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2
Ⅱ.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의 역사
1. 일본 우익의 1차 ‘교과서 공격’과 교과서 재판:1955~1981
1) 1950년대 : 우익의 교과서 공격과 교과서 검정제 도입
2) 1960년대 중반 : 호헌파(護憲派)의 반격과 교과서 재판
2. 일본 우익의 2차 ‘교과서 공격’ : 1982~1986-------------------- 3
1) 문부성의 “쓰게 하는 검정”
2) 2차 교과서 공격에 대한 한국의 대응--------------------------- 4
⑴정부의 대응
⑵언론의 대응--------------------------------------------------- 5
⑶대중들의 대응
3. 제3차 교과서파동(2001년)------------------------------------- 6
1)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2)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교과서의 탄생구도------------ 7
⑴자민당내 우익세력
⑵우익교수
⑶우익언론
⑷일본을 지키는 국민회의(현 일본회의)
3) ‘새 역사교과서’의 왜곡된 역사내용 및 한국측 수정요구------- 8
4) 일본역사교과서에 대한 한국 및 주변국가들의 대응----------- 22
⑴한 국
⑵중 국------------------------------------------------------- 24
⑶북 한------------------------------------------------------- 25
⑷대 만------------------------------------------------------- 26
Ⅲ. 1982년과 2001년의 일본교과서 파동의 비교
- 대응의 변화를 중심으로 -------------------------------- 27
1. 상설단체로 전환
2. 재수정요구-------------------------------------------------- 28
3. 불채택운동으로의 전환--------------------------------------- 29
4. 일본신문에 의견광고 싣기 운동
Ⅳ. 결 론------------------------------------------------------ 30
※ 참고문헌----------------------------------------------------- 31
Ⅱ.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의 역사
1. 일본 우익의 1차 ‘교과서 공격’과 교과서 재판:1955~1981
1) 1950년대 : 우익의 교과서 공격과 교과서 검정제 도입
2) 1960년대 중반 : 호헌파(護憲派)의 반격과 교과서 재판
2. 일본 우익의 2차 ‘교과서 공격’ : 1982~1986-------------------- 3
1) 문부성의 “쓰게 하는 검정”
2) 2차 교과서 공격에 대한 한국의 대응--------------------------- 4
⑴정부의 대응
⑵언론의 대응--------------------------------------------------- 5
⑶대중들의 대응
3. 제3차 교과서파동(2001년)------------------------------------- 6
1)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2)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교과서의 탄생구도------------ 7
⑴자민당내 우익세력
⑵우익교수
⑶우익언론
⑷일본을 지키는 국민회의(현 일본회의)
3) ‘새 역사교과서’의 왜곡된 역사내용 및 한국측 수정요구------- 8
4) 일본역사교과서에 대한 한국 및 주변국가들의 대응----------- 22
⑴한 국
⑵중 국------------------------------------------------------- 24
⑶북 한------------------------------------------------------- 25
⑷대 만------------------------------------------------------- 26
Ⅲ. 1982년과 2001년의 일본교과서 파동의 비교
- 대응의 변화를 중심으로 -------------------------------- 27
1. 상설단체로 전환
2. 재수정요구-------------------------------------------------- 28
3. 불채택운동으로의 전환--------------------------------------- 29
4. 일본신문에 의견광고 싣기 운동
Ⅳ. 결 론------------------------------------------------------ 30
※ 참고문헌----------------------------------------------------- 31
본문내용
추천자료
남북한 언어분화의 배경
동아시아 역사인식
황태자비 납치사건을 읽고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과 대응방안
과거사청산에 관련된 신문기사-일본편
자원적 측면에서 ‘독도’가 주는 시사점
일본 우익에 대한 연구
[중국현대사]한, 중, 일 역사교과서의 현대사 시각차이 비교분석과 개선방안
[일본][일본문화][일본의 문화][주거][차][축제][결혼][일본문화개방]일본의 문화(일본의 생...
일본의 보수 우경화 현상의 원인과 실태
중국과 일본의 한국사 왜곡
한국 중국 일본의 역사교육
역사교육 - 고조선 역사왜곡과 고조선 역사왜곡의 대처방안
중국과 미국, 일본, 동아시아 주변 경쟁국과의 갈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