )

본문내용

환리스크를 회피하고자 할 것이다. 거래가격 표시통화의 선택에 있어 문제가 되는 것은 거래통화의 결정과정에서 수출입업자 쌍방간의 이해가 대립됨으로써 계약성립이 어렵게 될 수 있는데 이때는 수출입업자가 50:50 방식을 이용하여 쌍방이 거래규모의 반을 각각 자국통화표시거래로 계약함으로써 환리스크 부담을 양자간에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국적기업의 경우에는 그룹지사간의 수출입가격을 상호간에 적절히 보상함으로써 그룹전체의 稅後 순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격정책이 이용되기도 한다.
5) 자산/부채관리 (ASSET-LIABILITY MANAGEMENT : ALM )
자산, 부채관리는 환율(금리) 전망에 따라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부채의 포지션을 조정함으로써 환(금리)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자산, 부채관리는 주로 외화자산, 부채를 자국통화나 특정통화로 환산할 때 발생하는 환산위험(Translation Risk)이나 거래위험(Transaction Risk)을 관리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자산/부채관리 기법에는 환차익의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한 적극적인 자산/부채관리기법과 환차손의 극소화를 위한, 즉 환산위험 회피를 위한 소극적인 자산, 부채관리기법이다. 적극적인 자산, 부채관리에 있어서는 일정통화가 장차 강세로 전망될 경우에 강세예상통화표시의 자산이나 현금 포지션을 증대시키는 반면, 강세 예상통화표시의 채무는 조기결제 또는 조기상환을 통하여 가급적 축소시키게 된다. 이에 대해 일정통화가 장차 약세를 시현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약세통화표시 자산을 축소시켜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9.07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27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