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그러나 이러한 장점과 더블어 현재 많은 단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한 전교조 교사의 말을 인용한다면,
//-7차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이념은 수월성이며 인간상은 신지식인이다.
"엘리트적 신지식인을 만들어 내지 못하는 학교는 어떤식으로든 축소되어야 하며, 공교육에 대한 투자보다는 교육의 시장화가 급선무다. 학교교육을 유지한다 할지라도 어떤식으로든 크게 바꾸어야 한다. 엘리트 학생과 다수의 보통학생을 나누어서 교육하는 체계로 말이다. 7차교육과정의 등장배경이 여기에 있다 하겠다. 교육예산도 가급적 엘리트를 키우는데 힘써야 한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학급구조를 해체하고 지식중심체제로 바꾸어야 한다."
학급의 해체, 학급담임체제에서 교과담임체제로, 과목간의 통폐합과 교사수급의 유연화 등
"최근 정부는 1000개 이상의 영재학급을 개설해 운영키로 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학급이라는 단위를 통해 학생들을 관리하기 편리한 방식으로 분류하고 그 관리의 의무를 교사에게 전담시키기 보다는 수업, 즉 교과 지도의 영역을 중심으로 학교의 구성방식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7차교육과정은 아이들을 지식이라는 저울로 수준을 나누고 수요자중심이라는 명분으로 선택형 교과목을 편성함으로써 학교의 인성교육을 더욱 멀게 만들고 있다. 그나마 공동체적 삶의 자세를 배우고 전인교육의 마지노선이라 할 수 있는 '한국적 학급구조'를 없애려는 시도는 참다운 교육에 대한 방기임과 동시에 범죄행위라 생각된다.-//
이와 같이 7차 교육과정개정의 단점은 지금 현재의 학교 실태와 교욱의 현실을 무시한점, 교사들에게 너무 지나치게 수업대 대한 부담감을 가중시킨다는점, 또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어 인성교육에도 어려움이 많다는 것, 이런 문제들은 현실적으로 4학년 선배들의 교생실습때에도 여실히 알수 있는데 아직도 많은 인문계 고교들은 입시 위주의 교육만 하고 있는 것 같고 교육과정되로 잘되어지지 않는 것 같다라고 말 하고 있다. 교육은 국가의 큰 국책 사업중 하나라고 볼수 있다 언제 까지 학생들 교사들에게 버림 받는 교육정책을 펼칠것인가라는 한탄도 하기도 한다. 앞에서 말한 듯이 교육은 백년제 대계이다. 쉽게 결정되어질 문제도 아니고 탁상공론적인 교육정책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정부는 빨리 변화는 하는 이교육계를 능동적으로 대처해나야 할 것이다. 그래서 사교육에 멍드는 공교육이 아닌 진정한 나라의 일꾼을 배출하는 공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7차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이념은 수월성이며 인간상은 신지식인이다.
"엘리트적 신지식인을 만들어 내지 못하는 학교는 어떤식으로든 축소되어야 하며, 공교육에 대한 투자보다는 교육의 시장화가 급선무다. 학교교육을 유지한다 할지라도 어떤식으로든 크게 바꾸어야 한다. 엘리트 학생과 다수의 보통학생을 나누어서 교육하는 체계로 말이다. 7차교육과정의 등장배경이 여기에 있다 하겠다. 교육예산도 가급적 엘리트를 키우는데 힘써야 한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학급구조를 해체하고 지식중심체제로 바꾸어야 한다."
학급의 해체, 학급담임체제에서 교과담임체제로, 과목간의 통폐합과 교사수급의 유연화 등
"최근 정부는 1000개 이상의 영재학급을 개설해 운영키로 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학급이라는 단위를 통해 학생들을 관리하기 편리한 방식으로 분류하고 그 관리의 의무를 교사에게 전담시키기 보다는 수업, 즉 교과 지도의 영역을 중심으로 학교의 구성방식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7차교육과정은 아이들을 지식이라는 저울로 수준을 나누고 수요자중심이라는 명분으로 선택형 교과목을 편성함으로써 학교의 인성교육을 더욱 멀게 만들고 있다. 그나마 공동체적 삶의 자세를 배우고 전인교육의 마지노선이라 할 수 있는 '한국적 학급구조'를 없애려는 시도는 참다운 교육에 대한 방기임과 동시에 범죄행위라 생각된다.-//
이와 같이 7차 교육과정개정의 단점은 지금 현재의 학교 실태와 교욱의 현실을 무시한점, 교사들에게 너무 지나치게 수업대 대한 부담감을 가중시킨다는점, 또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어 인성교육에도 어려움이 많다는 것, 이런 문제들은 현실적으로 4학년 선배들의 교생실습때에도 여실히 알수 있는데 아직도 많은 인문계 고교들은 입시 위주의 교육만 하고 있는 것 같고 교육과정되로 잘되어지지 않는 것 같다라고 말 하고 있다. 교육은 국가의 큰 국책 사업중 하나라고 볼수 있다 언제 까지 학생들 교사들에게 버림 받는 교육정책을 펼칠것인가라는 한탄도 하기도 한다. 앞에서 말한 듯이 교육은 백년제 대계이다. 쉽게 결정되어질 문제도 아니고 탁상공론적인 교육정책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정부는 빨리 변화는 하는 이교육계를 능동적으로 대처해나야 할 것이다. 그래서 사교육에 멍드는 공교육이 아닌 진정한 나라의 일꾼을 배출하는 공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수준별교육과정의 의미와 목적, 수준별교육과정의 배경과 자료개발, 수준별교육과정의 도입과...
복식통합교육과정(복식수업)의 의의, 복식통합교육과정(복식수업)의 중요성, 복식통합교육과...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의의,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특별활동교육과정 개정, 특별활...
도덕과교육과정(도덕교육과정)의 개정 취지, 도덕과교육과정(도덕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도...
특별활동교육과정의 목표,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성격,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영역별 내용, 특별...
제7차교육과정의 특징과 기본 방향, 제7차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개정 경과, 제7차...
초등교육과정(초등학교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초등교육과정(초등학교교육과정)의 개정 내용,...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목표와 개정중점,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기본방향...
사회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적, 사회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의 편제, 사회교...
기술가정과교육과정(기술가정교육과정)의 성격과 목적, 기술가정과교육과정(기술가정교육과정...
영어과교육과정(영어교육과정)의 목적, 영어과교육과정(영어교육과정)의 중점, 영어과교육과...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정의,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임의규정,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운영준비, 선택...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 수업)의 분류와 필요성,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 수업)의 교...
학교교육과정의 의미, 학교교육과정의 특성, 학교교육과정의 편성운영체제, 학교교육과정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