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번한의 위치에 주목해 보았다. 만번한은 문, 번한의 두 현을 연칭한 것으로서, 오늘날 개평현과 해성현 서남쪽을 포괄하는 지역이 그것이었다. 이 만번한 지역은 고조선의 중심부이었거나 중심지의 동쪽 외곽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다. 즉 B.C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번한」, 『동북아역사논총』제57호.
2. 사이트
국사편찬위원회-우리역사넷(http://contents.history.go.kr).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한국사연구회(http://www.koreanhistory.org).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1. 고조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07.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번한 이서의 고조선 영토로 보면서, 진의 요동외요와 한후국인 연에 속한 것은 고조선 본국으로 보는 모순을 보이고 있다. 그결과 고조선과 연·진·한의 국경인 만번한·패수·진고공지 등의 위치 고증에도 오류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따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번한의 위치도 요양성으로 보았다. 그러나 락랑은 통설대로 평양에 비정하였다.
18세기의 신경준은 『강계고』에서 고조선의 강역을 새롭게 고증하여 그 서쪽 경계선이 요하 서쪽의 고죽국(지금의 산해관 부근, 대능하와 난하 사이)과 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