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의 방향(분리교육과 통합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수교육의 방향(분리교육과 통합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특수교육의 실태와 분석>

<특수학교에서의 분리 교육>

<일반 학급에서의 통합 교육>

<일반학교 내의 특수 학급>

본문내용

조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학교 행사에 일반학생과 동등한 자격으로 참여하는 것은 장애학생에 대한 지역사회의 사람들, 일반학생의 부모들, 일반학생들의 인식 개선에 긍정적 영향력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기회이므로 철저한 계획으로 준비되고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
10) 일반학생들의 특수학급 학생에 대한 수용과 사회적 관계를 촉진해야 한다.
특수학급 학생이 일반학급으로 통합되기 전에 특수학급 교사나 일반학급 교사에 의해서 개인차에 대한 정보 나눔의 시간과 서로 돕는 관계와 친구 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의 시간을 필수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학과목 시간의 수업 내용 중 특수학급 학생에 대한 이해와 태도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자연스럽게 활용하여 교수하는 것이 격려되어야 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수업시간이나 노는 시간에 특수 학급 학생이 일반학급 학습 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친구관계가 개발되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명 장애학생을 지원할 "친구들의 동아리"를 활용해 볼 수 있다.
11) 일반학급에서 특수학급 학생으로 판별되지 않고 제한성을 보이는 학생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최대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일반학급에 있으면서 전문적인 별도의 도움을 못 받아온 제한성이 있는 학생들에 대한 교육적 관심과 배려는 이제까지 특수교육 전반에서 등한시 해 온 부분이다. 그러나 통합교육의 이념과 실제에서는 간과될 수 없는 주요한 과제이다. 일반학급에서 조금만 문제를 보여도 특수학급 대상 학생으로 자동적으로 의뢰하는 것이 견제될 필요가 있다. 의뢰 전 시기에 전문적 도움을 최대로 활용 못함 점은 특수교육의 역사가 한국보다 긴 나라들의 선례에서 공통적으로 후회하는 점들이다. 왜냐하면 실질적인 양질의 교육 지원 프로그램 개발과 제공보다는 장애학생으로의 표찰하는 단계에 집중하여 , 표찰된 장애학생 수 증가를 촉진했고, 일단 표찰된 후에만 지원적 교육 프로그램을 고려하게 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의뢰 전에 개개 학생에 적합한 교육적 방안들이 강구되어 충분히 제공될 수 있도록, 일반 교사들을 지원하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전문성의 융통적 활용을 위해 특수교육 전공 교사와의 협력 팀 교수, 자문교사의 활용, 대학의 전문가와의 협력체계, 교사 재교육 연수의 강화 등 일반교사가 일반학급에서 제한성을 보이는 학생들에게 양질의 적합한 교육을 최대로 제공하도록 일반교사 지원 프로그램 방안들을 연구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2.19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