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신사의 형성과 성격
(1) 신사의 개념
(2) 신사의 형성
(3) 신사의 특권
Ⅲ. 신사의 정치적, 사회경제적 역할
(1) 명·청 시대 국가권력과 신사
(2) 신사의 정치적 역할
(3) 신사의 사회경제적 역할
Ⅳ. 맺음말
Ⅱ. 신사의 형성과 성격
(1) 신사의 개념
(2) 신사의 형성
(3) 신사의 특권
Ⅲ. 신사의 정치적, 사회경제적 역할
(1) 명·청 시대 국가권력과 신사
(2) 신사의 정치적 역할
(3) 신사의 사회경제적 역할
Ⅳ. 맺음말
본문내용
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지역사회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신사는 지방관의 유입 혹은 방축운동(放逐運動), 증현(增縣)운동, 세·액감면운동, 각종 수리시설의 수축 혹은 수리관행(水利慣行)의 개혁운동, 진(津)·양(梁) 혹은 도로의 수축, 각종 구제 등 광범한 문제에 대하여 향촌의 여론을 주도하였다.
신사는 조세 징수 부문에서도 역할을 하였다. 정부가 지세(地稅)나 전량(田糧)을 포함한 모든 중요한 세금에 대한 통제권을 지니고 있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신사들이 세금의 통제권에 손을 뻗치기도 했다. 또한, 기존의 세에 대한 통제권을 장악하기도 했다. 특별히 신사들은 좌고(坐賈:점포를 가지고 있는 상인)와 객상(客商)으로부터 징수하는 새로운 세금인 이금(釐金)의 확립에도 도움을 주었다. 이 세제는 중앙정부의 통제 밖에서 확립된 제도로, 省 정부에 직접적인 재정을 제공했으며, 새로운 지방행정력의 복원에도 중요했다. 그리고 신사들은 지역방위를 위한 재원을 염출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이렇게 향촌에서 조세 징수 역할의 일부를 담당하기도 했던 많은 지역의 신사들은 실제 징세활동을 침범하기도 했다. 즉 동성지주의 세금을 대신하여 처리하여 주는 경우가 있었는가 하면, 어떤 신사는 민의 지주들이 직접 납세하는 것을 금하기까지 하였다. 그들은 조정에 납부해야하는 세금을 중간에서 횡령하기도 했다.
따라서 국가가 수취체계를 바로잡기 위하여 이갑제를 재편하려하고, 신사에 대한 우면액을 제한하였으나, 이갑제 질서와 기능을 바로 잡을 수도, 신사의 조세비리 행위를 근절시킬 수도 없을 만큼 향촌에서의 신사의 영향력과 지배력은 대단한 것이었다. 명말에서 청초에 걸쳐 멸·청 양 왕조에 의해 십단법·일조편법·균전균역법·지정은제등 세역제를 둘러싼 일련의 개혁조치는 국가권력이 신사의 특권을 제한하면서도, 내면적으로는 결국 향촌에서 신사의 실질적인 지배력을 용인하고 그 힘을 이용함으로써 사회질서를 유지하고자 함이었다.
Ⅳ. 맺음말
신사는 향촌사회에 대해서는 사대부로서의 자신의 존재를 확인시켜 지배력을 유지·확대히키고 사적으로는 개인의 사리를 추구하는 행동도 많았다. 그러나 공적으로 보면, 향촌에 대해서는 국가통치의 보좌역으로서, 극가권력에 대해서는 향촌여론의 대변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뿐만 아니라 또 때로는, 극가권력과 향촌이해의 조정자로서의 역할도 담당하였다. 신사는 사회에 대하여 순기능과 역기능, 공의식의 발로와 사리추구, 즉 공(公)·사(私)의 양면성을 구유(具有)한 존재였던 것이다.
신사들이 사회적으로 부각된 시기가 명말 청초였다는 점을 감안할 때, 왕조 교체로 인한 신사의 성격 변화를 고찰해 볼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명에서 청으로의 왕조 교체가 신사의 본질적인 역할과 활동 내용에 변화를 주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신사의 역할은 단편적인 것이기는 하나, 시기와 지역에 따라 경제 발전의 선후 차이가 있었고 , 또 사회 변화에도 질적인 차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향촌에서의 신사의 역할은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서 비슷한 시기부터 비슷한 양상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결국, 청조의 신사도 명대의 존재 형태를 유지하면서 정부와 민의 중간적 위치에서 향촌 질서의 유지와 장기적인 사회 안정에 기여하였다.
◆ 참고문헌
·오금성, 명·청 시대의 국가권력과 신사, 『강좌중국사Ⅳ』, 서울, 지식산업사, 1989.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정기 심포지엄, 『명·청 시대 신사의 역할』, 1998.
·장중례, 『중국의 신사』김한식 외 공역, 서울, 신서원, 1993
·민두기, 『중국근대사연구』, 서울, 일조각, 1973.
·오금성, 『중국근세사회경제사연구』 서울, 일조각, 1986.
신사는 조세 징수 부문에서도 역할을 하였다. 정부가 지세(地稅)나 전량(田糧)을 포함한 모든 중요한 세금에 대한 통제권을 지니고 있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신사들이 세금의 통제권에 손을 뻗치기도 했다. 또한, 기존의 세에 대한 통제권을 장악하기도 했다. 특별히 신사들은 좌고(坐賈:점포를 가지고 있는 상인)와 객상(客商)으로부터 징수하는 새로운 세금인 이금(釐金)의 확립에도 도움을 주었다. 이 세제는 중앙정부의 통제 밖에서 확립된 제도로, 省 정부에 직접적인 재정을 제공했으며, 새로운 지방행정력의 복원에도 중요했다. 그리고 신사들은 지역방위를 위한 재원을 염출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이렇게 향촌에서 조세 징수 역할의 일부를 담당하기도 했던 많은 지역의 신사들은 실제 징세활동을 침범하기도 했다. 즉 동성지주의 세금을 대신하여 처리하여 주는 경우가 있었는가 하면, 어떤 신사는 민의 지주들이 직접 납세하는 것을 금하기까지 하였다. 그들은 조정에 납부해야하는 세금을 중간에서 횡령하기도 했다.
따라서 국가가 수취체계를 바로잡기 위하여 이갑제를 재편하려하고, 신사에 대한 우면액을 제한하였으나, 이갑제 질서와 기능을 바로 잡을 수도, 신사의 조세비리 행위를 근절시킬 수도 없을 만큼 향촌에서의 신사의 영향력과 지배력은 대단한 것이었다. 명말에서 청초에 걸쳐 멸·청 양 왕조에 의해 십단법·일조편법·균전균역법·지정은제등 세역제를 둘러싼 일련의 개혁조치는 국가권력이 신사의 특권을 제한하면서도, 내면적으로는 결국 향촌에서 신사의 실질적인 지배력을 용인하고 그 힘을 이용함으로써 사회질서를 유지하고자 함이었다.
Ⅳ. 맺음말
신사는 향촌사회에 대해서는 사대부로서의 자신의 존재를 확인시켜 지배력을 유지·확대히키고 사적으로는 개인의 사리를 추구하는 행동도 많았다. 그러나 공적으로 보면, 향촌에 대해서는 국가통치의 보좌역으로서, 극가권력에 대해서는 향촌여론의 대변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뿐만 아니라 또 때로는, 극가권력과 향촌이해의 조정자로서의 역할도 담당하였다. 신사는 사회에 대하여 순기능과 역기능, 공의식의 발로와 사리추구, 즉 공(公)·사(私)의 양면성을 구유(具有)한 존재였던 것이다.
신사들이 사회적으로 부각된 시기가 명말 청초였다는 점을 감안할 때, 왕조 교체로 인한 신사의 성격 변화를 고찰해 볼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명에서 청으로의 왕조 교체가 신사의 본질적인 역할과 활동 내용에 변화를 주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신사의 역할은 단편적인 것이기는 하나, 시기와 지역에 따라 경제 발전의 선후 차이가 있었고 , 또 사회 변화에도 질적인 차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향촌에서의 신사의 역할은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서 비슷한 시기부터 비슷한 양상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결국, 청조의 신사도 명대의 존재 형태를 유지하면서 정부와 민의 중간적 위치에서 향촌 질서의 유지와 장기적인 사회 안정에 기여하였다.
◆ 참고문헌
·오금성, 명·청 시대의 국가권력과 신사, 『강좌중국사Ⅳ』, 서울, 지식산업사, 1989.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정기 심포지엄, 『명·청 시대 신사의 역할』, 1998.
·장중례, 『중국의 신사』김한식 외 공역, 서울, 신서원, 1993
·민두기, 『중국근대사연구』, 서울, 일조각, 1973.
·오금성, 『중국근세사회경제사연구』 서울, 일조각, 1986.
추천자료
만성신부전증식사요법
일본과 한국의 결혼문화
뉴에이지 운동과 음악
[국제통상]중국의 의류패션시장과 우리의 대책
일본[관광지,축제,일본인,도시소개,문화]
일본의 종교문화 신도
[페미니즘][인터넷][사이버공간][대중문화]페미니즘과 인터넷 사이버공간 및 대중문화(페미니...
형용사 파생 접미사들의 기능과 의미 (답-, -스럽, -롭-, 하-’와 ‘-的’의 경우’)
[경제학사] 경제학사 A+ 완벽정리 서브노트
bath(목욕)에 대하여
[테니스][테니스선수]테니스의 유래, 테니스의 역사, 테니스의 특성, 테니스의 과학적 원리, ...
중세교회사
[A+] 관광이란 관광 용어의 어원 관광의 개념 협의광의의 관광 대중관광 국제관광 한국...
이문구(李文求) 소설에 나타난 유가정신연구 - 『관촌수필』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