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고혈압의 정의 및 분류
3. 고혈압의 중요성
4. 고혈압에 작용하는 위험요인 및 특성
5. ‘고혈압 전 단계’로 판정받은 환자의 건강문제
6. ‘고혈압 전 단계’로 판정받은 환자에게 필요한 혈압 관리방안
7. 참고자료
2. 고혈압의 정의 및 분류
3. 고혈압의 중요성
4. 고혈압에 작용하는 위험요인 및 특성
5. ‘고혈압 전 단계’로 판정받은 환자의 건강문제
6. ‘고혈압 전 단계’로 판정받은 환자에게 필요한 혈압 관리방안
7. 참고자료
본문내용
진모형은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과 건강신념모델에 기초를두고인간을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간호학적 관점에서 도출되어 건강증진행위를설명하고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어지고 있다.
Pender는 최초로 간호문헌에 건강증진모형을 소개하고, 건강행위수행을 설명하기 위해 변수들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하려는 구체적이고 다차원적접근을 시도하여 건강증진 초기모형을 제시하였다. 이후 모형의 검증을 위한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짐에 따라 1987년 모형의 정련화와 재구성을 통하여 다시 1996년에 수정된 건강증진모형을 제시하였다. Pender의 수정모형은초기모델에 비해 관련 요소들이 제외되거나 추가되어 기대-가치이론과 인지지각이론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개인적특성과 경험, 행위관련 인지와 감정, 행위결과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다. 개인적특성과 경험에는 과거 건강관련 행위 및 개인적 요인이 포함되는데 이러한요인들이 건강증진행위 뿐만 아니라 행위와 관련된 인지와 정서에도 직간접적인영향을 미친다. 개인적 요인은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문화적으로 범주화되어 있으며, 개인의 생물학적 요인에는 나이, 성, 체질량지수, 폐경상태, 운동능력, 힘, 민첩성, 균형과 같은 변수가 포함되고, 개인의 심리적 요인에는 자아존중감, 자기동기화, 개인의 능력,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의 정의와 같은 변수가포함된다. 개인의 사회문화적 요인에는 인종, 민족성, 문화이입, 교육, 사회경제적 생태 등의 변수가 포함된다.
행위와 관련된 인지와 정서에 대한 변수는 건강증진모형에서 중요한 동기적 의미가 있고, 이러한 변수들은 간호활동에 의해 수정될 수 있기 때문에 중재의 핵심을 이룬다. 이 범주에는 행위에 대해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행동과 관련된 감정, 인간 상호간의 영향, 상황적 요인이 포함된다. 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은 직간접적으로 건강증진행위에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행동과 관련된 감정에의해영향을 받고 지각된 장애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은 낮아진다. 인간상호간의 영향은 규범, 사회적 지지 등으로 구성되고, 사회적 압력이나 행동계획 수립을 통해 건강증진행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행위의 결과에는 행동계획 수립, 즉각적인 갈등요구와 선호성, 건강증진행위가포함된다. 행동계획 수립은 주어진 시간과 장소 내에서 특정한 행위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관여와 행위를 도출하고 실행하고 강화시키기 위한 전략과정으로 건강증진 행위를 계획하기 이전에 있을 수 있는 행동과정으로 건강증진행위의 수행가능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1996년 수정된 모형에서 개정된 내용은 건강행위의 선행요인인 인지지각요인 대신에 행위관련 인지와 감정으로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행위관련 감정 등이 포함된 것이며 인간상호간의 영향에는 규범, 지지, 모델이, 상황적 요인에 환경적 분위기와 비용, 환경의 유용성, 심미적 특성을 포함하는 개념이 추가된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요인은 건강행위의 직접적인 요인이고 행위의도를 통해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요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7. 참고자료
강정채 (1989). 고혈압. 광주: 원경문화사.
허남욱(2001). 고혈압 환자에서 건강생활습관과 혈압 조절 여부. 석사학위논문
질병관리본부 - 질병정보, http://cdc.go.kr/CDC/main.jsp
김한나(2012). 남녀 노인의 고혈압 발생 빈도와 위험요인. 석사학위논문
이평숙 외1(2000).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스트레스 증상. 한국간호과학회정신간호학회, 2000 11 292-302.
안승희(2010). 고혈압 성인 대상 4주 영양교육에 의한 혈액성상 및 식사개선. 석사학위논문
곽화순 (2015). 고혈압전기대상자를위한건강증진프로그램개발 및 효과분석. 계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구.
강보름(2018). 고혈압 환자에서 당뇨병 유무에 따른 혈관 경직도, 지질과산화물 생성 및 항산화체계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정은(2022). 2005년,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중년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식생활 평가. 석사학위논문
김가영(2015). 고혈압 유병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음주 패턴(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김종엽(2019).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약물복용 행태와 관련요인. 석사학위논문
김종호(2018). 고혈압·당뇨병환자의 운동상담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적용.박사학위논문
Pender는 최초로 간호문헌에 건강증진모형을 소개하고, 건강행위수행을 설명하기 위해 변수들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하려는 구체적이고 다차원적접근을 시도하여 건강증진 초기모형을 제시하였다. 이후 모형의 검증을 위한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짐에 따라 1987년 모형의 정련화와 재구성을 통하여 다시 1996년에 수정된 건강증진모형을 제시하였다. Pender의 수정모형은초기모델에 비해 관련 요소들이 제외되거나 추가되어 기대-가치이론과 인지지각이론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개인적특성과 경험, 행위관련 인지와 감정, 행위결과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다. 개인적특성과 경험에는 과거 건강관련 행위 및 개인적 요인이 포함되는데 이러한요인들이 건강증진행위 뿐만 아니라 행위와 관련된 인지와 정서에도 직간접적인영향을 미친다. 개인적 요인은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문화적으로 범주화되어 있으며, 개인의 생물학적 요인에는 나이, 성, 체질량지수, 폐경상태, 운동능력, 힘, 민첩성, 균형과 같은 변수가 포함되고, 개인의 심리적 요인에는 자아존중감, 자기동기화, 개인의 능력,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의 정의와 같은 변수가포함된다. 개인의 사회문화적 요인에는 인종, 민족성, 문화이입, 교육, 사회경제적 생태 등의 변수가 포함된다.
행위와 관련된 인지와 정서에 대한 변수는 건강증진모형에서 중요한 동기적 의미가 있고, 이러한 변수들은 간호활동에 의해 수정될 수 있기 때문에 중재의 핵심을 이룬다. 이 범주에는 행위에 대해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행동과 관련된 감정, 인간 상호간의 영향, 상황적 요인이 포함된다. 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은 직간접적으로 건강증진행위에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행동과 관련된 감정에의해영향을 받고 지각된 장애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은 낮아진다. 인간상호간의 영향은 규범, 사회적 지지 등으로 구성되고, 사회적 압력이나 행동계획 수립을 통해 건강증진행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행위의 결과에는 행동계획 수립, 즉각적인 갈등요구와 선호성, 건강증진행위가포함된다. 행동계획 수립은 주어진 시간과 장소 내에서 특정한 행위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관여와 행위를 도출하고 실행하고 강화시키기 위한 전략과정으로 건강증진 행위를 계획하기 이전에 있을 수 있는 행동과정으로 건강증진행위의 수행가능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1996년 수정된 모형에서 개정된 내용은 건강행위의 선행요인인 인지지각요인 대신에 행위관련 인지와 감정으로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행위관련 감정 등이 포함된 것이며 인간상호간의 영향에는 규범, 지지, 모델이, 상황적 요인에 환경적 분위기와 비용, 환경의 유용성, 심미적 특성을 포함하는 개념이 추가된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요인은 건강행위의 직접적인 요인이고 행위의도를 통해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요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7. 참고자료
강정채 (1989). 고혈압. 광주: 원경문화사.
허남욱(2001). 고혈압 환자에서 건강생활습관과 혈압 조절 여부. 석사학위논문
질병관리본부 - 질병정보, http://cdc.go.kr/CDC/main.jsp
김한나(2012). 남녀 노인의 고혈압 발생 빈도와 위험요인. 석사학위논문
이평숙 외1(2000).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스트레스 증상. 한국간호과학회정신간호학회, 2000 11 292-302.
안승희(2010). 고혈압 성인 대상 4주 영양교육에 의한 혈액성상 및 식사개선. 석사학위논문
곽화순 (2015). 고혈압전기대상자를위한건강증진프로그램개발 및 효과분석. 계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구.
강보름(2018). 고혈압 환자에서 당뇨병 유무에 따른 혈관 경직도, 지질과산화물 생성 및 항산화체계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정은(2022). 2005년,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중년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식생활 평가. 석사학위논문
김가영(2015). 고혈압 유병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음주 패턴(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김종엽(2019).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약물복용 행태와 관련요인. 석사학위논문
김종호(2018). 고혈압·당뇨병환자의 운동상담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적용.박사학위논문
추천자료
방송중간 공통교양 생활과건강 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
생활과건강 2025년 1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
2025년 1학기 생활과건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 등)
생활과건강 2025년 1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1)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 고혈압과 이...
방통대중간 생활과건강 고혈압은 대표적인 성인 만성질환의 하나로서, 다른 심험관질환의 주...
[2025년 1학기 생활과건강 중간과제물- 1)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
(생활과건강) 1. 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눌 수 있다. 각...
[생활과건강] 2025년 중간과제물, 1. 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
[생활과건강] 2025년 1학기 중간과제물, 1. 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