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계의 계념
2. 통계의 필요성
3. 통계의 함정과 오류
4. 함정및 오류의 예
2. 통계의 필요성
3. 통계의 함정과 오류
4. 함정및 오류의 예
본문내용
5명)가 영어전문어학원, 학습지, 1대1 방문과외 등을 이용한 조기영어교육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유형별로는 <>영어전문어학원에 보낸다는 응답이 전체의 13.1%(5백42명) <>학습지 지도교사의 방문교육을 이용한다는 12.2%(5백6명) <>1대1 방문과외를 한다가8.3%(3백44명) <>소규모 공부방교육을 이용한다가 6.2%(2백57명) 등으로 조사됐다.
자녀의 영어교육에 지출하는 비용을 묻는 질문에는 10만원 이하가 67.3%(2천7백82명),10만~20만원은 20.5%(8백47명)이었다.
30만원 이상을 투자한다는 응답자도 12.2%(4백92명)에 달했다.
한국경제신문 2003-01-22 17:23:45
『2~3세 유아를 둔 20~30대 엄마』인 모집단을 인터넷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다는 것은 통계적으로 안전하지 못한 방법이다. 시간과 돈을 절약할 목적으로 신문사나 방송국 등에서 질문 내용을 공개적으로 말해주고 응답자가 우편, 전화, 자동 응답 전화(ARS), 컴퓨터 통신, 인터넷 등의 수단으로 조사에 참여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런 방법들은 간편하게 자료를 모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누가 질문에 답하는가를 알 수 없다는 결정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익이 걸린 사람들이 그 조사에 여러 번 참가하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다. 즉, 이렇게 얻어진 표본 조사는 전체 집단을 대표하지 않을 위험이 높다.
또 한가지는 주의 깊게 보아야 할 것은 설문조사 응답자가 이미 쑥쑥닷컴 접하고 있었다는 것고 설문조사 응답자는 이미 조기 영어교육에 관심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집단의 개체 중 일부에 편중적으로 이루어진 표본은 모집단을 대표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결론적으로 위 경우는 평균 조기 영어교육률보다 높은 조기 영어교육률을 기록 할 수밖에 없다. 앞에서와 같이 모집단을 구성하는 개체들중 표본이 공정하게 추출되었는가를 무시하고 조사내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통계적 함정에 빠질 수 있다.
5. 美 국민 전쟁 지지 66%로 높아져
부시 대통령이 17일 오후 8시(현지시간) 대국민 연설을 통해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에게 48시간내에 이라크를 떠나지 않으면 공격하겠다는 내용의 최후통첩을 한 이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0% 이상이 이라크전을 지지했다.
CNN과 USA투데이, 갤럽 등이 부시 대통령 연설 직후 77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66%가 최후통첩을 지지했다. 반대는 30%에 그쳤다. 조사 대상자 중의 44%는 전쟁이 정당하다고 밝혔고 21%는 전쟁의 가치에 대해서는 확신하지 못하지만 대통령을 지지하기 때문에 최후통첩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월스트리트 저널(WSJ)과 NBC 방송이 부시 대통령 연설 이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61%가 현 시점에서의 군사 행동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미국이 이라크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좀더 시간을 가져야 한다는 응답은 33%였다.
부시 대통령의 최후통첩 전에 이뤄진 대부분의 설문조사에서는 조사 대상자의 절반 이상 이 유엔의 지지없는 이라크 공격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미국민 대다수는 또 미국이 외교적으로 할만한 노력은 다했다고 평가했다. CNN과 USA투데이 조사에 의하면 응답자의 68%가 미국이 이라크 위기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모든 할 일을 다했다고 응답했다. 이에 대한 반대 의견은 28%에 불과했다. 2월 7~9일에 실시된 설문조사에서는 54%가 미국의 외교적 선택권이 소진됐다고 응답했었다.
이와함께 대다수 미국민은 이번 이라크전을 통해 후세인 대통령이 축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CNN과 USA투데이 설문조사에서는 79%가, WSJ와 NBC 설문조사에서도 70% 이상이 미국이 후세인 대통령을 몰아낼 것이라고 대답했다.
그러나 이라크전 이후의 테러 위협에 대해서는 두 설문조사 사이에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WSJ와 NBC 조사에서는 16%만이 후세인 대통령의 축출로 테러 위협이 줄 것이라고 응답했고 54%는 오히려 이라크전으로 테러 위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CNN과 USA투데이 조사에서는 53%가 후세인 대통령이 제거되면 미국이 테러 위협으로부터 좀더 안전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오히려 덜 안전해질 것이라는 응답은 38%였다.
머니투데이(경제신문) 2003-03-19 11:47:23
위 내용을 보면 CNN, USA투데이, 갤럽 등의 유명한 방송국 및 리써치에서 조사한 결과라고 언급하여 『美 국민 전쟁 지지 66%로 높아져』라는 것에 신뢰성을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도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있다.
① 과연 66%가 정확한가?
② 연설이 끝나고 776명 설문에 응했는데 그렇다면 설문대상자는 누구였는가?
③ 각 기관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조사대상을 정했고 몇 명을 조사하였는가?
④ 설문내용은 무엇인가?
위 ①∼④까지 내용이 모두 언급하고 또한 조사방법 역시 제대로 된 것이라면 이 통계자료는 믿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위 기사의 통계자료만 가지고 美국민 전쟁 지지가 66%로 높아졌다고 하는 것은 함정이 있다.
1. 통계학개론 (박명섭 박광태) -홍문사-
2.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통계상식 백가지 (김진호) -현암사-
3. 재미있는 통계 이야기 (허프 더렐) -청아출판사-
3. http://www.mstat.com.ne.kr/8search/search.html
4. http://news.korea.com/magazine/datanews/statistics_list.asp?seqno=3415
5. http://loss1.interpia98.net/~dhopark/san/san.htm
6. http://www.datanews.co.kr/report.php3?mode=view&id=datanews2&category=&str=&a id= 4921&start=0
7. http://news.empas.com/issue/news_list.html/326/∼85
8. http://www.nso.go.kr/ma/SWS_1110pop.html
9. http://news.empas.com/show.tsp/20030213n01427/?s=29&e=207
유형별로는 <>영어전문어학원에 보낸다는 응답이 전체의 13.1%(5백42명) <>학습지 지도교사의 방문교육을 이용한다는 12.2%(5백6명) <>1대1 방문과외를 한다가8.3%(3백44명) <>소규모 공부방교육을 이용한다가 6.2%(2백57명) 등으로 조사됐다.
자녀의 영어교육에 지출하는 비용을 묻는 질문에는 10만원 이하가 67.3%(2천7백82명),10만~20만원은 20.5%(8백47명)이었다.
30만원 이상을 투자한다는 응답자도 12.2%(4백92명)에 달했다.
한국경제신문 2003-01-22 17:23:45
『2~3세 유아를 둔 20~30대 엄마』인 모집단을 인터넷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다는 것은 통계적으로 안전하지 못한 방법이다. 시간과 돈을 절약할 목적으로 신문사나 방송국 등에서 질문 내용을 공개적으로 말해주고 응답자가 우편, 전화, 자동 응답 전화(ARS), 컴퓨터 통신, 인터넷 등의 수단으로 조사에 참여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런 방법들은 간편하게 자료를 모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누가 질문에 답하는가를 알 수 없다는 결정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익이 걸린 사람들이 그 조사에 여러 번 참가하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다. 즉, 이렇게 얻어진 표본 조사는 전체 집단을 대표하지 않을 위험이 높다.
또 한가지는 주의 깊게 보아야 할 것은 설문조사 응답자가 이미 쑥쑥닷컴 접하고 있었다는 것고 설문조사 응답자는 이미 조기 영어교육에 관심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집단의 개체 중 일부에 편중적으로 이루어진 표본은 모집단을 대표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결론적으로 위 경우는 평균 조기 영어교육률보다 높은 조기 영어교육률을 기록 할 수밖에 없다. 앞에서와 같이 모집단을 구성하는 개체들중 표본이 공정하게 추출되었는가를 무시하고 조사내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통계적 함정에 빠질 수 있다.
5. 美 국민 전쟁 지지 66%로 높아져
부시 대통령이 17일 오후 8시(현지시간) 대국민 연설을 통해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에게 48시간내에 이라크를 떠나지 않으면 공격하겠다는 내용의 최후통첩을 한 이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0% 이상이 이라크전을 지지했다.
CNN과 USA투데이, 갤럽 등이 부시 대통령 연설 직후 77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66%가 최후통첩을 지지했다. 반대는 30%에 그쳤다. 조사 대상자 중의 44%는 전쟁이 정당하다고 밝혔고 21%는 전쟁의 가치에 대해서는 확신하지 못하지만 대통령을 지지하기 때문에 최후통첩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월스트리트 저널(WSJ)과 NBC 방송이 부시 대통령 연설 이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61%가 현 시점에서의 군사 행동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미국이 이라크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좀더 시간을 가져야 한다는 응답은 33%였다.
부시 대통령의 최후통첩 전에 이뤄진 대부분의 설문조사에서는 조사 대상자의 절반 이상 이 유엔의 지지없는 이라크 공격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미국민 대다수는 또 미국이 외교적으로 할만한 노력은 다했다고 평가했다. CNN과 USA투데이 조사에 의하면 응답자의 68%가 미국이 이라크 위기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모든 할 일을 다했다고 응답했다. 이에 대한 반대 의견은 28%에 불과했다. 2월 7~9일에 실시된 설문조사에서는 54%가 미국의 외교적 선택권이 소진됐다고 응답했었다.
이와함께 대다수 미국민은 이번 이라크전을 통해 후세인 대통령이 축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CNN과 USA투데이 설문조사에서는 79%가, WSJ와 NBC 설문조사에서도 70% 이상이 미국이 후세인 대통령을 몰아낼 것이라고 대답했다.
그러나 이라크전 이후의 테러 위협에 대해서는 두 설문조사 사이에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WSJ와 NBC 조사에서는 16%만이 후세인 대통령의 축출로 테러 위협이 줄 것이라고 응답했고 54%는 오히려 이라크전으로 테러 위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CNN과 USA투데이 조사에서는 53%가 후세인 대통령이 제거되면 미국이 테러 위협으로부터 좀더 안전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오히려 덜 안전해질 것이라는 응답은 38%였다.
머니투데이(경제신문) 2003-03-19 11:47:23
위 내용을 보면 CNN, USA투데이, 갤럽 등의 유명한 방송국 및 리써치에서 조사한 결과라고 언급하여 『美 국민 전쟁 지지 66%로 높아져』라는 것에 신뢰성을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도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있다.
① 과연 66%가 정확한가?
② 연설이 끝나고 776명 설문에 응했는데 그렇다면 설문대상자는 누구였는가?
③ 각 기관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조사대상을 정했고 몇 명을 조사하였는가?
④ 설문내용은 무엇인가?
위 ①∼④까지 내용이 모두 언급하고 또한 조사방법 역시 제대로 된 것이라면 이 통계자료는 믿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위 기사의 통계자료만 가지고 美국민 전쟁 지지가 66%로 높아졌다고 하는 것은 함정이 있다.
1. 통계학개론 (박명섭 박광태) -홍문사-
2.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통계상식 백가지 (김진호) -현암사-
3. 재미있는 통계 이야기 (허프 더렐) -청아출판사-
3. http://www.mstat.com.ne.kr/8search/search.html
4. http://news.korea.com/magazine/datanews/statistics_list.asp?seqno=3415
5. http://loss1.interpia98.net/~dhopark/san/san.htm
6. http://www.datanews.co.kr/report.php3?mode=view&id=datanews2&category=&str=&a id= 4921&start=0
7. http://news.empas.com/issue/news_list.html/326/∼85
8. http://www.nso.go.kr/ma/SWS_1110pop.html
9. http://news.empas.com/show.tsp/20030213n01427/?s=29&e=207
추천자료
증권거래를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학습지도안-수학(IV 확률과 통계)
통계적 공정관리 검추정 기본개념
보건의료통계학 및 실습
(노인복지론)노인고용보장정책 현황(08.09월 지역별 취업 통계) 문제점, 개선방향 보고서
국내의 주요 성 인지 통계관련 교육 및 세미나 실시 현황
[심리통계] 초등학교 또래 집단이 주체성 자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행정통계론 용어정리
저출산 고령화 현상 중에서 저출산의 실태를 보건복지부 출산장려홍보물(동영상, 통계자료)를...
(2015 특수아교육A형) 우리나라 유아 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최근 ...
최근까지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통계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예방 방안에 관하여
★ 보건통계학 -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실습 만족도
[경제통계분석] 선발투수가 야구경기 승패에 과연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