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Divide(정보격차)해소를 위한 개도국 지원현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igital Divide(정보격차)해소를 위한 개도국 지원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Digital Divide의 정의

2. 정보격차의 현황(개도국을 중심으로)

3. 동남아시아 국가(개도국)의 정보화 및 정보격차 해소 노력
가. 말레이시아
나. 베트남
다. 인도네시아
라. 태국

4.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국제기구의 노력
가. APEC
나. UN
다. 선진 8개국 정상회담(G8)
라. 세계경제 포럼
마. OECD
바. ASEM 정상회담
사. World Bank
자. ASEM+3 정상회담
차. 정보격차 해소재단
타. ITU

5. 한국의 개도국 지원 현황
가. 정보통신부
나. KRNIC

본문내용

ania, Uganda, Mali, Benin 등 10개국에 현재 시범사업을 실시 중에 있다.
World Summit On Information Society
- 세계 각국 정상간 정보사회에 관한 비전과 이해를 공유하기 위해 개최되는 것으로 2003(1차, 스위스)과 2005년 (2차, 튀니지) 두 번에 걸쳐 개최될 예정이다. 이는 유엔 산하 기구뿐만 아니라 다른 국제기구, NGO, 민간사업자 등 모든 영역이 참여하여 시너지 효과 창출할 예정이다.
한국의 개도국 지원 현황
정보통신부
ASEAN 회원국 위주로 IT 인프라 구축
- ASEAN 회원국 중 3개 나라에 PC와 교육프로그램을 우선 제공하는 한편, 강사요원 초청 및 연수를 통한 교육훈련, 교육훈련 CD보급, 원격교육 지원
IT 기술 및 정책 자문단 파견, 정보격차 해소 연구사업 발굴
- IT기술과 정책자문을 요청하는 나라에는 정통부 국제협력관을 단장으로 산·학·연·관 관계자로 구성된 "IT기술·정책자문단" 파견, IT 종합 컨설팅 등 한국형 정보화 모델을 전수하고, 기술이전 설명회를 포함한 IT산업협력 포럼도 함께 개최
국제 정보격차 해소 포럼 개최
- 상·하반기 1회씩 관련 전문가를 초청, 국제 정보격차 해소 포럼을 열어 한국 등 IT선진국 발전 모델을 바탕으로 한 개도국 정보격차 해소방안을 마련하기로 함.
ASEAN+3 정보통신 민간협의회 활성화 지원
KRNIC
추진배경
: UN, G-8 정상회담, OECD 등 국제기구들은 국가간·국가내의 정보격차 문제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으며 ITU-D에서는 개발 도상국의 개발 및 재정에 대한 기술적, 행정적 연구 및 대안검토
정보격차해소사업은 세계 각국의 현안인 동시에 범국가적 차원의 협력이 필요한 사업으로 정부의 정책사업의 동참을 통한 한국의 위상정립 및 국내업체의 해외진출을 위한 발판 마련
추진목적
- 동아시아는 국가간 정보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 지역으로서 동아시아지역의 공동발전을 위해 국가간 정보격차 해소가 필요
- 동북아 IT 허브구축사업 동참을 통해 국내업체의 해외진출기반을 확보하고 우리나라의 위상을 강화
- 정보화 선진국으로서 국가간 정보격차 해소 지원에 적극 동참하면서 신규 인터넷관련 시장개척을 위하여 개도국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인터넷분야 개발협력을 추진
센터의 개도국 지원현황
- 2001. 3 : 개도국 베트남NIC와 협정체결
- 2001. 6 : 개도국 인터넷기반 조성을 위한 네트워크장비.기술지원관련 한국네트워크연구조합 등 9개 기관과 협정식
- 2002. 2 : 국산 네트워크 장비/기술 지원사업관련 베트남 SSP와 조인식 개최
- 2002. 6 : 인도네시아 쿠타이 지방정부와 인터넷정보 및 교류협력에 대한 협정 체결
- 2002. 9 : 캄보디아 국가정보통신기술개발원(NiDA)과 협정 체결
- 2002. 12 : 인터넷기반조성 및 교류증진을 위한 라오스 국립대학교와 협정 체결
- 2003. 2 : 해외 IT 자원 봉사단 후원
- 2003. 5 : 국제전기통신개발부문(ITU-D) 가입
추진 계획
- 미안마, 태국등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와 협력관계 조성을 위해 각국 정부 및 주요 단체와 논의 진행
- 2003. 11월 캄보디아 및 라오스와 맺은 양해각서 합의 내용의 후속조치에 따른 국제협력 세미나 개최를 통하여 국내 기업의 기술력과 노하우 전수 및 전문인력의 활발한 교류 창구역할 제공
- ITU-D 정보격차 해소 프로젝트 참여하여 범국가적 협력을 통한 공존공영의 기틀을 마련하고, 국가간 기술 지원과 전문인력의 활발한 교류 증진 및 우리 기업의 동남아시아 및 중앙아시아 진출에 기여
* TDAG, 연구그룹, 워킹그룹, 세미나, 원탁회의의 선택적 참여
* 세계전기통신개발회의(World Telecommunication Development Conferences) 참가
- 2003. 12월 ITU 정보사회 세계정상회의(WSIS)의 참여를 통하여 정보사회에 관한 비젼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 정보화의 규범제정자로서 한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 방안에 대한 기여
기대효과
- 개발도상국 정보화 지원으로 국내 기업의 시장 진출 확보 및 글로벌 정보사회 위상강화
- 인터넷의 운용 관련정보 교류
- IPv6 등 신기술 도입을 위한 전문인력의 정기적 교류협력
- 인터넷주소자원관리에 관한 정책수립의 상호지원
- 도메인 등록, 관리에 대한 기술 협력
- 인터넷이용 활성화 및 아시아지역의 IT발전을 위한 민간교류의 발판을 마련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1.28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50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