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집단사회사업>
1. 사회목표 모델(social goals model)
2. 치료모델(remedial model)
3. 상호작용 모델(reciprocal model)
<초기 집단사회사업의 모델>
<집단사회사업에서의 가치체계와 실천 원칙>
1. 환경적, 맥락적 가치체계
2. 집단성원의 가치체계
3. 집단사회사업가의 가치체계
<집단사회사업가의 기본원칙>
참고문헌
1. 사회목표 모델(social goals model)
2. 치료모델(remedial model)
3. 상호작용 모델(reciprocal model)
<초기 집단사회사업의 모델>
<집단사회사업에서의 가치체계와 실천 원칙>
1. 환경적, 맥락적 가치체계
2. 집단성원의 가치체계
3. 집단사회사업가의 가치체계
<집단사회사업가의 기본원칙>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업교과과정 연구에서 처음으로 10가지 기본원칙을 제시하였으나 이후 14개의 원칙으로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집단사회사업가의 기본원칙
① 각 개인의 고유한 상이성에 대한 인정과 그에 따른 행동
② 다양한 특성을 지닌 집단을 하나의 집단으로 인정하며 그에 따라 행동
③ 개인은 고유한 장점과 단점을 가진 존재임을 진정하게 수용
④ 집단사회사업가와 집단성원간의 의도적인 원조관계의 성립
⑤ 집단성원간의 상부상조, 협조적 관계 수립을 격려
⑥ 집단과정의 적절한 수정
⑦ 각 성원이 자신의 능력에 따라 참여하도록 격려하여 능력을 향상시킴
⑧ 문제해결과정에 성원들이 직접 참여하도록 강조
⑨ 성원들이 점차적으로 만족스러운 갈등해결방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원조
⑩ 대인관계와 성취에 있어서 새롭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
⑪ 각 개인과 전체상황에 대한 진단적 평가에 따른 적절한 제한
⑫ 각 성원에 대한 진단적 평가, 집단목적, 적절한 사회적 목적의 진단 평가에 근거하여 의 도적으로 그리고 상이한 프로그램을 활용
⑬ 개인과 집단발달에 대한 계속적인 평가
⑭ 전문가의 원만하고 절도있는 자기 활용
참고문헌
엄명용 외(2001).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서울. 학지사
-집단사회사업가의 기본원칙
① 각 개인의 고유한 상이성에 대한 인정과 그에 따른 행동
② 다양한 특성을 지닌 집단을 하나의 집단으로 인정하며 그에 따라 행동
③ 개인은 고유한 장점과 단점을 가진 존재임을 진정하게 수용
④ 집단사회사업가와 집단성원간의 의도적인 원조관계의 성립
⑤ 집단성원간의 상부상조, 협조적 관계 수립을 격려
⑥ 집단과정의 적절한 수정
⑦ 각 성원이 자신의 능력에 따라 참여하도록 격려하여 능력을 향상시킴
⑧ 문제해결과정에 성원들이 직접 참여하도록 강조
⑨ 성원들이 점차적으로 만족스러운 갈등해결방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원조
⑩ 대인관계와 성취에 있어서 새롭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
⑪ 각 개인과 전체상황에 대한 진단적 평가에 따른 적절한 제한
⑫ 각 성원에 대한 진단적 평가, 집단목적, 적절한 사회적 목적의 진단 평가에 근거하여 의 도적으로 그리고 상이한 프로그램을 활용
⑬ 개인과 집단발달에 대한 계속적인 평가
⑭ 전문가의 원만하고 절도있는 자기 활용
참고문헌
엄명용 외(2001).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서울. 학지사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과 사회사업의 통합적 방법
학교사회사업론 - 학교사회사업 실천과정
[사회복지실천기술론]사회사업 면접의 기법
집단 사회사업 조사평가 방법
[사회복지개론] 의료사회사업 - 의료사회사업의 실천과정과 기술 및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사회복지개론] 의료사회사업의 이해 - 의료사회사업, 의료사회사업의 개념과 정의, 의료사회...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장 (사회복지실천, 노인복지 분야, 정신보건사회사업 분야)
[사회복지실천] 미래의 워커로서 자기 인식을 위한 질문을 작성해 보고 이에 따라 현장의 실...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차이를 기술하되 구체적인 예시를 포함하여 작성하시오[사회복지실천]
학교사회사업의 개념과 기능 및 대상,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과 모델, 학교사회사업의 과제와...
[사회복지의 주요 용어]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사회보장과 사회적 서비스, 사회복지정책과 사...
[지역사회조직사업] 지역사회조직의 과정 및 원칙, 지역사회조직 분야, 지역사회조직 실천가(...
의료사회사업의 정의와 실천영역 의료사회사업의 대상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사회복지사업은 전문직으로서의 가치 지식 기술을 가진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