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다.
古朝鮮 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 盧 泰 敦 -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문
1. 낙랑군 조선현의 위치
2. 연, 진 장성의 동단
① 요동설
② 요서설
③ 낙랑군 수성현설
3. 왕검성과 패수
1) 왕검성 2) 패수
4. 고조선의 초기 중심지
1) 고조선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번,임둔,낙랑,현도 사군을 삼았다. 제 1 장 韓國人의 起源과 국가의 형성
* 고대사 연구의 눈엣가시 식민주의사관
* 삼국유사 강독, 고조선 및 위만조선 등
1-a. 한국인의 기원
1-b. 한국인의 기원
1) 성읍국가의 성립과정
2) 성읍국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에 점령된 지역은 만번한 이서의 고조선 영토로 보면서, 진의 요동외요와 한후국인 연에 속한 것은 고조선 본국으로 보는 모순을 보이고 있다. 그결과 고조선과 연·진·한의 국경인 만번한·패수·진고공지 등의 위치 고증에도 오류가 생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의 통일과 만리장성 축조
만리장성 문화적 의의
1. 진의 통일
- 진시황은 어떻게 천하를 통일했나?
2. 진시황의 중국 통일 의의
3. 만리장성 (자연개황,건축역사, 방어 시스템, 건축 형태, 성벽, 관성, 봉화대)
4. 만리장성의 문화적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10.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만리장성의 기원
1. 춘추시대 제가 영토방위를 위하여 국경에 쌓은 것이 장성의 기원 이다.
2. 전국시대의 연·조 등이 이에 따랐다.
3. 진 시황제는 중국 통일(BC 221) 후 흉노족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간쑤성 남부로부터 북으로, 황하강 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