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혁명과 여성의 의식변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미국 혁명과 여성의 의식 변화

III. 결론: 사적 영역에서 공적 영역으로

본문내용

le Advocate)로 알려진 라켈 웰즈(Rachel Wells), 엘라이자 윌킨슨(Eliza Wilkinson), 다니엘 데이비스(Daniel Davis)는 1801년 코네티컷의 뉴헤븐에서 「여성 옹호자」라는 제목의 글을 발표하였다. 이들은 일상적인 생활에 문제의 뿌리가 있음을 직시하고 삶의 불평등의 원인을 지적하였다. 이들은 가장 먼저 공공 장소에서 여성들에게 발언권을 허용하지 않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여성의 발언권을 원천 봉쇄하고 공적 영역에서 여성을 배제한 것이 바로 정치적 불평등을 초래한 근본 원인이라는 것이다. 또한 독신 여성의 경우 남편도 없는데, 투표권과 발언권을 주지 않는 점을 비판하면서 여성도 법적인 존재로 인정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여성의 능력에 대해서도 남성이 여성에 비해 선천적으로 우수한 것이 아니라 남성에게는 보다 나은 교육 기회를 부여하고, 여성에게는 기초적인 교육을 제외하고는 발전 가능성을 차단한 점 때문에 능력의 차이가 생긴 것이지 본래는 동일하다는 것이다. 부부관계도 주종관계가 아니라 동등한 동반자 관계여야 하며, 여성을 존경과 부드러움으로 대할 것과 친구나 동일한 인격체로 대우해 줄 것을 주장하였다.
) The Female Advocate (New Haven, Conn., 1801).
이들의 주장은 당시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상당히 급진적인 것이었다. 여성을 교회나 공적 영역에서 포함시키지 않으려는 점을 공격하고 여성의 능력이 남성과 동일하다고 주장한 점은 공적 영역에서 여성의 활동 가능성을 전제한 것으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통해 여성도 공적 영역에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것은 결국 정치적 평등을 달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만 명의 처녀들의 선언」이 어조는 더 극적이었지만 막연하게 정치적 참여의 바람을 표현한 것이라면 「여성 옹호자」는 남녀 관계에서의 헤게모니의 변화를 추구한 점과 변화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훨씬 더 급진적이라고 할 수 있다.
혁명을 경험한 여성들은 더 이상 가정에 안주하며 만족하는 수동적인 여성이 아니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문제점을 인식하였으며, 자신들의 권리를 요구하였다. 그들에게 공화국은 더 이상 남성들의 전유물이 아니었다. 그들도 공화국의 일원으로 참여하고자 하였다. 개혁적 성향을 지닌 일부 남성들은 여성들의 권익 신장을 주장하였으며, 여성들에게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부여할 것을 주장하였다. 여성은 혁명으로 사회적 정체성을 찾게 되었고, 그들의 고조된 정치의식은 혁명이 끝난 후에도 사라지지 않았다. 그들은 공화국에 필요한 자립적이고 독립적인 여성으로 거듭나고자 하였다.
III. 결론: 사적 영역에서 공적 영역으로
미국 혁명은 미국 여성들에게 새로운 세계로 문을 열어 주었다. 여성들은 혁명을 겪으면서 이전에 몰랐던 세계를 경험하였고, 새로운 세계에 대해 눈을 뜨게 되었다. 혁명은 사적 영역에서 수동적인 삶을 살던 여성들에게 남성들의 세계인 공적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러한 변화는 다음의 세 가지 요인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첫째 혁명으로 남녀간의 역할 분담이 무너지게 되었다. 혁명이전에 여성들의 역할은 가정적이고 사적인 것이며 남성의 역할은 사회적이고 공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가정에서 남편의 권위는 절대적이었으며, 남편은 모든 집안 일에 대해서 결정권을 갖고 있었다. 혁명은 이러한 여성의 삶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남편들이 장기간 군대에 복무하게 됨에 따라 집을 떠나게 되고 이들의 일을 여성들이 대신하게 되었다. 여성들은 집안의 모든 일을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해야 했으며, 가족을 부양하는 일부터 집안의 농장이나 사업체를 관리하는 일까지 맡아서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분법적 성별 노동의 관습은 무너지게 되었다. 남편의 일을 대신하면서 여성들은 자신의 잠재력과 역량을 확인하게 되었고, 공적 세계가 자신들과 별개의 세계가 아님을 깨닫게 되었다. 남녀간의 역할 분담이 무너짐에 따라 여성들은 공적 세계를 경험하게 되었고, 공적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둘째 혁명을 통해 여성들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성들은 영국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 섬유 생산과 같은 사적 영역에서의 활동이 정치적 의미를 띠게 됨을 알았다. 여성들은 국내산 의류를 입거나 부당하게 과세된 품목의 구입을 자제하거나 거부하는 과정에서 소비 행동이 개인의 선택이라기보다는 국가의 정책과 직결된 문제라는 것을 알았다. 국산 섬유 생산의 필요성에 따라 방적에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었고, 여성들의 가사 활동도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군대를 위한 모금 운동이나 보급품의 지원, 전방에서 활동을 함으로써 여성들은 자신들의 영역을 벗어나게 되었고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공적 영역에 참여하게 되었다. 여성들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자신들도 정치적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정치 의식을 갖게 되었다. 혁명은 여성들을 정치로부터 분리시킨 장벽을 무너뜨렸고, 정치적 영역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셋째 혁명이후 권위주의적 분위기가 약화되고 개인의 자율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각 가정에서 가부장적 권위의 하락과 자식에 대한 부모의 통제력 약화로 나타났다. 부모들은 자녀 양육에 있어서 덜 권위적이었으며, 결혼 문제에 대해 자식의 의견을 존중해 주었다. 특히 이전보다 자율적이며 독립적으로 변한 여성들은 결혼, 이혼, 출산 문제에 대해 소신대로 결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젊은 여성들은 결혼이 여성의 운명이라는 인식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일부는 결혼을 하지 않았으며, 결혼을 늦추거나, 독신 생활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여성들은 이혼에 대한 생각도 바꾸었는데, 불행한 결혼 생활을 인내하며 유지하기보다는 끝내기를 원하였다. 이러한 태도는 혁명이후 바뀐 여성들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들은 전통적인 삶의 방식에서 벗어나 자율적으로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여성의 자율성의 증가는 여성들이 수동적인 삶에서 벗어나 공적 영역으로 나아가게 하는 토대가 되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12.1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