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구과학의 영역
2. 지구과학의 발달
3. 지구과학의 특성
4. 지구과학의 개념체계
5. 지구과학 연구기자재
6. 지구과학 탐구방법
1) 신, 구 탐구방법의 예
2) 지구과학 탐구요소
3) 관찰
4) 관찰의 종류
5) 분류
6) 분류의 예
7) 측정
8) 측정의 예
9) 추리, 추론, 해석
10) 히스토그램(빈도곡선)
11) 점그래프화와 해석
12) 예측(예상)
13) 모형(모델)
7. 지구과학 탐구과정
1) 문제인식 및 가설설정
2) 탐구설계
3) 탐구수행
4) 자료해석
5) 결론도출
2. 지구과학의 발달
3. 지구과학의 특성
4. 지구과학의 개념체계
5. 지구과학 연구기자재
6. 지구과학 탐구방법
1) 신, 구 탐구방법의 예
2) 지구과학 탐구요소
3) 관찰
4) 관찰의 종류
5) 분류
6) 분류의 예
7) 측정
8) 측정의 예
9) 추리, 추론, 해석
10) 히스토그램(빈도곡선)
11) 점그래프화와 해석
12) 예측(예상)
13) 모형(모델)
7. 지구과학 탐구과정
1) 문제인식 및 가설설정
2) 탐구설계
3) 탐구수행
4) 자료해석
5) 결론도출
본문내용
4. 지구과학의 개념체계
물질: 양, 분류, 단위, 형태, 차이
시간: 흐름, 과정, 발전, 진화
공간: 위치, 부피
힘 : 중력, 자기력, 전기력, 핵력
운동: 속도, 가속도, 운동량, 관성
에너지: 전이, 복사, 원천, 변환
5. 지구과학 연구기자재
천문학: 망원경, 분광기, 천체사진기
기상학: 온도계, 습도계, 풍속계, 기압계
해양학: 측심기, 유속계, 전도온도계
지질학: 망치, 편광현미경, 암석연마기
지구물리학: 지진계, 중력계, 지전압계
6. 지구과학 탐구방법
(1) 탐구학습:
- 학생을 작은 과학자로 보고, 자연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을 알아내려는 학습형태
- 과학자가 하는 탐구과정을 그대로 학습과정에 도입하는 학습활동
6. 지구과학 탐구방법
(2) 과학개념 획득과 탐구방법 사이의 관계
- 여러 탐구방법 가운데에서 학생의 발달
단계와 능력에 맞추어 탐구하여야 한다.
관찰
오감을 총동원하여 대상인 사물, 현상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
예) 지층의 관찰
- 눈(시각): 색, 모양, 형태, 포함물질 조사
- 손(촉각): 굳기 조사
- 코(후각): 냄새 유무 조사
- 귀(청각): 망치로 두들겨 음의 차이조사
- 혀(미각): 맛의 유무 조사
관찰의 종류
정성적 관찰: 색, 형태, 모양, 맛, 냄새 등의 관찰(주로 오감에 의한 관찰)
정량적(수량적) 관찰: 크기, 무게, 개수 등의 관찰(단위를 설정하여 관찰하고 측정)
분류
복수의 사상 가운데 동일속성(색과 모양등)과 성질을 갖지 않는 것과 그룹으로 나누는 것 --> 관점을 명확히 한다.
분류의 예
암석: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성인에 의한 분류)
암석: 산성암, 염기성암(성분에 의한 분류)
구름: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고도에 의한 분류)
측정
정량적인 관찰로 관찰보다 상세히 하는 방법중의 하나, 어떤 양을 기준양과 비교하여 그것의 몇배인가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와 오차가 중요하다.
물질: 양, 분류, 단위, 형태, 차이
시간: 흐름, 과정, 발전, 진화
공간: 위치, 부피
힘 : 중력, 자기력, 전기력, 핵력
운동: 속도, 가속도, 운동량, 관성
에너지: 전이, 복사, 원천, 변환
5. 지구과학 연구기자재
천문학: 망원경, 분광기, 천체사진기
기상학: 온도계, 습도계, 풍속계, 기압계
해양학: 측심기, 유속계, 전도온도계
지질학: 망치, 편광현미경, 암석연마기
지구물리학: 지진계, 중력계, 지전압계
6. 지구과학 탐구방법
(1) 탐구학습:
- 학생을 작은 과학자로 보고, 자연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을 알아내려는 학습형태
- 과학자가 하는 탐구과정을 그대로 학습과정에 도입하는 학습활동
6. 지구과학 탐구방법
(2) 과학개념 획득과 탐구방법 사이의 관계
- 여러 탐구방법 가운데에서 학생의 발달
단계와 능력에 맞추어 탐구하여야 한다.
관찰
오감을 총동원하여 대상인 사물, 현상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
예) 지층의 관찰
- 눈(시각): 색, 모양, 형태, 포함물질 조사
- 손(촉각): 굳기 조사
- 코(후각): 냄새 유무 조사
- 귀(청각): 망치로 두들겨 음의 차이조사
- 혀(미각): 맛의 유무 조사
관찰의 종류
정성적 관찰: 색, 형태, 모양, 맛, 냄새 등의 관찰(주로 오감에 의한 관찰)
정량적(수량적) 관찰: 크기, 무게, 개수 등의 관찰(단위를 설정하여 관찰하고 측정)
분류
복수의 사상 가운데 동일속성(색과 모양등)과 성질을 갖지 않는 것과 그룹으로 나누는 것 --> 관점을 명확히 한다.
분류의 예
암석: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성인에 의한 분류)
암석: 산성암, 염기성암(성분에 의한 분류)
구름: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고도에 의한 분류)
측정
정량적인 관찰로 관찰보다 상세히 하는 방법중의 하나, 어떤 양을 기준양과 비교하여 그것의 몇배인가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와 오차가 중요하다.
추천자료
[과외]중학 과학 2-2학기 중간 지구와 별
[과외]중학 과학 2-2학기 중간 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
[과외]중학 과학 2-1학기 기말 03 지구와 별
[과외]중학 과학 1-1학기 중간 01 지구의 구조
[과외]중학 과학 1-1학기 중간 01 지구의 구조(교사용)
[과외]중학 과학 2-2학기 중간2 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교사용)
[과외]중학 과학 2-2학기 기말 01 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교사용)
[과외]중학 과학 2-2학기 기말 01 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
[과외]중학 과학 중1-03 지구의 역사 02
[과외]중학 과학 중1-03 지구의 역사 03
[과외]중학 과학 중1-03 지구의 역사 04
과학교육의 본질, 과학교육의 목적, 과학교육의 동향, 수능시험(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영역...
지구와 환경(이야기 나누기, 과학 연계활동) 비가 내려요 과학 실험 모의수업 교육 활동 계획...
유아과학교육 화석 만들기 실험 활동 계획안(주제는 지구, 자연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