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인수에 의한 구조조정 및 부실정리와 이에 따른 회사의 효율성 및 가치에 미치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생명보험시장의 구조조정과 구도의 변화

Ⅲ. 보험회사의 효율성 변화

Ⅳ. 생명보험회사의 경영성과 변화에 영향을 주는요인

Ⅴ. 종합 및 맺는 말

본문내용

2
0.0942
- 0.1386
- 0.0021
- 0.0031
0.0019
0.0017
0.0232
0.030
0.283
2.682 **
-1.769 *
-0.860
-1.419 ^
1.838 *
2.415 **
0.568
0.1168
0.1654
0.0850
- 0.0292
- 0.0026
- 0.0013
0.0020
0.0013
0.0054
0.333
1.252
2.111 **
-0.393
-0.995
-0.591
1.118
1.424 ^
0.115
Adjusted R2
0.52
0.39
NOTE (통계적 신뢰도)
** (95%), * (90%), ^ (80%)
<표 > 회귀분석 결과 : 생명보험회사 순이익에 영향을 주는 요인 검토
V. 종합 및 맺는 말
국내 생명보험 시장은 1997년 금융위기 이후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대형사들에 의한 시장집중 현상은 심화되었으며 따라서 유효 경쟁을 유도하여 경영 개선을 도출하기는 어려운 시장구조로 변화하였다. 특히 선두 대형사 한 회사에 의한 시장점유율이 최근에는 크게 증가하여 거의 독과점 상태이다.
그러나 보험회사의 경영 측면은 선진국형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우선 상품의 구조가 변화하여 보장성보험의 판매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자산 운용에 있어서도 대출 중심에서 벗어나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부실화된 보험회사들을 대형사들이 인수하는 방법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되었는데 시장(1996년 33개사 및 1999년 27개사) 전체의 효율성(각 사의 수입보험료 규모로 가중 평균한 효율성)의 변화를 검토해 보면 우선 인력 및 조직의 규모를 투입 요소로 보는 경우에 생산성은 오히려 떨어지고 있다. 국내 생명보험 시장에서는 부실 보험사에 대하여 P&A 방식으로 구조조정을 하였지만 조직의 불필요한 군살(fat)을 제거하는 데에는 별로 가시적인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다른 한편 전체 사업비를 투입요소로 보는 경우에는 금융위기 전과 비교하여 1999년에는 가중 평균한 효율성이 다소 향상되었다. 이는 「규모」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인데「기술적」 효율성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기술 및 규모」의 효율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2000년 3월말 현재 생명보험시장에서 영업 중인 27개 사의 효율성 변화를 단순 평균으로 검토해 본 결과 기술적 효율성은 크게 하락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반면에 규모의 효율성은 상승하였고 일부 효율성 측정 모델에서는 통계적 유의성도 높았다. 결과적으로 전체 효율성은 하락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빈약하였다.
또한 부실회사를 인수한 대형 4사와 기타 회사간에 효율성 변화의 차이를 검토해 본 결과 규모의 효율성 향상에서는 인수 4사가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그러나 기술적 효율성 감소나 전체 효율성의 감소에 있어서는 인수 4사나 기타 회사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요약하면 1997년 금융위기 이후 국내 생명보험산업이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규모의 효율성은 증대하였으나 기술적 효율성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구조조정의 전체적인 성과는 포착되지 않았다.
보험회사의 경영성과를 자산대비 순이익률의 향상으로 볼 때 이러한 성과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기술적 효율성 및 규모의 효율성의 향상은 물론 판매 상품의 구성 변화(보장성보험의 증가), 인원의 감축 비율, 자산규모의 증가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는 보험회사들이 기술적 효율성의 향상도 가져올 수 있도록 시장의 건전한 경쟁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고 또한 정치적인 어려움이 있지만 인력 조정 문제 등도 해결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을 해 주어야 한다.
구조조정의 정책적인 측면에서 볼 때 공적 자금을 많이 투입하고 또한 조직 인원의 희생을 최소화하려는 P&A 방식을 선택한 것은 금융시장의 효율성 증대에 별로 공헌을 하지 못했다.
) 은행권의 경우에도 가장 많은 공적 자금이 투입되었지만 구조조정 과정에서 철저한 자구 노력 도출 등 사후관리가 철저하지 못하였으며 부실 은행의 moral hazard 문제는 여전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김인식, "109조 쏟았는데 시장 되레 불안," 한국경제 (2000년 9월 23일).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검증 기간이 구조조정을 전후하여 1년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분석 결과의 신뢰도가 높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보다 충분한 기간의 데이터를 구할 수 있는 시점에서 보험회사의 효율성 변화 문제를 재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타사를 인수한 보험회사 수가 현재는 4개에 불과하지만 국내 보험산업에서도 향후 인수·합병 사례가 많아지면 그들의 효율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panel데이터에 기초한 Malmquist 생산성 분석방법을 사용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참 고 문 헌 >
김헌수, "선진 보험회사의 M&A : 현황과 성과," 월간生協 241 (1999. 2.): 54-58.
오창수, "생명보험상품의 수익성분석," 리스크관리연구 제12집(1999): 173-196.
이상규, "예금은행 지점의 X-효율성 및 규모 효율성: 확률적 후론티어 모 형의 적용," 금융학회지 제3권 제2호 (1998): 177-209.
이봉주, "생명보험사의 리스크관리 행태 연구," 리스크관리연구 제11집 (1999): 91-124
정봉은, 이승철, 우리 나라 보험산업의 구조조정, 연구조사자료 99-5, 보 험개발원, 1999년 7월
정홍주, 김혜연, "제휴금융상품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리스크관리연구 제11권 제1호 (2000): 121-156.
지홍민, "Output Measurement and the Malmquist Index in the Korean Life Insurance Industry," 리스크관리연구 제11집 (1999): 185-216.
, "계량경제적 프론티어 방법을 이용한 미국 생명보험산업의 x-효율 성 측정," 리스크관리연구, 제6집 (1996): 139-160.
, "미국 손해보험산업의 효율성 측정: DEA 기법의 적용," 금융학회지 창간호 (1996): 113-129.
  • 가격2,3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3.12.14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