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보았으며 개혁을 추진할 활력이 넘치는 전문가가 필요하다는것을 알았다. 또한 다양성과 학생들의 특성 및 지역사회의 요구에 민감한 비슷한 마음을 지닌 교사들 중심으로 만들어진 자기재생적 학교 제도가 필요하다. 아래로부터의 개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구조와 행정, 특히 정부의 교육부와 지방의 교육청 그리고 행정의 역할과 기능에서도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야 할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요약하자면 교육은 왜 여전히 개혁의 대상인가를 분석하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제도와 정책을 찾아 헤매는 것을 중단하고 인간의 신념과 가치를 변화시키는 데 힘들 쏟아야 하고, 자율적으로 교육을 개혁하는 주체의 자리에 교사가 있어야 한다는 이러한 점들은 지적하였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이러한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한 후에 그런 문제점들에 대한 아주 명확하고 정확한 대안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다만 저자인 “아더 콤스”가 교육자로서 가르치는 일에 종사하면서 느꼈던 점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저자가 느꼈던 점은 바로 사람을 먼저 생각하고 사람의 참가치를 아는 교사가 되길 바라면서 교육은 사람이 하는 일로서 “사람중심의 교육 실현”을 교육개혁의 열쇠로 느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요약하자면 교육은 왜 여전히 개혁의 대상인가를 분석하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제도와 정책을 찾아 헤매는 것을 중단하고 인간의 신념과 가치를 변화시키는 데 힘들 쏟아야 하고, 자율적으로 교육을 개혁하는 주체의 자리에 교사가 있어야 한다는 이러한 점들은 지적하였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이러한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한 후에 그런 문제점들에 대한 아주 명확하고 정확한 대안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다만 저자인 “아더 콤스”가 교육자로서 가르치는 일에 종사하면서 느꼈던 점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저자가 느꼈던 점은 바로 사람을 먼저 생각하고 사람의 참가치를 아는 교사가 되길 바라면서 교육은 사람이 하는 일로서 “사람중심의 교육 실현”을 교육개혁의 열쇠로 느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