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과 문학(문학적 상징으로서의 나비부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오페라 ‘나비부인’의 탄생과정

2. 인물분석 및 비판

3. 줄거리

4. 작품 분석

5. 작품의 주제

6. 문학적 상징으로서의 나비부인

본문내용

<나비부인의 탄생과정>
원작은 존 루터 롱(John Luther Long)의 소설 “나비 부인”
- [Madame Butterfly]
“ 나비부인”탄생의 근원
- Pierre Lotti의 [Madame Chrysantheme]
다비드 벨라스코가 희곡화해 뉴욕에서 대성공
푸치니가 이 연극을 영국에서 보고 오페라화하기로 결심
<인물 분석 및 비판>
(나비 부인)-소프라노
본명: 초초상(소녀 시절)
직업: 기생
15살에 결혼
핑거톤과 결혼하여 아이까지 낳지만 결국 버림받고 자살하는 비극적 인물
사랑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며 순종하는 여인상
(핑거톤)-테너
미국 해군 사관
나비부인의 남편
나비부인에게 느끼는 사랑이 일시적이라는 것을 알고있고 머지않아 미국여인과 결혼 할 생각을 처음부터 갖고있다.
19세기 말 서구 제국주의의 새로운 일원으로 참여해 의욕적으로 제 몫을 챙기느라 분주하던 미국을 대표한다.
(스즈키)-메조 소프라노
나비 부인의 충실한 하녀
주인의 비극을 알면서도 옆에서 어린 주인을 보살피며 순종하는 여인상
(샤플레스)-바리톤
미국 영사 / 핑거톤의 친구
잘못된 결혼인 줄 알면서도 개인의 사생활에 깊이 관여하지 않는 매우 미국적인 관리
(고로)-테너
핑거톤에게 나비부인을 소개 시켜준다. 즉 중매쟁이
(케이트)-메조 소프라노
핑거톤이 미국에서 결혼한 부인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3.11.22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234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