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워크 에반스
2. 로버트 프랭크
3. 다이안 아버스와 새로운 경향
4. 그 이후의 작가들
2. 로버트 프랭크
3. 다이안 아버스와 새로운 경향
4. 그 이후의 작가들
본문내용
음을 나타내는 순간에 관심을 두었으나 그 사진들은 사람들의 따뜻한 인간미에 의해 그러한 모습이 경감되고 있다. 미국인의 공공행사에 대해 촛점을 맞춘 또 다른 사진가는 시카고 디자인 학교에서 수학한 텍사스인인 지오프 워닝햄인데 그는 방법적인 면에서 아버스뿐만 아니라 게리 위노그랜드와도 많은 연관이 있는것 같다.
위닝햄의 세편의 주요 에세이는 Friday Night At The Coliseum, Going Texan 그리고 Rites of fall인데 그것은 각각 프로레슬링과 동물쇼 그리고 고등학교 축구시합을 기록한 것이다. 거기에는 그 시합의 과격한 특성이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즉 레슬러의 복장을 지나치게 꾸민 부자연스러움과 악한 쪽에선 레슬러의 악랄함의 과장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위닝햄이 무시무시한 것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은 구경꾼들의 감정적 반응이나 경기에 대한 개인적인 열광이다. 어떤 사진에서는 몽고인 같은 소년이 두 장의 동일한 레슬러의 포트레이트를 들고 있다.
위닝햄의 위치는 자신이 기록한 행동을 의심없이 받아 들이는 것과 그 속에서 낯설음을 발견했을때 느끼는 충격적인 발견과 놀라움 사이를 항상 옮겨 다니는 것 같다. 우리가 이야기 하고 있는 모든 사진가들 가운데 닐 셀커크는 다이안 아버스와 개인적으로 가장 가까운 친구일 것이다. 그는 리처드 아베던과 히로의 조수로 몇년을 보낸후 1970년과 1971년 사이에 아버스와 함께 공부했다. 1971년 아버스가 죽은 후 그는 그녀의 네가티브를 검토하고 인화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다이안 아버스의 영향력은 그이 개인적인 작품활동이나 상업적 활동의 근저에 깔려있다. 1979년 바움/ 마크스 화인아트는 지도적 인물에 대한 시각적인 관찰을 표현한 이라는 제목을 붙인 셀커크의 10장의 포트레이트 사진철을 발간 하였다. 거기에는전 뉴욕시의 형사 모리스 나자리, 정치인 찰스 콜슨과 엘거 히스, 신문기자 I . F . 스톤 그리고 포수 켓휘쉬헌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라이카로 촬영한 지미호프의 포트레이트만 제외하고는 모두 정면 플레시광을 이용하여 18 * 18 인치의 4각형 화면에 흑백으로 인화한 커다란 사진들이다.
테크닉면에서 보면 아버스와 매우 유사하지만 그 결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의 전형적인 연출효과를 창조해 냄으로써 다방면으로 볼때 평범하고 완벽한 표정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 사진들에 내포된 모든 아이러니는 사진이 만들어낸 핵심 인물의 분위기 즉 그 표현이 본래 유명한 소재 인물들에게 적합한 것 같은 분위기와 이러한 명상이 있는 인물들의 세속적 모습에 대한 실제적 표현사이의 차이에서 나타난 결과이다.
뉴욕의 밀러턴 이라는 작은 마을에 대한 마크 굿맨의 도큐멘터리 에세이는 몇명의 마을 주민등의 포크레이트를 클로즈업과 주광에 플레시를 사용하여 촬영하고 있다. 과감하게 플래시를 사용하여 표현된것은 비교적 잘 먹고 잘 입고 대부분의 전형적인 건강한 미국인 들이다. 그에게는 아버스가 그녀의 정상적인 인물을 통해서 나타낸 이상함과 핑크의 파티 참석자들을 감싸고 있는 정신적인 질환도 전혀 찾아볼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굿맨은 사진속의소재인 전형적인 미국인들이 얼굴을 서로 맞대고 바라보는 순간 그들의가면이 벗겨지고 자신들과 함께 있었던 것처럼 여겨졌던 모든것이 비현실임을 나타내주고 있다. 몇몇은 혼란스럽기도 하고 또는 보통사람들에게 자주 인식할수 없는 존엄상을 표현하고 있다.
복장을 지나치게 꾸민 부자연스러움과 악한 쪽에선 레슬러의 악랄함의 과장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위닝햄이 무시무시한 것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은 구경꾼들의 감정적 반응이나 경기에 대한 개인적인 열광이다. 어떤 사진에서는 몽고인 같은 소년이 두 장의 동일한 레슬러의 포트레이트를 들고 있다. 위닝햄의 위치는 자신이 기록한 행동을 의심없이 받아 들이는 것과 그 속에서 낯설음을 발견했을때 느끼는 충격적인 발견과 놀라움 사이를 항상 옮겨 다니는 것 같다. 우리가 이야기 하고 있는 모든 사진가들 가운데 닐 셀커크는 다이안 아버스와 개인적으로 가장 가까운 친구일 것이다. 그는 리처드 아베던과 히로의 조수로 몇년을 보낸후 1970년과 1971년 사이에 아버스와 함께 공부했다. 1971년 아버스가 죽은 후 그는 그녀의 네가티브를 검토하고 인화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다이안 아버스의 영향력은 그이 개인적인 작품활동이나 상업적 활동의 근저에 깔려있다. 1979년 바움/ 마크스 화인아트는 지도적 인물에 대한 시각적인 관찰을 표현한 이라는 제목을 붙인 셀커크의 10장의 포트레이트 사진철을 발간 하였다. 거기에는 전 뉴욕시의 형사 모리스 나자리, 정치인 찰스 콜슨과 엘거 히스, 신문기자 I . F . 스톤 그리고 포수 켓휘쉬헌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라이카로 촬영한 지미호프의 포트레이트만 제외하고는 모두 정면 플레시광을 이용하여 18 * 18 인치의 4각형 화면에 흑백으로 인화한 커다란 사진들이다.
테크닉면에서 보면 아버스와 매우 유사하지만 그 결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의 전형적인 연출효과를 창조해 냄으로써 다방면으로 볼때 평범하고 완벽한 표정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 사진들에 내포된 모든 아이러니는 사진이 만들어낸 핵심 인물의 분위기 즉 그 표현이 본래 유명한 소재 인물들에게 적합한 것 같은 분위기와 이러한 명상이 있는 인물들의 세속적 모습에 대한 실제적 표현사이의 차이에서 나타난 결과이다. 뉴욕의 밀러턴 이라는 작은 마을에 대한 마크 굿맨의 도큐멘터리 에세이는 몇명의 마을 주민등의 포크레이트를 클로즈업과 주광에 플레시를 사용하여 촬영하고 있다. 과감하게 플래시를 사용하여 표현된것은 비교적 잘 먹고 잘 입고 대부분의 전형적인 건강한 미국인 들이다. 그에게는 아버스가 그녀의 정상적인 인물을 통해서 나타낸 이상함과 핑크의 파티 참석자들을 감싸고 있는 정신적인 질환도 전혀 찾아볼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굿맨은 사진속의 소재인 전형적
인 미국인들이 얼굴을 서로 맞대고 바라보는 순간 그들의 가면이 벗겨지고 자신들과 함께 있었던 것처럼 여겨졌던 모든것이 비현실임을 나타내주고 있다. 몇몇은 혼란스럽기도 하고 또는 보통사람들에게 자주 인식할수 없는 존엄상을 표현하고 있다.
위닝햄의 세편의 주요 에세이는 Friday Night At The Coliseum, Going Texan 그리고 Rites of fall인데 그것은 각각 프로레슬링과 동물쇼 그리고 고등학교 축구시합을 기록한 것이다. 거기에는 그 시합의 과격한 특성이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즉 레슬러의 복장을 지나치게 꾸민 부자연스러움과 악한 쪽에선 레슬러의 악랄함의 과장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위닝햄이 무시무시한 것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은 구경꾼들의 감정적 반응이나 경기에 대한 개인적인 열광이다. 어떤 사진에서는 몽고인 같은 소년이 두 장의 동일한 레슬러의 포트레이트를 들고 있다.
위닝햄의 위치는 자신이 기록한 행동을 의심없이 받아 들이는 것과 그 속에서 낯설음을 발견했을때 느끼는 충격적인 발견과 놀라움 사이를 항상 옮겨 다니는 것 같다. 우리가 이야기 하고 있는 모든 사진가들 가운데 닐 셀커크는 다이안 아버스와 개인적으로 가장 가까운 친구일 것이다. 그는 리처드 아베던과 히로의 조수로 몇년을 보낸후 1970년과 1971년 사이에 아버스와 함께 공부했다. 1971년 아버스가 죽은 후 그는 그녀의 네가티브를 검토하고 인화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다이안 아버스의 영향력은 그이 개인적인 작품활동이나 상업적 활동의 근저에 깔려있다. 1979년 바움/ 마크스 화인아트는 지도적 인물에 대한 시각적인 관찰을 표현한 이라는 제목을 붙인 셀커크의 10장의 포트레이트 사진철을 발간 하였다. 거기에는전 뉴욕시의 형사 모리스 나자리, 정치인 찰스 콜슨과 엘거 히스, 신문기자 I . F . 스톤 그리고 포수 켓휘쉬헌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라이카로 촬영한 지미호프의 포트레이트만 제외하고는 모두 정면 플레시광을 이용하여 18 * 18 인치의 4각형 화면에 흑백으로 인화한 커다란 사진들이다.
테크닉면에서 보면 아버스와 매우 유사하지만 그 결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의 전형적인 연출효과를 창조해 냄으로써 다방면으로 볼때 평범하고 완벽한 표정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 사진들에 내포된 모든 아이러니는 사진이 만들어낸 핵심 인물의 분위기 즉 그 표현이 본래 유명한 소재 인물들에게 적합한 것 같은 분위기와 이러한 명상이 있는 인물들의 세속적 모습에 대한 실제적 표현사이의 차이에서 나타난 결과이다.
뉴욕의 밀러턴 이라는 작은 마을에 대한 마크 굿맨의 도큐멘터리 에세이는 몇명의 마을 주민등의 포크레이트를 클로즈업과 주광에 플레시를 사용하여 촬영하고 있다. 과감하게 플래시를 사용하여 표현된것은 비교적 잘 먹고 잘 입고 대부분의 전형적인 건강한 미국인 들이다. 그에게는 아버스가 그녀의 정상적인 인물을 통해서 나타낸 이상함과 핑크의 파티 참석자들을 감싸고 있는 정신적인 질환도 전혀 찾아볼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굿맨은 사진속의소재인 전형적인 미국인들이 얼굴을 서로 맞대고 바라보는 순간 그들의가면이 벗겨지고 자신들과 함께 있었던 것처럼 여겨졌던 모든것이 비현실임을 나타내주고 있다. 몇몇은 혼란스럽기도 하고 또는 보통사람들에게 자주 인식할수 없는 존엄상을 표현하고 있다.
복장을 지나치게 꾸민 부자연스러움과 악한 쪽에선 레슬러의 악랄함의 과장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위닝햄이 무시무시한 것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은 구경꾼들의 감정적 반응이나 경기에 대한 개인적인 열광이다. 어떤 사진에서는 몽고인 같은 소년이 두 장의 동일한 레슬러의 포트레이트를 들고 있다. 위닝햄의 위치는 자신이 기록한 행동을 의심없이 받아 들이는 것과 그 속에서 낯설음을 발견했을때 느끼는 충격적인 발견과 놀라움 사이를 항상 옮겨 다니는 것 같다. 우리가 이야기 하고 있는 모든 사진가들 가운데 닐 셀커크는 다이안 아버스와 개인적으로 가장 가까운 친구일 것이다. 그는 리처드 아베던과 히로의 조수로 몇년을 보낸후 1970년과 1971년 사이에 아버스와 함께 공부했다. 1971년 아버스가 죽은 후 그는 그녀의 네가티브를 검토하고 인화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다이안 아버스의 영향력은 그이 개인적인 작품활동이나 상업적 활동의 근저에 깔려있다. 1979년 바움/ 마크스 화인아트는 지도적 인물에 대한 시각적인 관찰을 표현한 이라는 제목을 붙인 셀커크의 10장의 포트레이트 사진철을 발간 하였다. 거기에는 전 뉴욕시의 형사 모리스 나자리, 정치인 찰스 콜슨과 엘거 히스, 신문기자 I . F . 스톤 그리고 포수 켓휘쉬헌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라이카로 촬영한 지미호프의 포트레이트만 제외하고는 모두 정면 플레시광을 이용하여 18 * 18 인치의 4각형 화면에 흑백으로 인화한 커다란 사진들이다.
테크닉면에서 보면 아버스와 매우 유사하지만 그 결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의 전형적인 연출효과를 창조해 냄으로써 다방면으로 볼때 평범하고 완벽한 표정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 사진들에 내포된 모든 아이러니는 사진이 만들어낸 핵심 인물의 분위기 즉 그 표현이 본래 유명한 소재 인물들에게 적합한 것 같은 분위기와 이러한 명상이 있는 인물들의 세속적 모습에 대한 실제적 표현사이의 차이에서 나타난 결과이다. 뉴욕의 밀러턴 이라는 작은 마을에 대한 마크 굿맨의 도큐멘터리 에세이는 몇명의 마을 주민등의 포크레이트를 클로즈업과 주광에 플레시를 사용하여 촬영하고 있다. 과감하게 플래시를 사용하여 표현된것은 비교적 잘 먹고 잘 입고 대부분의 전형적인 건강한 미국인 들이다. 그에게는 아버스가 그녀의 정상적인 인물을 통해서 나타낸 이상함과 핑크의 파티 참석자들을 감싸고 있는 정신적인 질환도 전혀 찾아볼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굿맨은 사진속의 소재인 전형적
인 미국인들이 얼굴을 서로 맞대고 바라보는 순간 그들의 가면이 벗겨지고 자신들과 함께 있었던 것처럼 여겨졌던 모든것이 비현실임을 나타내주고 있다. 몇몇은 혼란스럽기도 하고 또는 보통사람들에게 자주 인식할수 없는 존엄상을 표현하고 있다.
추천자료
국립현대미술관을 다녀와서
현대 미술의 다른 이름, 드로잉
현대자동차의 국제마케팅 전략 성공분석
현대복식에 용용된 초현실주의적 표현방법 고찰
현대 자동차 대미 수출 전략 분석
현대광고론 요약정리 (제3장 광고산업: 그 조직과 구조)
현대 부로몽의 악몽과 향후 해외진출 성공여부는?[최근이슈반영]
현대미술 속에 나타난 abject
현대자동차 기업분석(SWOT 분석, 5force 모델, 이슈와 해결방안 등)
현대문학의 디카시 하이퍼픽션 분석
(국제마케팅) 현대자동차의 해외진출전략 (A+학점)
현대자동차0,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와 수용자 - 미디어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력
[현대의서양문화C형] 팝아트와 네오팝의 공통점과 차이에 대해서 설명, 예술사조가 출현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