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려 불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고려 불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려불화의 내용과 주제
1)고려불화의 특징
2)관경변상도
3)아미타불존상도
4)아미타래영도
5)미륵하생경변상도

Ⅲ. 결론

본문내용

상은 서방극락왕생사상의 아미타사상과 거의 흡사한 것이지만, 용화수하성불사상은 오랜 후세에 석가불이 미처 구제하지 못한 중생들을 남김없이 구제한다는 이른바 메시아사상이므로 왕생사상이 아니라 미래에 이 땅을 정토로 만들겠다는 미래 구제를 약속하는 사상인 것이다. 이러한 두 사상은 일찍부터 불교도들에게 인기가 있어서 널리 믿어졌다.
이 가운데 상생, 즉 도솔천왕생사상은 보다 체계화되고 보다 심화되어서 진종 또는 법상종이라 대종파로 널리 믿어졌다. 미래의 정토를 약속하는 하생사상은 이세상을 정토로 만들고 모든 사람들을 구제하겠다는 구제자로서의 미륵불을 열렬히 신앙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메시아 신앙은 세상이 혼란하거나 사회가 불안할때는 더욱 열렬히 믿어졌다. 고려시대의 법상종은 아마도 하생신앙이 크게 믿어졌던 것으로 보여진다. 금산사나 법주사 등에서 행해진 신앙형태는 바로 하생신앙적인 성격이 더 강했던 데서 어느 정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려시대의 법상종은 비록 한 때는 천태종보다 열세에 몰리기도 했지만 화엄종과 함께 이대 종파로 군림하고 있었던 것은 신라시대와 마찬가지 였다. 특히 하생경의 메시아 사상은 후삼국 시대에서도 성행한 것으로 생각된다. 태뵨의 궁예가 자칭 세상을 구제하러 강림한 구제자 미륵불로 행세하면서 민심을 수습하려 했던 사실로 보면 당시에 하생신앙이 널리 성행하고 있었던 것을 충분히 알 수 있다. 이러한 신앙은 그후 고려시대에도 널리 성행하고 있었던 것으로, 그 단적인 실례가 미륵하생경변상도인 것이다. 미륵하생경변상도는 1350년 회전이 그렸다고 전해지는 미륵하생경변상도와 지오인 소장 미륵하생경변상도등이 그 대표라 할 수 있다.
Ⅲ. 結論
이제껏 우리 고려불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수업시간에 배웠던 슬라이드의 그림들을 생각하며 그 속에 배어 있는 그림들의 조성배경과 고려시대의 시대 상황, 그리고 불화의 특징들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물론, 개인적으로 관심 있던 변상도와 아미타신앙에 관련된 불화들 위주로 레포트를 써나가서인지 몰라도 수월관음도나 지장보살도, 나한도 등 또 다른 불화의 세계의 범주까지 조사가 미치지 못한 것에 대해 약간의 아쉬움은 분명 존재하지만, 불교의 흥망과 함께 나라의 400여년 일생을 함께 했던 고려. 그들의 불화의 세계에 대한 감흥만은 나에게 전달되어져 뚜렷한 느낌으로 각인된 것은 확실하다 할 수 있다.
출처: 【고려불화】문명대 著 . 【한국 불교 미술사】김영주 著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30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56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