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달 심리학의 기초
(1)심리학이란?
(2)발달의 의미
(3)발달심리학이란?
(4)발달심리학의 주요 과제
(5)발달의 원리
(6)발달심리학의 두 가지 관점
(7)발달심리학의 역사
(8)발달심리학의 연구 방법
2. 발달이론
(1) 정신분석 이론
(2) 행동주의 이론
(3) 인지주의 이론
(4) 사회·문화적 이론
(5) 생태학적 이론
3. 발달의 제영역
(1)지적 발달
(2)언어 발달
(3)정의적 발달
(4)사회성 발달
4.시기별 발달과업과 교육적 적용
(1)영아기(0-2세)
(2)유아기(2-4세)
(3)유아기(4-7세)
(4)아동기(8-12세)
(1)심리학이란?
(2)발달의 의미
(3)발달심리학이란?
(4)발달심리학의 주요 과제
(5)발달의 원리
(6)발달심리학의 두 가지 관점
(7)발달심리학의 역사
(8)발달심리학의 연구 방법
2. 발달이론
(1) 정신분석 이론
(2) 행동주의 이론
(3) 인지주의 이론
(4) 사회·문화적 이론
(5) 생태학적 이론
3. 발달의 제영역
(1)지적 발달
(2)언어 발달
(3)정의적 발달
(4)사회성 발달
4.시기별 발달과업과 교육적 적용
(1)영아기(0-2세)
(2)유아기(2-4세)
(3)유아기(4-7세)
(4)아동기(8-12세)
본문내용
ed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cognitive tasks.
⑨ Piaget neglects some areas of human cognition. e.g., he ahs a great deal to say about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nd scientific thinking, but very little about thinking involving literature, art and music.
⑩ Piaget neglects the realm of feelings
⑪ stimulated more research on children than any other single theory
⑫ children are active learners.
⑬ 발견학습 direct contact with the environment
⑭ Piaget가 불가능하다고 한 것들이 훈련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이 많이 발견됨
예, 보존성의 개념은 더 빨리 획득될 수도 있다.
Calender에 맞추어 인지 발달의 단계를 나눌 수는 없다.
⑮ discovery learning이 과연 adult teaching보다 효과적인가 하는 것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음.
learning was used in two senses
*the acquisition of specific information(perceiving)
*the acquisition of mental structures(organizing information)
Piaget viewed the child as an active seeker of knowledge
the process of growing up-heredity, interaction, transmission
the schools and the teacher's job is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experience(학습기회의 제공), but the experience must be suitable to the child's period of cognitive development.
one of the problems is that you cannot measure cognitive development accurately by the calender.
Ⅴ. 인지발달이론(사회적 상호작용주의 이론, 사회·문화적 역사이론)
1.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역사 이론
(1) 인간 Vygotsky
- Lev Semenovich Vygotsky는 러시아 서쪽에 위치한 항구도시 Gomel에서 1896년 태어남.
- 은행원 아버지, 교사인 어머니, 7명의 형제.
- 어려서부터 토론하기를 좋아함.
- 역사, 문학, 시를 좋아함
- 17세 때 대학입학정원의 3%만이 유태인에게 허용되는 모스크바 대학에 추첨으로 들어감
- 1917년 모스크바 대학에서 문학사를 취득 한 후 고향 Gomel로 돌아감.
- 고향에서 문학과 심리학을 가르침. 신체 부자유아에 대한 관심도 가짐.
- 1924년 1월 6일 레닌그라드에서 의식 심리학에 관한 강의를 함. 그의 명료한 강의에 청중들이 매료됨
- 1925년 예술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음
- Gesell, Werner, Piaget의 초기 저서들을 읽고 그들이 강조한 내적 인지 발달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을 뿐 아니라 사회 역사적 맥락 내에서의 발달을 고려하기 시작
- 폐결핵으로 인해 그의 삶이 다해 가는 것을 알고 있던 Vygotsky는 무서운 속도로 일을 하기 시작함.
- 1960년대에 서구사회에 그의 연구가 도입되기 시작.
(2)Vygotsky이론의 기본 개념
①생각하는 법, 행동하는 법
②고등 정신 기능(higher order mental functioning)
③개인간 심리 기능에서 개인내 심리 기능으로 내면화(internalization)
④근접발달 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⑤direct teaching 강조
⑥Piaget vs Vygotsky 둘다 인간을 active한 존재로 봄 Vygotsky는 사회적 구성주의자
언어발달에 대한 차이
⑦socially mediated process 강조 언어, 기호, 도구
⑧same sequence로 발전해 간다고 믿지 않음. 변증법적 인간 발달 강조
continuous, step by step, 주변 환경을 이해하지 않고 아동 발달을 이해 할 수 없다
⑨행동 생각의 의식적 통제 기능(executive functioning)
⑩어떤 문화의 가치, 신념, 관습 기능이 어떻게 전수되는가?
- Vygotsky는 아동의 지적 능력을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ZPD)의 개념으로 설명함. 근접발달영역은 지능검사점수나 학업성취도 등 아동이 현재 스스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 발달 수준(level of actual development)과 자신보다 인지적으로 유능한 성인이나 또래의 도움을 받아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잠재적 발달 수준(level of potential development)간의 격차를 의미한다.
-개인의 지적 발달은 문화적 영향을 크게 받는다.
-아동은 성인의 도움을 받아 문화적 산물로서의 지식을 내면화함으로써 개인적인 인지 발달이 가능하게 된다.
-아동의 지적 발달은 내면화를 가능하게 하는 성인과 아동의 상호 참여활동을 통해 촉진되는 것이다.
-아동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매 단계마다 아동의 수행수준에 맞추어 도움을 주는 수준과 양을 적절히 조절하는 방안을 흔히 비계설정(scaffolding)이라 부른다.
-비계설정은 성인의 일방적인 가르침에 의존하는 성인중심의 인지 발달 촉진방안과 아동의 자발적인 활동에 의존하는 극단적인 아동중심 방안을 적절히 통합하여 성인이 아동의 수행 수준에 적응해가며 궁극적으로 아동이 독자적인 문제해결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효율적인 성인과 아동간의 교류적 상호작용모형(transactional interaction model)으로 알려지고 있다.
⑨ Piaget neglects some areas of human cognition. e.g., he ahs a great deal to say about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nd scientific thinking, but very little about thinking involving literature, art and music.
⑩ Piaget neglects the realm of feelings
⑪ stimulated more research on children than any other single theory
⑫ children are active learners.
⑬ 발견학습 direct contact with the environment
⑭ Piaget가 불가능하다고 한 것들이 훈련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이 많이 발견됨
예, 보존성의 개념은 더 빨리 획득될 수도 있다.
Calender에 맞추어 인지 발달의 단계를 나눌 수는 없다.
⑮ discovery learning이 과연 adult teaching보다 효과적인가 하는 것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음.
learning was used in two senses
*the acquisition of specific information(perceiving)
*the acquisition of mental structures(organizing information)
Piaget viewed the child as an active seeker of knowledge
the process of growing up-heredity, interaction, transmission
the schools and the teacher's job is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experience(학습기회의 제공), but the experience must be suitable to the child's period of cognitive development.
one of the problems is that you cannot measure cognitive development accurately by the calender.
Ⅴ. 인지발달이론(사회적 상호작용주의 이론, 사회·문화적 역사이론)
1.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역사 이론
(1) 인간 Vygotsky
- Lev Semenovich Vygotsky는 러시아 서쪽에 위치한 항구도시 Gomel에서 1896년 태어남.
- 은행원 아버지, 교사인 어머니, 7명의 형제.
- 어려서부터 토론하기를 좋아함.
- 역사, 문학, 시를 좋아함
- 17세 때 대학입학정원의 3%만이 유태인에게 허용되는 모스크바 대학에 추첨으로 들어감
- 1917년 모스크바 대학에서 문학사를 취득 한 후 고향 Gomel로 돌아감.
- 고향에서 문학과 심리학을 가르침. 신체 부자유아에 대한 관심도 가짐.
- 1924년 1월 6일 레닌그라드에서 의식 심리학에 관한 강의를 함. 그의 명료한 강의에 청중들이 매료됨
- 1925년 예술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음
- Gesell, Werner, Piaget의 초기 저서들을 읽고 그들이 강조한 내적 인지 발달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을 뿐 아니라 사회 역사적 맥락 내에서의 발달을 고려하기 시작
- 폐결핵으로 인해 그의 삶이 다해 가는 것을 알고 있던 Vygotsky는 무서운 속도로 일을 하기 시작함.
- 1960년대에 서구사회에 그의 연구가 도입되기 시작.
(2)Vygotsky이론의 기본 개념
①생각하는 법, 행동하는 법
②고등 정신 기능(higher order mental functioning)
③개인간 심리 기능에서 개인내 심리 기능으로 내면화(internalization)
④근접발달 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⑤direct teaching 강조
⑥Piaget vs Vygotsky 둘다 인간을 active한 존재로 봄 Vygotsky는 사회적 구성주의자
언어발달에 대한 차이
⑦socially mediated process 강조 언어, 기호, 도구
⑧same sequence로 발전해 간다고 믿지 않음. 변증법적 인간 발달 강조
continuous, step by step, 주변 환경을 이해하지 않고 아동 발달을 이해 할 수 없다
⑨행동 생각의 의식적 통제 기능(executive functioning)
⑩어떤 문화의 가치, 신념, 관습 기능이 어떻게 전수되는가?
- Vygotsky는 아동의 지적 능력을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ZPD)의 개념으로 설명함. 근접발달영역은 지능검사점수나 학업성취도 등 아동이 현재 스스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 발달 수준(level of actual development)과 자신보다 인지적으로 유능한 성인이나 또래의 도움을 받아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잠재적 발달 수준(level of potential development)간의 격차를 의미한다.
-개인의 지적 발달은 문화적 영향을 크게 받는다.
-아동은 성인의 도움을 받아 문화적 산물로서의 지식을 내면화함으로써 개인적인 인지 발달이 가능하게 된다.
-아동의 지적 발달은 내면화를 가능하게 하는 성인과 아동의 상호 참여활동을 통해 촉진되는 것이다.
-아동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매 단계마다 아동의 수행수준에 맞추어 도움을 주는 수준과 양을 적절히 조절하는 방안을 흔히 비계설정(scaffolding)이라 부른다.
-비계설정은 성인의 일방적인 가르침에 의존하는 성인중심의 인지 발달 촉진방안과 아동의 자발적인 활동에 의존하는 극단적인 아동중심 방안을 적절히 통합하여 성인이 아동의 수행 수준에 적응해가며 궁극적으로 아동이 독자적인 문제해결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효율적인 성인과 아동간의 교류적 상호작용모형(transactional interaction model)으로 알려지고 있다.
추천자료
발달 심리학
융의 발달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성인 기독교 교육
[심리학]연령에 따른 발달 심리학
발달 심리학
수학학습심리학의 발달사
포레스트 검프의 발달 심리학적 분석
발달 심리학
긍정심리학과 아동발달에 관한 논문소개,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프로이드의 이론이 발달 심리학을 대표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의 중다지능이론설명 및 교육적 시사점 2.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
심리학의 발달과정
교육심리학4]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에...
에릭슨의 심리학적 발달과 각 단계에서 성취해야 할 발달과업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생각해 ...
교육심리학-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스키의 사회문화이론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두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