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Mixing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방법

3. 토의

4. 실험결론

본문내용

것은 무엇일까..
아무래도 대장균이 죽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에 따라 이가 색깔이 변하게 되고 대장균의 색깔을 나타내는 붉은기가 사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4. 실험결론
우리의 실험은 실패라 하겠다. 그 이유는 실험도중에 Mixing이 잘못되어 배지에 배양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배양접시 열 개중에 블랭크 두 개를 뺀 나머지 여덟 개중에서 대장균이 나타난 것은 겨우 한 개이다. 하지만 다른 경우를 볼 경우 100배 희석부터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우리의 실험결과가 그렇게 나쁘지는 않다.
겨우 나타난 원액의 대장균 배양을 살펴보면 오른 쪽 하단에 붉은 색 반점 모양을 한 대장균의 모습이 보인다. 이는 대장균 한 콜로니가 나타난 것으로 그 크기는 배지의 영양분을 얼마나 소화해 냈느냐 하는 것에서 그 크기가 다르다 하겠다. 콜로니의 개수는 28개이며 이는 우리가 얻고자 한 정확한 데이터가 아니다. 색깔은 적갈색의 배지 위에 붉은 색을 가지고 있었고 반점 모양을 가졌다.
대장균이 음료수의 중요한 오염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이유는 동물의 배설물 중에 항상 대량으로 존재하며 소화기계 전염병원균과 함께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소화기계 병원균보다 저항력이 조금 강하고 일반세균보다는 약하며 수중에서는 병원균보다 약간 오래 생존한다. E.Coli가 음성이어도 그 밖의 대장균군은 존재할 때가 있다. 왜냐하면 분뇨오염이 되어도 수중의 E.Coli은 완전히 소멸되지마 E.Coli보다 저항성이 큰 Salmonella Citrobacter등이 장기간 수중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마 대장균은 다른 병원균보다 검출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이용된다고 하겠다 대장균 시험은 정밀하여 극히 적은 양도 검출된다. 대장균군 그 자신은 일반적으로 병원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또한 물에 대하여 반드시 유해물질은 아니지만 분뇨오염의 증거가 됨을 유념해야 한다.
5. 참고문헌
팽종인 / 수질관리 / 신광문화사 / 1999 / 155∼157
배무 이영록 공역 / 최신 미생물학 / 아카데미 서적 / 1994 / 34∼36, 43∼47
민경희 김치경 조민기 편저 / 대학 미생물학 / 탐구당 / 1990 / 102 , 104∼105
박석기 김광천 김영성 김운기 김중배 최한영 / 최신미생물학 / 신광문화사 / 1995 / 51∼53, 61 ,262∼277
기타 인터넷
/대장균-mth.htm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24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3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