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소개>
<서론>
<본론>
-1장
-2장
-3장
-4장
-5장
<맺음말>
<서론>
<본론>
-1장
-2장
-3장
-4장
-5장
<맺음말>
본문내용
강의 평가 사례를 참조하여 자신의 강의 개선에 힌트를 얻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다.
이 장에서는 실질적으로 어떻게 강의가 개선되어야 하는 지를 주로 다루고 있다. 주변에서 보면 친구들 중에서도 똑같은 이야기를 말하는데 있어서 어떤 친구는 너무 재밌고 흥미 진진해서 다음 이야기가 계속 궁금해지게 만드는가 하면 어떤 친구는 이야기만 하면 지루해서 하품만 나오기 일수인 경우가 있다. 이것은 말의 속도와 강약, 리듬감, 몸동작 등 여러 가지 요인에서 비롯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나는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의 말에 학생들이 빨려 들어 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교육자의 첫 번째 과제라고 생각한다. 일단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교육에 책임이 있는 직책에 있다면 자신을 비디오로 분석하는 열의를 충분히 보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만약 그렇게 정진하시는 교수님이 계시다면 정말 존경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맺음말>
이 책은 교사가 아니더라도 한번쯤 읽어볼 만한 가치가 있는 책인 것 같다. 물론 내가 교육을 평생의 직업으로 삼고 정진하는 것은 아니지만 미래의 나는 어떤 식으로든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살 것이고 이것은 곧 어떤 측면에선 나도 다른 사람을 교육하는 사람 일 수 있다는 걸 의미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미래의 나는 아이의 엄마가 되어 내 아이를 교육할 수도 있고 내 주변의 후배나 조카, 친척 아이, 또래 친구 등 다른 이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참 무서운 말인 것 같다. 나의 영향으로 내 자녀들이 나쁘게 삐뚤어진다면 어떻게 해야하지... 나도 이제 교육의 한 책임자가 되어야 한다는 걸 비로소 느낀다. 교육은 학교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가정에서도 사회에서도 또래 집단에서도 존재하는 것이 교육이다. 그러고 보면 우리의 생활 그 자체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고 하는 교육이 아닐까 한다. 좀 과장된 말일 수 있겠으나 이것은 분명 생각해 볼 만한 문제인 것 같다. 나의 잘못된 교육관으로 나의 아이가 나쁜 길을 걷게 된다면 그때마다 나는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하는지 진지하게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겠다. 비록 전문적인 지식과 소양을 갖출 수는 없겠지만 교육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보고 나름의 교육 철학을 가지고 삶을 살아가는 자세를 갖도록 해야겠다.r
이 장에서는 실질적으로 어떻게 강의가 개선되어야 하는 지를 주로 다루고 있다. 주변에서 보면 친구들 중에서도 똑같은 이야기를 말하는데 있어서 어떤 친구는 너무 재밌고 흥미 진진해서 다음 이야기가 계속 궁금해지게 만드는가 하면 어떤 친구는 이야기만 하면 지루해서 하품만 나오기 일수인 경우가 있다. 이것은 말의 속도와 강약, 리듬감, 몸동작 등 여러 가지 요인에서 비롯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나는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의 말에 학생들이 빨려 들어 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교육자의 첫 번째 과제라고 생각한다. 일단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교육에 책임이 있는 직책에 있다면 자신을 비디오로 분석하는 열의를 충분히 보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만약 그렇게 정진하시는 교수님이 계시다면 정말 존경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맺음말>
이 책은 교사가 아니더라도 한번쯤 읽어볼 만한 가치가 있는 책인 것 같다. 물론 내가 교육을 평생의 직업으로 삼고 정진하는 것은 아니지만 미래의 나는 어떤 식으로든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살 것이고 이것은 곧 어떤 측면에선 나도 다른 사람을 교육하는 사람 일 수 있다는 걸 의미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미래의 나는 아이의 엄마가 되어 내 아이를 교육할 수도 있고 내 주변의 후배나 조카, 친척 아이, 또래 친구 등 다른 이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참 무서운 말인 것 같다. 나의 영향으로 내 자녀들이 나쁘게 삐뚤어진다면 어떻게 해야하지... 나도 이제 교육의 한 책임자가 되어야 한다는 걸 비로소 느낀다. 교육은 학교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가정에서도 사회에서도 또래 집단에서도 존재하는 것이 교육이다. 그러고 보면 우리의 생활 그 자체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고 하는 교육이 아닐까 한다. 좀 과장된 말일 수 있겠으나 이것은 분명 생각해 볼 만한 문제인 것 같다. 나의 잘못된 교육관으로 나의 아이가 나쁜 길을 걷게 된다면 그때마다 나는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하는지 진지하게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겠다. 비록 전문적인 지식과 소양을 갖출 수는 없겠지만 교육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보고 나름의 교육 철학을 가지고 삶을 살아가는 자세를 갖도록 해야겠다.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