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1. 국 립 도 서 관
2. 대 학 도 서 관
3. 공 공 도 서 관
4. 특 수 도 서 관
5. 고 문 서
2. 대 학 도 서 관
3. 공 공 도 서 관
4. 특 수 도 서 관
5. 고 문 서
본문내용
1. 1368년 Charles 5세가 개인 장서를 Louvre 궁으로 옮긴 것이 기 원. Gilles Malet(guardian of the library)가 검서를 한 결과 사본이 917권. 당시는 왕이 죽으면 장서가 소실되기 일수였다.
2. Louis 11세(1461-1483년 재임)가 Bibliotheque Naionale 설립, 이후 존속됨(왕실 존속과 같이 함), 그의 아들 Charles 13세가 이탈리아 원정에서 갖고 온 최초의 인쇄본을 비롯한 초기 사본을 추가했다. 이후 장서는 더 이상 소실되지 않았다.
3. 1522년 Francois 1세는 Amboise로, 다시 Blois로 이전된 도서 관을 Gontainebleau에 새 도서관을 설립하여 병합했으며, 학자인 Guillaume Bude에게 관리를 맡겼다.
4. 1537년 12월 28일 모든 인쇄업자와 서적상에게 판매용 인쇄본을 기탁(deposit)하도록 명했다 (legal or copyright deposit). 이 날이 도서관 창립일로 정해졌다.
납본제는 1617년 루이 10세때 완전히 정착되었다.
5. 1622년, 사본과 인쇄본 합계 4,712권. 인쇄목록 완성 (Rigault 관장)
6. 16세기 중반 도서관이 파리로 옮겨졌으며, 종교전쟁 동안 막대한 피해를 입는다.
7. 루이 16세때, Colbert, J. B.(1619-1683)에 의하여 큰 발전을 이룬다. (1) Gabriel Naude의 영향을 받았다.
(2) 도서관을 파리 지역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파리에 존속)
(3) 왕실도서관의 장서를 확충하였다. 가. 외국 주재 외교관에게 도서를 구입케 하였다. 나. 동양에도 사람을 보내 도서를 구입케 하였다. 다. 판화 수집 --> 판화실 기초 라. 사후 장서수가 4배로 확충되었다.
8. 1670년, Nicolas Clément는 Bibliothèque du Roi(royal library)를 위하여 23개의 카테고리를 알파벳으로 표현하는 분류표를 작성하였다. 그 원칙이 오늘날까지 존속. 사본류 목록 작성
2. Louis 11세(1461-1483년 재임)가 Bibliotheque Naionale 설립, 이후 존속됨(왕실 존속과 같이 함), 그의 아들 Charles 13세가 이탈리아 원정에서 갖고 온 최초의 인쇄본을 비롯한 초기 사본을 추가했다. 이후 장서는 더 이상 소실되지 않았다.
3. 1522년 Francois 1세는 Amboise로, 다시 Blois로 이전된 도서 관을 Gontainebleau에 새 도서관을 설립하여 병합했으며, 학자인 Guillaume Bude에게 관리를 맡겼다.
4. 1537년 12월 28일 모든 인쇄업자와 서적상에게 판매용 인쇄본을 기탁(deposit)하도록 명했다 (legal or copyright deposit). 이 날이 도서관 창립일로 정해졌다.
납본제는 1617년 루이 10세때 완전히 정착되었다.
5. 1622년, 사본과 인쇄본 합계 4,712권. 인쇄목록 완성 (Rigault 관장)
6. 16세기 중반 도서관이 파리로 옮겨졌으며, 종교전쟁 동안 막대한 피해를 입는다.
7. 루이 16세때, Colbert, J. B.(1619-1683)에 의하여 큰 발전을 이룬다. (1) Gabriel Naude의 영향을 받았다.
(2) 도서관을 파리 지역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파리에 존속)
(3) 왕실도서관의 장서를 확충하였다. 가. 외국 주재 외교관에게 도서를 구입케 하였다. 나. 동양에도 사람을 보내 도서를 구입케 하였다. 다. 판화 수집 --> 판화실 기초 라. 사후 장서수가 4배로 확충되었다.
8. 1670년, Nicolas Clément는 Bibliothèque du Roi(royal library)를 위하여 23개의 카테고리를 알파벳으로 표현하는 분류표를 작성하였다. 그 원칙이 오늘날까지 존속. 사본류 목록 작성
추천자료
디지털도서관과 도서관자동화 사례
유비쿼터스 도서관 실현을 위한 디지털 도서관과 모바일 서비스
공공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효목도서관)
[전자책][e-book][전자도서관][디지털도서관]전자책(e-book)의 개념, 특성, 디지털도서관(전...
[공공도서관][공공도서관 서비스][공공도서관 위탁관리][공공도서관 어린이교육]공공도서관 ...
[도서관][도서관사][정보화][도서관의 최초 설립자][동양의 도서관사][도서관의 자료][도서관...
[학교도서관][학교도서관 기능][학교도서관 일반현황][학교도서관 개선 방안]학교도서관의 특...
[디지털도서관]학교도서관의 디지털화, 전통적 도서관과 디지털자료실의 조화로운 발전모색, ...
[독서교육]도서관 독서교육(독서지도)의 현황, 도서관 어린이(아동) 독서교육(독서지도)의 현...
[도서관 건축][교회 건축][극장 건축][목조 건축][환경친화적 건축][생태 건축]도서관 건축, ...
[좋은학교][좋은교사][좋은수업][좋은학습놀이][좋은학교도서관][좋은학급환경]좋은학교, 좋...
[공공직장보육시설][공공체육시설][공공도서관시설][공공청소년수련시설]공공직장보육시설, ...
[정보주권, 정보주권과 공공도서관, 정보주권과 연합뉴스, 정보주권과 소비자, 정보주권과 개...
르네상스 시대 도서관에 대하여 -서구 인쇄술의 발명과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