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애와 사상적 배경
2.표상적 실재론
3.물질적 실체의 부정
4.자연철학
5.형이상학
6. 도덕 철학
2.표상적 실재론
3.물질적 실체의 부정
4.자연철학
5.형이상학
6. 도덕 철학
본문내용
한다고 말하는 것이 의미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단지 한 가지 차이점은 우리 경험의 부분은 어떤 때 다른 마음의 존재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우리 경험의 전체는 언제나 신의 존재의 증거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의 존재의 증거는 압도적이다.
6. 도덕 철학
버클리는 시민정부에 대한 제한적 복종이론에 반대하고, 최고시민권력(정부)에 절대적이고 무저항적으로 복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무저항적 복종이란 최고시민권력의 명령에 무조건적으로 따르거나, 그것이 자신의 양심이나 이성에 어긋나서 따르지 않았을 경우에는 정부로부터 부과되는 벌을 감수해야 한다는 뜻이다.
진정한 공익에 이바지하는 길은 '최고시민권력에 저항하지 말라'는 도덕법칙을 준수하는 것이다, 버클리는 이 법칙이 자연법이므로 조금일도 어기는 것은 악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최고시민권력이 도덕법칙에 어긋나는 명령을 할 때에는 시민들은 그에 복종하지 않을 수 있다. 진정한 복종의 대상은 신의 음성인 올바른 이성과 도더적 양심이기 때문이다. 시민들이 최고 시민권력에 절대적으로 복종해야 한다는 주장은 관점을 달리하면 시민들에게 비폭력적인 불복종의 권리, 곧 소극적 저항권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6. 도덕 철학
버클리는 시민정부에 대한 제한적 복종이론에 반대하고, 최고시민권력(정부)에 절대적이고 무저항적으로 복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무저항적 복종이란 최고시민권력의 명령에 무조건적으로 따르거나, 그것이 자신의 양심이나 이성에 어긋나서 따르지 않았을 경우에는 정부로부터 부과되는 벌을 감수해야 한다는 뜻이다.
진정한 공익에 이바지하는 길은 '최고시민권력에 저항하지 말라'는 도덕법칙을 준수하는 것이다, 버클리는 이 법칙이 자연법이므로 조금일도 어기는 것은 악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최고시민권력이 도덕법칙에 어긋나는 명령을 할 때에는 시민들은 그에 복종하지 않을 수 있다. 진정한 복종의 대상은 신의 음성인 올바른 이성과 도더적 양심이기 때문이다. 시민들이 최고 시민권력에 절대적으로 복종해야 한다는 주장은 관점을 달리하면 시민들에게 비폭력적인 불복종의 권리, 곧 소극적 저항권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