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집단사회사업의 정의
2. 집단사회사업의 모델
1) 사회적 목표모델
2) 치료모델
3) 상호작용모델
3. 집단사회사업 조사의 목적
4. 집단 사회사업 조사에서 탐색되는 변수들
5. 집단평가설계의 문제와 해결방안
1) 평가설계
2) Brower & Garvin이 지적하는 집단 사회사업 조사디자인의 문제점
3) 방법론 및 개념적으로 바람직한 집단 사회사업 조사 방향
4) 집단평가설계시 현실적으로 흔히 나타나는 문제점과 극복방안
결론
2. 집단사회사업의 모델
1) 사회적 목표모델
2) 치료모델
3) 상호작용모델
3. 집단사회사업 조사의 목적
4. 집단 사회사업 조사에서 탐색되는 변수들
5. 집단평가설계의 문제와 해결방안
1) 평가설계
2) Brower & Garvin이 지적하는 집단 사회사업 조사디자인의 문제점
3) 방법론 및 개념적으로 바람직한 집단 사회사업 조사 방향
4) 집단평가설계시 현실적으로 흔히 나타나는 문제점과 극복방안
결론
본문내용
디자인과 분석 방식이 적절하다.
③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그리고 매개변수를 분명히 하는 것이 조사를 명백히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개입 방식과 집단 조건을 자세히 서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집단, 상호작용이라는 변수들을 분별하고, 집단 과정과 결과를 연결시켜야 하는 집단 사회사업 조사는 매우 복잡하고 까다롭기 때문에 완벽한 조사 디자인과 통계적 분석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는 하다. 앞으로 집단의 결과에 관련되는 다양한 조건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연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한 여러 개별적 연구들의 결과 보고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고서 모형을 만드는 등 결과 보고 표준화 전략을 세운다면 집단 사회사업 조사가 더욱 활성화되리라고 본다.
-참고-
※집단사회사업의 모델의 비교※
특징
사회적 목표모델
치료모델
상호작용모델
주과제
필요한 자원제공과 사회적 붕괴의 예방(비공식적 정치 및 사회행동)
사회적 사고 및 위험으로부터의 회복과 재활(집단 매개체를 통한 치료)
앞의 두 모델의 조합 (문제해결을 위한
상호원조체계의 개발)
장기적 목적
보다 나은 민주사회 건설
개개인의 사회적응 향상
개인의 사회의 조화
구체적 목표
1. 소속감의 증대, 민주적 참여에 대한 훈련
2. 처음에는 전문가에 의해 집단목표가 결정되나 점차 그 책임은 집단에게 이양
1. 집단상호작용을 활용하여 역기능 행동을 하는 성원의 치료와 재활
2. 세부적인 집단목표를 전문가가 사전에 결정
1. 적정수준의 적응과 사회화를 성취하기 위해 성원간의 상호원조체계 형성, 대인관계 향상
2. 집단목표의 결정을 전문가와 회원이 공유
개입
장소
및 기관
회원이 있는 가정, 인근지역, 인보관, 지역사회 복지관
임상기관, 사회복지
기관 및 시설
임상기관, 사회복지관 (집단목표에 따라 다양함)
초점
개인의 성숙과 민주시민의 역량 개발
개인전인
역기능 변화
성원간의 자조,
상호원조체계 개발
지도자 역할
‘영향력을 끼치는 자’
(influence person)의 역할: 바람직한 역할 모델을 제시
전문적인 ‘변화 매개인’(change agent)의 역할
‘중재자’(mediator)의 역할
대상
시민, 이웃, 지역주민
역기능 또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도움을 필요로 하는자
공동관심사의 성취를 위해 협력하는 구성원
집단활동
토론, 참여, 합의, 집단과제의 개발 및 실행, 지역사회조직화, 성원의 사회행동 기술 습득
성원의 행동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구조화된 개입을 하거나 직접, 간접적 영향력을 발휘
관심사를 토론, 상호원조 형성, 상호이익이 되는 결속된 사회체계의 형성
집단크기
3~25명 정도
7~10명 정도
상황에 따라 유동적
신입회원의 가입 문제
개방적이며,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다.
전문가의 통제
전문가와 회원의 동의에 의한 자유로운 가입
회합 기간
지동력 유형에 따라 유동적
정기적이며, 시간사용 계획을 사전 설정
유동적, 지도자와 성원이 합의
대표 학자
Ryland, Wilson,
Coyle Klein
Vinter, Sarri,
Glasser, Redl
Schwartz, Bion,
Lewin, Tropp
③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그리고 매개변수를 분명히 하는 것이 조사를 명백히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개입 방식과 집단 조건을 자세히 서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집단, 상호작용이라는 변수들을 분별하고, 집단 과정과 결과를 연결시켜야 하는 집단 사회사업 조사는 매우 복잡하고 까다롭기 때문에 완벽한 조사 디자인과 통계적 분석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는 하다. 앞으로 집단의 결과에 관련되는 다양한 조건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연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한 여러 개별적 연구들의 결과 보고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고서 모형을 만드는 등 결과 보고 표준화 전략을 세운다면 집단 사회사업 조사가 더욱 활성화되리라고 본다.
-참고-
※집단사회사업의 모델의 비교※
특징
사회적 목표모델
치료모델
상호작용모델
주과제
필요한 자원제공과 사회적 붕괴의 예방(비공식적 정치 및 사회행동)
사회적 사고 및 위험으로부터의 회복과 재활(집단 매개체를 통한 치료)
앞의 두 모델의 조합 (문제해결을 위한
상호원조체계의 개발)
장기적 목적
보다 나은 민주사회 건설
개개인의 사회적응 향상
개인의 사회의 조화
구체적 목표
1. 소속감의 증대, 민주적 참여에 대한 훈련
2. 처음에는 전문가에 의해 집단목표가 결정되나 점차 그 책임은 집단에게 이양
1. 집단상호작용을 활용하여 역기능 행동을 하는 성원의 치료와 재활
2. 세부적인 집단목표를 전문가가 사전에 결정
1. 적정수준의 적응과 사회화를 성취하기 위해 성원간의 상호원조체계 형성, 대인관계 향상
2. 집단목표의 결정을 전문가와 회원이 공유
개입
장소
및 기관
회원이 있는 가정, 인근지역, 인보관, 지역사회 복지관
임상기관, 사회복지
기관 및 시설
임상기관, 사회복지관 (집단목표에 따라 다양함)
초점
개인의 성숙과 민주시민의 역량 개발
개인전인
역기능 변화
성원간의 자조,
상호원조체계 개발
지도자 역할
‘영향력을 끼치는 자’
(influence person)의 역할: 바람직한 역할 모델을 제시
전문적인 ‘변화 매개인’(change agent)의 역할
‘중재자’(mediator)의 역할
대상
시민, 이웃, 지역주민
역기능 또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도움을 필요로 하는자
공동관심사의 성취를 위해 협력하는 구성원
집단활동
토론, 참여, 합의, 집단과제의 개발 및 실행, 지역사회조직화, 성원의 사회행동 기술 습득
성원의 행동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구조화된 개입을 하거나 직접, 간접적 영향력을 발휘
관심사를 토론, 상호원조 형성, 상호이익이 되는 결속된 사회체계의 형성
집단크기
3~25명 정도
7~10명 정도
상황에 따라 유동적
신입회원의 가입 문제
개방적이며,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다.
전문가의 통제
전문가와 회원의 동의에 의한 자유로운 가입
회합 기간
지동력 유형에 따라 유동적
정기적이며, 시간사용 계획을 사전 설정
유동적, 지도자와 성원이 합의
대표 학자
Ryland, Wilson,
Coyle Klein
Vinter, Sarri,
Glasser, Redl
Schwartz, Bion,
Lewin, Trop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