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중심지 변천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조선 중심지 변천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문
1. 낙랑군 조선현의 위치
2. 연, 진 장성의 동단
① 요동설
② 요서설
③ 낙랑군 수성현설
3. 왕검성과 패수
1) 왕검성
2) 패수
4. 고조선의 초기 중심지
1) 고조선의 등장시기
2) 요녕성 지역의 비파형동검 문화와 조선, 산융, 동호
3) 만번한

Ⅲ. 맺음말

본문내용

이러한 사실은 연, 진 장성의 동쪽 끝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도 살펴보았다. 연, 진 장성의 동단에 대해 요동설, 요서 갈석산설, 낙랑군 수성현설 등이 제기 되어 왔다. 이중 문헌과 실물 유적을 통해 요동설이 타당함을 밝혔다.
또한 평양이 낙랑군 조선현과 위만 조선의 왕검성 및 후기 고조선의 수도가 존재하였던 곳이었는데, 그러면 이곳이 처음부터 끝까지 고조선의 중심지였을까 하는 문제를 검토해보니 부정적이었다.
마지막 장에서는 요령성 비파형동검문화 유적에서 출토 유물의 특성에 따른 지역상의 구분을 해보니, 대체적으로 요하를 경계로 그 동서쪽이 차이를 나타내었다. 요동은 문헌상으로 고조선의 지역이었고, 요서는 산융, 동호의 지역이었다고 여겨졌다. 구체적으로 요동 지역 중 어느 곳이 고조선 초기의 중심지였는가를 살핌에 있어서 만번한의 위치에 주목해 보았다. 만번한은 문, 번한의 두 현을 연칭한 것으로서, 오늘날 개평현과 해성현 서남쪽을 포괄하는 지역이 그것이었다. 이 만번한 지역은 고조선의 중심부이었거나 중심지의 동쪽 외곽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다. 즉 B.C. 4세기 이전의 전기 고조선의 중심지는 개평현과 해성현 서남쪽을 포괄한 지역 어느 곳이었다고 여겨진다.
古朝鮮 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 盧 泰 敦 -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문
1. 낙랑군 조선현의 위치
2. 연, 진 장성의 동단
① 요동설
② 요서설
③ 낙랑군 수성현설
3. 왕검성과 패수
1) 왕검성 2) 패수
4. 고조선의 초기 중심지
1) 고조선의 등장시기
2) 요녕성 지역의 비파형동검 문화와 조선, 산융, 동호
3) 만번한
Ⅲ. 맺음말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1.21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7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