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하려고 했던 것이다. 여기서 재밌는 점은 일본의 국력이 신라와 버금 갈만큼 상당했다는 점이다. 난 삼국사기를 읽으면서 일본의 이러한 국력을 백제와 연관시켜 생각해 보니 당시 백제의 왕은 근초고왕이었는데, 신라와 한번 국교가 끊긴 상태에서 백제의 영향을 받아 성장하지 않았을까 한다. 삼국사기에는 17대 아신왕 때부터 백제가 일본과 강화를 맺고 사신이 교류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근초고왕 때부터 연관이 있었을 거라고 생각한다. 백제는 당시 최고의 전성기를 달리고 있었다. 삼국의 주도권을 손에 쥐고 있으면서 고구려에 쳐들어가 고구려 왕의 목을 베는 등 압도적인 국력을 과시하던 당시의 백제였다. 신라와 별 볼일 없어진 일본은 백제와의 교류를 꾀하였고 그리하여 신라의 왕자를 볼모로 데려왔으나 박제상이 탈출시켜버리자 그 이후에는 신라와는 적대적인 관계를 맺고, 상대적으로 백제와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을거라고 생각한다.
흔히 일본을 가깝고도 먼 나라라는 말로 표현하곤 한다. 지리적으로는 가깝지만 국민들의 정서가 멀기에 이러한 표현이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일본을 그다지 좋아하진 않지만 이렇게 일본에 대해서 공부도 하고 나름대로는 많은 것을 얻은 시간이였다.
흔히 일본을 가깝고도 먼 나라라는 말로 표현하곤 한다. 지리적으로는 가깝지만 국민들의 정서가 멀기에 이러한 표현이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일본을 그다지 좋아하진 않지만 이렇게 일본에 대해서 공부도 하고 나름대로는 많은 것을 얻은 시간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