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9세기 영국사상의 영향
2. 미국의 실용주의(pragmatism)
3. John Dewey (1859-1952)
4. James Angell(1869-1949)
5. Harvey Carr(1873-1954)
6. George Herbert Mead (1863-1931)
7. Edward Lee Thorndike(1874-1949)
8. 기능주의의 공헌
2. 미국의 실용주의(pragmatism)
3. John Dewey (1859-1952)
4. James Angell(1869-1949)
5. Harvey Carr(1873-1954)
6. George Herbert Mead (1863-1931)
7. Edward Lee Thorndike(1874-1949)
8. 기능주의의 공헌
본문내용
지능연구
- 학습이론가(또한 행동주의자): 다른 반응이 약화되고 강화되는 반응이 학습된다. 강화(reinforcement): 강화전의 반응이 미래에 나타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 시행착오를 통한 학습의 파라다임(Lernen durch Versuch und Irrtum): 학습곡선에서 반응잠재기는 짧아지나, 잠재기가 감소되는 형태는 점진적이고 불규칙적이다. 학습은 통찰을 통한 것이 아니다.
-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 반응 후에 수반되는 결과가 바람직하면 그 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증가하고, 결과가 바람직하지 않으면 그 확률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문제해결에 생각이나 이해가 필요 없다.
기능주의의 공헌:
- 미국의 심리학 수립, 응용심리학적 지향
- 생동성 있는 심리학 모형으로의 전환점
- 학습이론가(또한 행동주의자): 다른 반응이 약화되고 강화되는 반응이 학습된다. 강화(reinforcement): 강화전의 반응이 미래에 나타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 시행착오를 통한 학습의 파라다임(Lernen durch Versuch und Irrtum): 학습곡선에서 반응잠재기는 짧아지나, 잠재기가 감소되는 형태는 점진적이고 불규칙적이다. 학습은 통찰을 통한 것이 아니다.
-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 반응 후에 수반되는 결과가 바람직하면 그 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증가하고, 결과가 바람직하지 않으면 그 확률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문제해결에 생각이나 이해가 필요 없다.
기능주의의 공헌:
- 미국의 심리학 수립, 응용심리학적 지향
- 생동성 있는 심리학 모형으로의 전환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