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파슨스의 사회 개념과 안정된 사회의 조건
2. 파슨스(T. Parsons)의 사회체제를 균형, 유지하는 네 가지 기능
1) 유형유지(pattern-maintenance)기능
2) 통합(intergration)기능
3) 목표달성(goal-attainment)기능
4) 적응(adaptation)기능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파슨스의 사회 개념과 안정된 사회의 조건
2. 파슨스(T. Parsons)의 사회체제를 균형, 유지하는 네 가지 기능
1) 유형유지(pattern-maintenance)기능
2) 통합(intergration)기능
3) 목표달성(goal-attainment)기능
4) 적응(adaptation)기능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다 옳다고 판단되는 가치를 스스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행위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 체계 속에서 행위자가 안정적으로 행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회체계에 공유된 규범적 가치가 행위자들에게 얼마나 정당한 것으로 인정받느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안정적인 사회체계가 곧 안정적인 사회인 것은 아니다. 앞서 예시로 든 군복무제도를 통해 설명할 경우 이것을 보다 뚜렷해진다. 군복무를 우리는 제도 또는 체계와 관련된 개념으로 이해할 뿐 사회와 연결시켜 부르지는 않는다. 유사하지만 사회라고 불리는 형태는 조직사회로 인식되는 “군대”가 있을 뿐이다. 사회체계로서의 군복무제도와 사회로서의 군대를 나누는 파슨스의 개념은 “자급자족”의 가능 유무 조건이다. 파슨스에 의하면 사회란 사회체계 중에서도 환경과의 관계에서 자급자족을 가장 잘 유지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회가 자급자족적이란 것은 사회의 기능 작용을 위해 환경과의 상호작용 관계를 안정성 있게 유지하고 통제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사회체계가 자급자족적이기 위한 조건, 다시 말해 사회체계가 사회이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전제가 따른다. 첫째, 사회의 기능 작용에 적절하게 “기여”하는 성원들의 수행을 기대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특정한 문화유형을 기반으로 형성된 규범이 사회구성원들로부터 거부되어지고, 이로 인해 일탈현상이 발생할 경우, 사회체계는 이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공유된 규범적 가치가 행위자들에게 내면화되고 규범을 통해 제도화 되는 상호침투를 통해 첫 번째 조건이 충족된다면, 두 번째 조건은 행위체계가 존재하기 위해 유형유지(pattern-maintenance), 통합(integration), 목표달성(goal-attainment), 적응(adaptation)의 기능이 충족되어야만 했던 것처럼 사회체계 역시 위의 네 가지 기능이 충족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니코스 무젤리스. 정헌주 역. 『사회학 이론, 무엇이 문제인가』. 서울: 아카넷, 2013.
리판(2003). 신기능주의의 새로운 의미는 무엇인가-파슨스와 알렉산더이론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윤희(2006). 파슨스 사회이론의 재조명-퍼스낼리티 개념을 중심으로-.담론201, 한국사회역사학회.
박치현. 2015.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 사회학에서 ‘사회(society)’ 개념의 재구성.”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참고문헌
니코스 무젤리스. 정헌주 역. 『사회학 이론, 무엇이 문제인가』. 서울: 아카넷, 2013.
리판(2003). 신기능주의의 새로운 의미는 무엇인가-파슨스와 알렉산더이론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윤희(2006). 파슨스 사회이론의 재조명-퍼스낼리티 개념을 중심으로-.담론201, 한국사회역사학회.
박치현. 2015.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 사회학에서 ‘사회(society)’ 개념의 재구성.”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