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국악이 소외받고있는 현실과 간단한 분석
Ⅱ.국악과 가요의 용어정리
Ⅱ.1-국악이란?
Ⅱ.2-가요란?
Ⅲ.국악과 가요의 특성
Ⅲ.1-국악의 특성
Ⅲ.2-가요의 특성
Ⅳ.국악외면 현상 분석
-잘못된 방향의 음악교육,서구중심문화,일제시기,우리의 선입견
Ⅴ.우리가 국악을 아끼고 사랑해야 하는 이유 -우리민족 전통문화의 하나인 전통국악
Ⅵ.국악과 가요의 발전 방법
Ⅵ.1-발전 시도 사례
Ⅵ.2-발전 방법 제안
Ⅵ.2.1-대중문화적 접근 시도
Ⅵ.2.2-기타 여러 가지 측면의 접근시도
Ⅶ.결론
Ⅱ.국악과 가요의 용어정리
Ⅱ.1-국악이란?
Ⅱ.2-가요란?
Ⅲ.국악과 가요의 특성
Ⅲ.1-국악의 특성
Ⅲ.2-가요의 특성
Ⅳ.국악외면 현상 분석
-잘못된 방향의 음악교육,서구중심문화,일제시기,우리의 선입견
Ⅴ.우리가 국악을 아끼고 사랑해야 하는 이유 -우리민족 전통문화의 하나인 전통국악
Ⅵ.국악과 가요의 발전 방법
Ⅵ.1-발전 시도 사례
Ⅵ.2-발전 방법 제안
Ⅵ.2.1-대중문화적 접근 시도
Ⅵ.2.2-기타 여러 가지 측면의 접근시도
Ⅶ.결론
본문내용
조금더 대중성을 갖게 되고 새로운 발전으로 한걸음 나갈수있을것이다.
이 밖에도 음악인 김수철씨나 김덕수 사물놀이패와같은 우리국악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선각자들이 늘어간다면 보다 빨리 국악의 외면현상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세계를 유지하고 보존하는 것은 일반 대중이지만 새로운 시대를 제시하고 이끌어 가는 것은 소수의 선각자들에 의해서이기 때문이다.
창작국악인 김용우 팬클럽(cafe.daum.net/soriggun)의 게시판에서 인용.
Ⅵ.2.2-기타 여러 가지 측면의 접근시도.
국악은 시대의 흐름을 타야 한다. 그 흐름을 타는 길이 바로 대중화의 길이요, 민족음악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길다.그 흐름을 타지 못할 때 국악은 늘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음악이 돼버리고 마는 것이다.그러므로 국악은 주변의 여러 음악을 돌아보면서 그 음악들을 이용할 줄 알아야 한다.이러한 점에서 나는 국악이 대중화를 위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모습이 창작국악과 퓨전국악 또는 크로스오버국악이라고 생각한다.그리고 우리나라에는 벌써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창작국악이나 퓨전국악 분야에서 활발한 작품활동을 하는 국악인들이 많이 있다.
또한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 위에 언급한 지루한 국악교육의 방식을 탈피 해야 하고 서양 중심의 음악 교과서를 수정하고 새로운 방법을 찾도록 해야할 것이다.조금더 우리 국악에 교육의 비중을 두고 초등교육부터 흥미를 갖게 해줄 실습이나 공연 문화 위주의 수업을 한다면 지금보다는 훨씬 발전된 모습을 하고있을것 같다.
그리고 정부의 지원또한 필요하다.다른 문화 활동처럼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많은 국악인이나 국악관련 활동 음악가들이 대중가요의 가수들에 비해 상당히 열악한 조건속에서 생계를 살고있다.물론 국악과 가요에 관해서 시장에 관한 부가가치나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어서 어느한쪽에게 일방적인 지원을 할 수는 없지만,그냥 무조건 적인 지원보다는 조금더 편한 작업환경을 마련해주었으면 한다.국악관련 음반 발매시에 인지세등을 면제 시켜주는 방법도 좋은 예이며 조금더 인간문화재 등용문이나 지원내역의 강화등의 방법이 있을수가 있으며 또한 방송사에게 일부 제한을 걸어두는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있다.시청률이 높은 시간대에 국악 프로그램 방영의무화 제도를 걸어두거나 그에 따른 특혜를 주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Ⅶ.결론.
본인은 몇일전만해도 학교내에서 활동하는 내중연이나 기타 민속문화 관련 동아리에서 활동하는 학우들을 보면서 촌스럽다는 생각과 학우들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얼마나 들어갈만 한 동아리가 없었으면 저런걸...'-과 지루하기만한 생각들을 하고 있었다.그러나 본과제를 타의에 의해서 시작했었으나 과제를 수행하면서 보게되고 관심가졌던 여러 자료들을-특히 앞에서 말한 김덕수 사물놀이패-보면서 상당히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단지 우리 국악은,우리 문화는 소중한것이지만 따분하고 재미 없다는 생각을 하고있었느나 우리 국악에게도 매력이있고 다른 서구 가요문화와 어울려지면 그매력이 더큰 빛을 발한다는 것을 알수가 있게 됨으로써 남다른 생각을 할 수가 있게 되었다.본인의 경우를 비롯해서 다른 사람에게도 앞에서 언급한 발전 방안에대한 기반속에서 이렇게 새롭고 신선한 모습들을 볼 수 있고 자주 접하게된다면 틀림없이 많은 관심을 갖게되고 우리 국악에 흥미를 가질수있게 될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국악의 발전 방안에 대해서 여러 시각으로 접근하고 노력하고 지원해 주어야 할것이고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우리들이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 주어야 한다는것이다.한때 관심이 있을때에만 잠깐 열의를 가지고 시청하고 말지 말고 조금더 나름대로 해석도 집어넣고 재미있게 즐길수 있다면 우리 국악은 더 발전된 모습을 보일수가 있을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김점도(1987),'우리민요 대백과',세광음악 출판사.
박찬호(1992),'한국 가요사',서울:현암사.
선성원(1996),'대중 음악의 뿌리',서울:도서출판.
이영미(1998),'한국대중가요사',시공사,p.8.
이우용(1996),'PD이우용의 우리대중음악 읽기',서울:창공사.
두산 세계 대 백과 사전(www.encyber.com)
음반정보 홈페이지(www.changgo.com)민속국악인 김덕수 정보.
창작국악인 김용우 팬클럽(cafe.daum.net/soriggun).
KBS홈페이지(www.kbs.co.kr)
MBC홈페이지(www.imbc.co.kr)
SBS홈페이지(
www.sbs.co.kr
)
TNS 미디어 코리아(
www.tnsmk.co.kr
)
이 밖에도 음악인 김수철씨나 김덕수 사물놀이패와같은 우리국악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선각자들이 늘어간다면 보다 빨리 국악의 외면현상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세계를 유지하고 보존하는 것은 일반 대중이지만 새로운 시대를 제시하고 이끌어 가는 것은 소수의 선각자들에 의해서이기 때문이다.
창작국악인 김용우 팬클럽(cafe.daum.net/soriggun)의 게시판에서 인용.
Ⅵ.2.2-기타 여러 가지 측면의 접근시도.
국악은 시대의 흐름을 타야 한다. 그 흐름을 타는 길이 바로 대중화의 길이요, 민족음악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길다.그 흐름을 타지 못할 때 국악은 늘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음악이 돼버리고 마는 것이다.그러므로 국악은 주변의 여러 음악을 돌아보면서 그 음악들을 이용할 줄 알아야 한다.이러한 점에서 나는 국악이 대중화를 위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모습이 창작국악과 퓨전국악 또는 크로스오버국악이라고 생각한다.그리고 우리나라에는 벌써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창작국악이나 퓨전국악 분야에서 활발한 작품활동을 하는 국악인들이 많이 있다.
또한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 위에 언급한 지루한 국악교육의 방식을 탈피 해야 하고 서양 중심의 음악 교과서를 수정하고 새로운 방법을 찾도록 해야할 것이다.조금더 우리 국악에 교육의 비중을 두고 초등교육부터 흥미를 갖게 해줄 실습이나 공연 문화 위주의 수업을 한다면 지금보다는 훨씬 발전된 모습을 하고있을것 같다.
그리고 정부의 지원또한 필요하다.다른 문화 활동처럼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많은 국악인이나 국악관련 활동 음악가들이 대중가요의 가수들에 비해 상당히 열악한 조건속에서 생계를 살고있다.물론 국악과 가요에 관해서 시장에 관한 부가가치나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어서 어느한쪽에게 일방적인 지원을 할 수는 없지만,그냥 무조건 적인 지원보다는 조금더 편한 작업환경을 마련해주었으면 한다.국악관련 음반 발매시에 인지세등을 면제 시켜주는 방법도 좋은 예이며 조금더 인간문화재 등용문이나 지원내역의 강화등의 방법이 있을수가 있으며 또한 방송사에게 일부 제한을 걸어두는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있다.시청률이 높은 시간대에 국악 프로그램 방영의무화 제도를 걸어두거나 그에 따른 특혜를 주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Ⅶ.결론.
본인은 몇일전만해도 학교내에서 활동하는 내중연이나 기타 민속문화 관련 동아리에서 활동하는 학우들을 보면서 촌스럽다는 생각과 학우들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얼마나 들어갈만 한 동아리가 없었으면 저런걸...'-과 지루하기만한 생각들을 하고 있었다.그러나 본과제를 타의에 의해서 시작했었으나 과제를 수행하면서 보게되고 관심가졌던 여러 자료들을-특히 앞에서 말한 김덕수 사물놀이패-보면서 상당히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단지 우리 국악은,우리 문화는 소중한것이지만 따분하고 재미 없다는 생각을 하고있었느나 우리 국악에게도 매력이있고 다른 서구 가요문화와 어울려지면 그매력이 더큰 빛을 발한다는 것을 알수가 있게 됨으로써 남다른 생각을 할 수가 있게 되었다.본인의 경우를 비롯해서 다른 사람에게도 앞에서 언급한 발전 방안에대한 기반속에서 이렇게 새롭고 신선한 모습들을 볼 수 있고 자주 접하게된다면 틀림없이 많은 관심을 갖게되고 우리 국악에 흥미를 가질수있게 될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국악의 발전 방안에 대해서 여러 시각으로 접근하고 노력하고 지원해 주어야 할것이고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우리들이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 주어야 한다는것이다.한때 관심이 있을때에만 잠깐 열의를 가지고 시청하고 말지 말고 조금더 나름대로 해석도 집어넣고 재미있게 즐길수 있다면 우리 국악은 더 발전된 모습을 보일수가 있을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김점도(1987),'우리민요 대백과',세광음악 출판사.
박찬호(1992),'한국 가요사',서울:현암사.
선성원(1996),'대중 음악의 뿌리',서울:도서출판.
이영미(1998),'한국대중가요사',시공사,p.8.
이우용(1996),'PD이우용의 우리대중음악 읽기',서울:창공사.
두산 세계 대 백과 사전(www.encyber.com)
음반정보 홈페이지(www.changgo.com)민속국악인 김덕수 정보.
창작국악인 김용우 팬클럽(cafe.daum.net/soriggun).
KBS홈페이지(www.kbs.co.kr)
MBC홈페이지(www.imbc.co.kr)
SBS홈페이지(
www.sbs.co.kr
)
TNS 미디어 코리아(
www.tnsmk.co.kr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