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보수 우경화 현상의 원인과 실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보수 우경화 현상의 원인과 실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전(戰前)의 일본과 같이 맹목적으로 국가적 이데올로기에 매몰되어 가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2) 미주둔군에 의한 민주주의 사상 이식
전후 미 주둔군에 의한 일본 내 집단적 사회의식체계의 해체와 그 위에 세워진 민주주의 사상의 성립은 일본 사회의 가장 큰 사회 자정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간과하고 있는 사실중의 하나가 바로 이 부분이다. 피지배의 아픈 경험과 이에 대한 피해의식 때문인지 아직까지 우리가 보는 일본에 대한 시선에는 전전(戰前)의 모습이 강하게 투영되어 있다. 일본은 집단주의적이며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하다라는 것이 우리가 일본을 보는 보통의 시선일 것이다.
하지만 정작 현재의 일본에서는 이런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일본의 패전과 함께 미군정은 루즈 베네딕트의 보고서 [국화와 칼] 등을 참고해 집단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일본 사회의 성격을 바꿔 놓기 위해 기존의 사회 이데올로기에 대한 부정을 통해 민주주의 사상을 일본에 뿌리내리게 하였고 그 결과로 오늘날 일본사회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의 성숙한 민주주의 사회를 이뤄 내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성숙한 사회에서 필요 이상의 군사 대국화 추구나 주변국들과의 심각한 마찰은 위정자들에게 심각한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일본 사회가 어느 한쪽으로 쏠려 버리는 것을 막아내는 역할을 해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활발한 시민운동
미군정에 의한 민주주의의 성공적인 정착은 일본을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시민운동이 일어나는 나라 중 하나로 만들었다. 얼마 전의 [어린이와 교과서 전국 네트워크]와 같은 일본 시민단체의 운동은 우익 세력들에 반대하여 왜곡된 역사 교과서의 채택을 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됐다. 또한 국가나 어떤 집단 못지 않게 그에 속한 개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인정하는 민주주의가 일본사회에 뿌리를 깊이 내렸다는 것과 세계에서 가장 열성적인 시민 단체의 활동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은 그만큼 보수 우경화의 바람이 불어와도 일본사회가 갑작스럽게 변화를 겪게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예상을 갖게 한다.
6. 우리의 대응자세
이상으로 역사교과서 왜곡이라는 일본사회 내부의 작은 움직임을 통해 우익화 경향이 차츰 대두되어 가고 있는 근본원인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는 이를 어떤 각도에서 바라보고 이해해야 할지를 상술해 보았다. 앞서도 밝혔듯이 일각에서의 움직임을 마치 일본 국민 전체의 의지인 것처럼 여기고 전전으로의 복귀나 군국주의의 부활 등으로 지나치게 확대 해석하는 것은 한일 양국의 미래지향적인 관계발전에 상당히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물질적인 풍요와 정치적인 자유를 누리고 있는 대다수의 일본 국민들에게 정도를 넘어선 우경화와 군국주의 사회로의 이행은 절대 받아들여 질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발전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체제로 인한 사회적 균형으로 전 사회적인 격변은 일어나지 않겠지만 일부 골수 보수층의 발악에 가까운 움직임들이 일반 시민사회 내부에 잠재되어 있던 민족주의와 결합될 때 의외의 힘을 갖고 큰 파장을 불러 올 수도 있다. 얼마 전 주위의 예상을 깨고 국기게양과 기미가요 사용이 국민들과 국회의 별다른 반발 없이 허용된 것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우리는 현재 일본의 우경화 경향을 지나치게 확대 해석하여 선린외교 관계를 해치는 것은 경계해야 하지만 한편으론 이를 예의주시하며 현재 일본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그에 맞는 외교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7. 참고자료
현대일본의 이해 (김인현 저) . (주)학문사
KBS 추적 60분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한국전략문제 연구소 http;//www.kris.or.kr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8.1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1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