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레포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름 레포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윈드서핑
1. 개요 및 특징
2. 역 사
4. 기 술

Ⅱ. 단정(수상스키)
1. 개 요
2. 역 사
3. 장비 및 용어
4. 기 술

Ⅲ. 스킨 스쿠버
1. 개요 및 특징
2. 역 사
3. 장비 및 용어
4. 기 술

본문내용

므로 소금기가 빠지도록 잘 씻어야 한다. 부력조절기는 계속 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일정한 부피가 되면 여분의 공기는 자동으로 배출된다. 부력조절 기에 탄산 개트리지 장치가 있어서 유사시 부력을 확보하기도 한다.
★ 핀(오리발)
☞오리발의 종류는 다양하며 고르기 쉽지 않은 장비 중에 하나이다. 다리가 장기간의 킥에 적응하기 어려운 다이버는 부드러운 핀이나 최근에 유행하는 바이오 핀을 사용해보는 것 도 하나의 방법이다. 강한 핀은 추진력이 있는 반면 다리에 무리가 있다. 자신에게 적합 한 핀을 다이빙의 선배에게 물어보아 구입하여야 한다.
★ 잔압계
☞공기통속의 압축공기의 압력을 보여준다.
★ 수심계
☞다이버가 있는 깊이를 나타낸다. 가격이 저렴한 것은 현재의 수심을 나타내는 바늘과 최 고 다이빙 깊이를 나타내는 바늘이 있다. 다이브 컴퓨터의 경우에는 자동으로 이 두가지 를 기록하게 된다.
★ 나침반
☞시야가 불량하거나 야간 다이빙 시에 반드시 필요하며
손목에 차는 것, 콘솔에 부착한 것 등 종류가 다양하다.
★기타장비
☞잠수신발, 잠수장갑, 잠수칼, 수중전등, 수중기록판,
예비 O링, 잠수가방, 그물백, 비닐백 등이 있다.
▣ 용 어
♥ 고도 잠수란?
☞일반적으로 바다표면보다 높은 곳에서 다이빙하는 경우는 없다.
다이빙을 자주 하게 될수록 그러한 곳에 다이빙을 할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고도다이빙(Altitude Diving)이란 고도 1000피트 이상에서의 잠수를 말하며 저수지, 동굴, 강 같은 담수에서 가능하다. 왜 별도로 고도잠수를 다루는 가 하면 수심에 따른 압력의 변화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담수는 해수보다 밀도가 적다. 중성부력을 맞추기 어렵다.
수심계도 해수면을 기준으로 맞추어져 있다. 만약 해수에서 다이빙을 한 경우 고지대로 올라가는 경우 최소 12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비행기도 같은 상황이 된다.
다이브 테이블도 고도잠수의 경우는 별도로 준비되어 있다. 고도잠수를 하는 경우는 드 물기 때문에 더 이상의 언급은 생략하지만 감압병에 걸릴 가능성이 더욱 높다는 사실만 은 알고 있어야 하겠다.
♥ 레규 레이터
☞레규레이터란 조절하다는 뜻이 있는데 다이빙에서 레규레이터는 바다의 수심에 따른 압력 에 따라서 공기압을 조절하게된다. 따라서 어떠한 깊이에서도 호흡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 비이다. 레규레이터는 많은 부착물이 연결되게 되는데, 고압연결과 저압연결로 구분되어 있다. 레규레이터 뭉치를 자세히 보게되면 큰 구멍과 작은 구멍이 나사로 잠겨있고 추가 연결시 나사대신에 새로운 장비를 부착하게 된다. 물론 나사 옆에 압력표시가 되어 있고 저압과 고압의 구멍크기는 틀리다.
♥ Log Book
☞로그북이란, 말 그대로 다이버의 다이빙에 관한 일기라고나 할까?
일기에는 자신의 감정을 꾸밈없이 적는다. 로그북에는 다이버가 목적하는 바에 따라서 조 금 다를 수 있지만. 대분분의 경우에 다이빙 날짜, 기온 ,수온, 시야, 공기압(입수/출수시), 최대수심, 평균수심, 다이빙시작/종료시간-다이빙시간을 기본적으로 기입하고 장소, 상태, 짝, 메모, 무감압 한계에 대한 계산, 다이빙한곳의 지도나 스케치 등을 표시한다.
4. 기 술
◈기술
일반적으로 가장 좋은 입수 방법은 가능하면 물과의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편안하게 입수하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편안히 걸어서 물에 들어 갈 수만 있다면 그것이 가장 좋은 입수 방법일 것이다. 입수시 가장 중요한 점은 방향감각을 잃지 않아야 하고, 부딪혀서 장비가 풀어지지 않도록 입수하는 것이다.
입수 방법
1. 입수할 곳에 장애물이 없는지 확인한다.
2. BCD에 공기를 반쯤 넣어 입수한 후에 수면에 뜰 수 있도록 한다.
3, 짝의 입수 준비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
4. 입수시 마스크가 벗겨질 수 있으므로 한 손으로 꼭 잡아 준다.
5. 입수를 한 후에는 입수지역에서 물러나 짝의 입수를 기다린다.
_ Controlled seated entry 법 _
☞풀의 가장자리처럼 물에서 10-20cm 정도의 높이의 평평한 곳에서 입수를 할 때 사용된 다. 이 방법은 입수 시 우선 발을 물에 담그면서 평평한 면에 앉는다.
두 팔은 평평한 면을 받쳐 주면서 몸을 돌려 가만히 물 속으로 들어간다.
일단 입수가 되었으면 몸의 균형을 잡은 후 입수지역을 벗어난다.
_ Giant stride entry 법 _
☞수면에서 수 미터 이상 높은 곳으로부터 입수를 할 때 사용한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는 장비들이 잘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BCD에 공기를 반정도 넣어 주어야 하며, 호흡기를 입에 물고 마스크와 함께 한 손으로 잘 잡아준다.
( 입수 시 충격으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
이때 다른 한 손으로는 잔압계 콘솔과 함께 웨이트 벨트의 버클 부분을 잡아 준다.
짝이 준비가 되었는지를 반드시 확인한 후에 입수할 지역의 장애물을 확인하고, 앞으로 크게 한걸음 내딛으면서 입수한다.
발은 물에 닿기까지는 크게 벌려 주어 입수 시 물과의 마찰 저항을 크게 받도록 해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입수 시 몸을 덜 가라앉게 해준다.
발이 물에 입수되는 순간부터는 다리를 모아 물을 밑으로 차 줌으로써 몸이 가라앉는 것 을 막아준다. 일단 입수가 끝나게 되면 O K 신호를 보낸 다음 입수 지역을 벗어나서 짝 이 입수 할 때까지 기다리도록 한다.
_ Sitting back - roll entry 법 _
☞이 방법은 작은 보트나 고무 보트와 같이
낮고 불안정한 입수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는 입수 방법이다.
입수를 하기 전에는 모든 장비가 제자리에 위치하여야 하며, 특히 잔압계나 호스들이 입 수 시 다른 물체에 걸리지 않게 가지런히 몸 안쪽으로 모아 준다.
입수지역에 장애물이 없는가를 확인해 준다.
BCD에 공기를 반쯤 넣고 호흡기를 입에 문채 입수할 장소의 가장자리에 앉는다.
마스크를 한손으로 눌러주며 몸을 뒤쪽으로 기울여서 물 속으로 가만히 떨어지도록 한다.
이때 두 다리를 몸쪽으로 굽혀서 입수 지점의 가장자리에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입수 후에 잠깐 방향감각을 잃을 수도 있으나
부력 때문에 수면으로 곧 떠오르게 되므로 방향감각을 다시 찾을 수 있게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12.1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4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