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파나마 경제·무역 개황
(1) 파나마 경제 개관
(2) 파나마의 교역현황
(3) 파나마의 지역협력 정책
2. 대만-파나마 FTA
(1) FTA 주요내용
(2) FTA체결로 인한 양국의 기대효과
3. 대만-파나마 FTA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2) 시사점
(1) 파나마 경제 개관
(2) 파나마의 교역현황
(3) 파나마의 지역협력 정책
2. 대만-파나마 FTA
(1) FTA 주요내용
(2) FTA체결로 인한 양국의 기대효과
3. 대만-파나마 FTA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2) 시사점
본문내용
관계 발전 도모. 2002년 우리와의 교역액은 115억불로 우리의 5대 교역상대국임.
- 1948.8 외교관계 수립, - 1992.8 외교관계 단절
- 1993.11 주대만 한국대표부 개설, - 2003.1 한-대만 전세기 취항
3. 대만-파나마 FTA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o 섬유류를 제외하고는 파나마에 수출하는 대만과 우리의 주력 수출품목이 달라 큰 피해는 없을 것으로 예상됨.
- 대만의 對파나마 주요 수출품목은 마그네틱 테이프와 섬유류 및 진공펌프 등인 반면, 우리는 에어콘, TV 등의 가전제품임.
- 단, 우리가 연간 660만불 가량을 수출하고 있는 섬유류의 경우 대만의 주력 수출품목 가운데 하나이며 현행 관세율도 5∼10%가량에 달하고 있어 피해가 우려됨.
· 또한 보안장비 등 대만산과 경합하는 품목을 소규모로 수출하는 중소기업들의 경우도 피해를 입을 것으로 우려됨.
<한국의 對파나마 주요수출품목에 대한 대만과 한국의 수출(02년)>
(단위: 천달러, %)
품목 (HS4단위 기준)
현행관세율(%)
(관세인하스케줄*)
한국(비중)
대만(비중)
TV수신용 기기(8528)
0∼12(A,B)
22,359(11.7)
168(0.1)
공기조절기(8415)
2.2∼12(A,C)
18,846(9.9)
185(0.2)
철,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7210)
1.1∼4.5(A,B)
14,538(7.6)
36(0.03)
냉장고 등(8418)
0∼9.8(A,B,C)
14,262(7.5)
306(0.3)
승용차와 기타차량(8703)
2∼60(A,B,X)
13,970(7.3)
114(0.1)
세탁기(8450)
4.5∼11(A,C)
10,616(5.6)
-
송신기기 및 카메라(8525)
0∼6(A,B)
9,057(4.7)
71(0.06)
고무 타이어(4011)
0∼11.5(A,B)
6,678(3.5)
792(0.7)
합성장섬유사 직물(5407)
5∼10(A)
6,636(3.5)
17,058(14.6)
가열기, 다리미 등(8516)
1∼11(A,B,C)
5,222(2.7)
54(0.05)
총 계 (선박수출 제외)
190,935
116,995
* 대만-파나마 FTA에 따른 관세인하 스케줄
(A: 즉시철폐, B: 5년내 철폐, C: 10년내 철폐, X:예외품목)
- 선박의 경우 편의치적으로 인해 통계상으로만 對파나마 수출입으로 계산됨.
- 자료: 대만 경제부, KOTIS
o 하지만 파나마의 경제규모가 크지 않고, 대만 및 우리나라와의 교역수준이 전체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지 않아 큰 피해는 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됨.
- 파나마는 대만의 65번째 무역상대국으로서 2002년 기준 대만과의 교역액은 1.75억달러로 대만 전체교역액의 0.054%를 차지하며, 우리나라와는 선박을 제외할 경우 1.95억달러로 우리나라 전체교역내 비중은 0.061%에 불과함.
o 또한 파나마의 평균 관세율은 8.25%로 중미지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며, 자유무역을 지향하는 등 꾸준히 관세를 인하하고 있어 FTA체결에 따른 관세인하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음.
- 특히 파나마는 농민보호목적으로 비료 등 농화학 제품과 농기계류에 대해서는 무관세, 원자재에 대해서는 3%인 반면, 농산물에 대해서만 비교적 고율의 관세를 물리고 있음
o 하지만, 2005년으로 예정된 전미자유무역지대(FTAA)를 비롯하여 파타마가 미국 등 주변국과의 FTA체결을 추진하고 있어 대만이 파나마를 통해 중남미 시장에 진출을 확대할 경우 우리 수출업체에게 타격을 줄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됨.
o 한편 파나마의 대만시장 진출로 인한 피해는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됨. 이는 파나마가 제조업이 전무하고 서비스업과 농업이 발달하여 우리와 경쟁보다는 보완적인 산업구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임.
(2) 시사점
o FTA를 경제적 목적 뿐 아니라 정치·외교의 수단으로서도 활용.
- 대만-파나마 FTA는 대만과 중미국간의 전통적인 우애를 바탕으로 경제적 요인외에 정치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였음.
· 이는 양국간 FTA가 시장확대 등의 경제적인 목적 뿐 아니라 체결국간의 관계 강화 등 외교의 수단으로서도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줌.
· 미국이 현재 추진 중인 모로코와의 FTA 및 旣체결한 이스라엘과의 FTA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음.
- 과거 냉전시대에는 같은 이념을 통해 동맹관계가 구축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이념을 초월하여 정치·경제적 실리를 좇아 국가간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FTA가 과거의 동맹과 같은 국가간의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는 수단되고 있음.
· 대만은 파나마와의 FTA체결 이후에도 계속해서 미국, 일본, 아세안 회원국 및 한국과의 FTA를 희망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히는 등 FTA를 활용하여 경제적 실리와 함께 외교적 고립 탈피를 시도하고 있음
· 현재 발효중인 FTA가 전무한 우리로서는 체결된 칠레와의 FTA 비준을 포함하여 주요국과의 FTA 추진을 통해 경제적 실리와 함께 적극적인 정치·외교관계의 구축이 요청됨.
o 중남미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확대
- 최근 일본이 멕시코와의 FTA체결을 앞두고 있으며, 대만은 파나마를 통해 이미 중남미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으며, 중국도 중남미 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등 중남미시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 반면, 우리는 칠레와의 FTA체결에 대한 국회 비준 연기로 중남미 수출시장을 빼앗기고 있다는 피해가 속출함.
- 최근 관심을 쏟고 있는 멕시코 외에,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의 중남미의 거대시장에 대한 관심 증대 필요.
o 파나마와의 자유무역을 통한 미주시장 진출 교두보 확대
- 현재 우리정부가 단기간내 FTA를 추진할 후보국가로 지정한 멕시코 외에 미주지역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서 파나마와의 FTA 추진 고려.
· 파나마는 중남미의 금융 및 중계무역 중심지로서 미주 시장으로 들어가는 교두보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경제규모가 작고 자유무역을 지향하고 있어 FTA체결이 수월함.
· 파나마의 FTA체결은 향후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주변 경제대국과의 FTA체결 협상 및 이행 과정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됨.
- 1948.8 외교관계 수립, - 1992.8 외교관계 단절
- 1993.11 주대만 한국대표부 개설, - 2003.1 한-대만 전세기 취항
3. 대만-파나마 FTA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o 섬유류를 제외하고는 파나마에 수출하는 대만과 우리의 주력 수출품목이 달라 큰 피해는 없을 것으로 예상됨.
- 대만의 對파나마 주요 수출품목은 마그네틱 테이프와 섬유류 및 진공펌프 등인 반면, 우리는 에어콘, TV 등의 가전제품임.
- 단, 우리가 연간 660만불 가량을 수출하고 있는 섬유류의 경우 대만의 주력 수출품목 가운데 하나이며 현행 관세율도 5∼10%가량에 달하고 있어 피해가 우려됨.
· 또한 보안장비 등 대만산과 경합하는 품목을 소규모로 수출하는 중소기업들의 경우도 피해를 입을 것으로 우려됨.
<한국의 對파나마 주요수출품목에 대한 대만과 한국의 수출(02년)>
(단위: 천달러, %)
품목 (HS4단위 기준)
현행관세율(%)
(관세인하스케줄*)
한국(비중)
대만(비중)
TV수신용 기기(8528)
0∼12(A,B)
22,359(11.7)
168(0.1)
공기조절기(8415)
2.2∼12(A,C)
18,846(9.9)
185(0.2)
철,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7210)
1.1∼4.5(A,B)
14,538(7.6)
36(0.03)
냉장고 등(8418)
0∼9.8(A,B,C)
14,262(7.5)
306(0.3)
승용차와 기타차량(8703)
2∼60(A,B,X)
13,970(7.3)
114(0.1)
세탁기(8450)
4.5∼11(A,C)
10,616(5.6)
-
송신기기 및 카메라(8525)
0∼6(A,B)
9,057(4.7)
71(0.06)
고무 타이어(4011)
0∼11.5(A,B)
6,678(3.5)
792(0.7)
합성장섬유사 직물(5407)
5∼10(A)
6,636(3.5)
17,058(14.6)
가열기, 다리미 등(8516)
1∼11(A,B,C)
5,222(2.7)
54(0.05)
총 계 (선박수출 제외)
190,935
116,995
* 대만-파나마 FTA에 따른 관세인하 스케줄
(A: 즉시철폐, B: 5년내 철폐, C: 10년내 철폐, X:예외품목)
- 선박의 경우 편의치적으로 인해 통계상으로만 對파나마 수출입으로 계산됨.
- 자료: 대만 경제부, KOTIS
o 하지만 파나마의 경제규모가 크지 않고, 대만 및 우리나라와의 교역수준이 전체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지 않아 큰 피해는 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됨.
- 파나마는 대만의 65번째 무역상대국으로서 2002년 기준 대만과의 교역액은 1.75억달러로 대만 전체교역액의 0.054%를 차지하며, 우리나라와는 선박을 제외할 경우 1.95억달러로 우리나라 전체교역내 비중은 0.061%에 불과함.
o 또한 파나마의 평균 관세율은 8.25%로 중미지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며, 자유무역을 지향하는 등 꾸준히 관세를 인하하고 있어 FTA체결에 따른 관세인하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음.
- 특히 파나마는 농민보호목적으로 비료 등 농화학 제품과 농기계류에 대해서는 무관세, 원자재에 대해서는 3%인 반면, 농산물에 대해서만 비교적 고율의 관세를 물리고 있음
o 하지만, 2005년으로 예정된 전미자유무역지대(FTAA)를 비롯하여 파타마가 미국 등 주변국과의 FTA체결을 추진하고 있어 대만이 파나마를 통해 중남미 시장에 진출을 확대할 경우 우리 수출업체에게 타격을 줄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됨.
o 한편 파나마의 대만시장 진출로 인한 피해는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됨. 이는 파나마가 제조업이 전무하고 서비스업과 농업이 발달하여 우리와 경쟁보다는 보완적인 산업구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임.
(2) 시사점
o FTA를 경제적 목적 뿐 아니라 정치·외교의 수단으로서도 활용.
- 대만-파나마 FTA는 대만과 중미국간의 전통적인 우애를 바탕으로 경제적 요인외에 정치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였음.
· 이는 양국간 FTA가 시장확대 등의 경제적인 목적 뿐 아니라 체결국간의 관계 강화 등 외교의 수단으로서도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줌.
· 미국이 현재 추진 중인 모로코와의 FTA 및 旣체결한 이스라엘과의 FTA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음.
- 과거 냉전시대에는 같은 이념을 통해 동맹관계가 구축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이념을 초월하여 정치·경제적 실리를 좇아 국가간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FTA가 과거의 동맹과 같은 국가간의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는 수단되고 있음.
· 대만은 파나마와의 FTA체결 이후에도 계속해서 미국, 일본, 아세안 회원국 및 한국과의 FTA를 희망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히는 등 FTA를 활용하여 경제적 실리와 함께 외교적 고립 탈피를 시도하고 있음
· 현재 발효중인 FTA가 전무한 우리로서는 체결된 칠레와의 FTA 비준을 포함하여 주요국과의 FTA 추진을 통해 경제적 실리와 함께 적극적인 정치·외교관계의 구축이 요청됨.
o 중남미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확대
- 최근 일본이 멕시코와의 FTA체결을 앞두고 있으며, 대만은 파나마를 통해 이미 중남미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으며, 중국도 중남미 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등 중남미시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 반면, 우리는 칠레와의 FTA체결에 대한 국회 비준 연기로 중남미 수출시장을 빼앗기고 있다는 피해가 속출함.
- 최근 관심을 쏟고 있는 멕시코 외에,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의 중남미의 거대시장에 대한 관심 증대 필요.
o 파나마와의 자유무역을 통한 미주시장 진출 교두보 확대
- 현재 우리정부가 단기간내 FTA를 추진할 후보국가로 지정한 멕시코 외에 미주지역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서 파나마와의 FTA 추진 고려.
· 파나마는 중남미의 금융 및 중계무역 중심지로서 미주 시장으로 들어가는 교두보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경제규모가 작고 자유무역을 지향하고 있어 FTA체결이 수월함.
· 파나마의 FTA체결은 향후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주변 경제대국과의 FTA체결 협상 및 이행 과정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추천자료
한미 FTA의 문제점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A+레포트)★★★★★
한미 FTA가 국내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
FTA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미 FTA가 스포츠 산업에 미치는 영향
[A+평가 레포트]한미 FTA가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 중소기업의 재도약을 위한 수출경...
한미 FTA가 국내 자동차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미FTA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
한미FTA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FTA가 한국 부동산 산업에 미치는 영향
한미 FTA가 한국농업에 미치는 영향
[무역정책론]한중일 FTA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A+리포트)
한미 FTA가 한국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
한-EU FTA가 우리나라 수출입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미FTA의 주요내용과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