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줄거리
2.부인은 죽어서 망부석이 되었다
3.한이 맺힌 사람은 왜 죽어서 돌이 될까?
2.부인은 죽어서 망부석이 되었다
3.한이 맺힌 사람은 왜 죽어서 돌이 될까?
본문내용
만 전해지고, 가사는 전해지지 않는다.
*내물왕
신라 제19대 왕(재위 417 458).
별칭 : 눌지
(麻立干)
활동분야 : 정치
성은 김씨(金氏). 눌지
(麻立干)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제17대 내물왕(奈勿王)이며, 제18대 실성왕(實聖王)의 딸을 비(妃)로 맞았다. 자신을 해치려는 실성왕을 제거하고 왕위에 올랐다. 418년 고구려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고자 볼모로 간 동생 복호(卜好)를 데려왔으며, 또
(朴堤上)을 일본에 보내 역시 볼모로 간 다른 아우 미사흔(未斯欣)을 탈출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은 일본을 속이고 미사흔을 빼돌린 사실이 발각되어 잡혀 죽었다. 미사흔의 귀국 이후
의 침입이 있었으나 모두 막아냈다. 438년 우차법(牛車法)을 제정하였다. 455년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자 백제와
(攻守同盟)을 맺고 백제에 원병을 보냈다. 재위 기간에 고구려의
(墨胡子)가 처음으로
를 전파하기 시작했다.
*박제상 (朴堤上 ; ?~?)
신라의 충신(忠臣)으로서 모말(毛末)이라고도 하며,
에는 김제상(金堤上)으로 되어 있다. 시조
의 후손으로
의 5대손이다. 할아버지는 아도갈문왕(阿道葛文王)이며, 아버지는
물품(勿品)이다.
*내물왕
신라 제19대 왕(재위 417 458).
별칭 : 눌지
(麻立干)
활동분야 : 정치
성은 김씨(金氏). 눌지
(麻立干)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제17대 내물왕(奈勿王)이며, 제18대 실성왕(實聖王)의 딸을 비(妃)로 맞았다. 자신을 해치려는 실성왕을 제거하고 왕위에 올랐다. 418년 고구려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고자 볼모로 간 동생 복호(卜好)를 데려왔으며, 또
(朴堤上)을 일본에 보내 역시 볼모로 간 다른 아우 미사흔(未斯欣)을 탈출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은 일본을 속이고 미사흔을 빼돌린 사실이 발각되어 잡혀 죽었다. 미사흔의 귀국 이후
의 침입이 있었으나 모두 막아냈다. 438년 우차법(牛車法)을 제정하였다. 455년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자 백제와
(攻守同盟)을 맺고 백제에 원병을 보냈다. 재위 기간에 고구려의
(墨胡子)가 처음으로
를 전파하기 시작했다.
*박제상 (朴堤上 ; ?~?)
신라의 충신(忠臣)으로서 모말(毛末)이라고도 하며,
에는 김제상(金堤上)으로 되어 있다. 시조
의 후손으로
의 5대손이다. 할아버지는 아도갈문왕(阿道葛文王)이며, 아버지는
물품(勿品)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