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교재 제I부 제1장 7쪽~10쪽에서 설명한 ‘2.글쓰기의 과정’을 요약하시오.(10점)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1) ‘-ㅁ으로써’와 ‘-므로써’
(2) ’-데‘와 ’-대‘
(3) ’-느라고‘와 ’-노라고‘
(4)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5) ’어떻게‘와 ’어떡해‘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참고문헌
1. 교재 제I부 제1장 7쪽~10쪽에서 설명한 ‘2.글쓰기의 과정’을 요약하시오.(10점)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1) ‘-ㅁ으로써’와 ‘-므로써’
(2) ’-데‘와 ’-대‘
(3) ’-느라고‘와 ’-노라고‘
(4)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5) ’어떻게‘와 ’어떡해‘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황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와중에\'가 \'도중에\'나 \'~하는 중에\'로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문으로는 ’사건의 와중에 여러 사람이 피해를 당하고 그로 인해 많은 논란이 생겼다. ‘가 있다.
(8) ’척하다‘와 ’체하다‘ : 두 표현은 모두 행동이나 상태를 거짓으로 꾸미는 것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잘난 척한다.\'나 \'체한다.\'는 아는 것처럼 행동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화장실에 가는 척한다\'는 실제로 가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며, 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짓는 것은 \'아는 척하다\'가 아니라 \'알은척하다\'나 \'알은체하다\'가 올바른 표현이다.
(9) ‘기리다’와 ‘위로하다’ : \'기리다\'는 주로 업적이나 정신을 칭찬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넋\'은 주로 \'위로하다\'나 \'달래다\'와 함께 쓴다. 예문으로는 ‘스승의 은덕을 기리기 위해 학생들은 특별한 행사를 열었다.’와 ‘고인의 넋을 달래기 위해 제사를 지냈다.’ 등이 있다.
(10) ’보호하다‘와 ’보장하다‘ : \'보호하다\'는 위험이나 곤란으로부터 지키고 돌보는 의미로 지키는 개념이며, \'보장하다\'는 어떤 일이 문제 없이 이루어지도록 조건을 마련하고 보증하는 개념이다. 표준국어대사전
예문으로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강력한 비밀번호를 설정했다.‘와 ’오래된 유물을 잘 보장하여 박물관에 보존할 계획이다.‘ 등이 있다.
참고문헌
- 국립국어원. (2018).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
- 임동훈. ‘‘-데’와 ‘-대’‘. 국립국어연구원
- 충청북도교육문화원 한글사랑관. 우리말배움터_잘못쓰기 쉬운 우리말.
- 표준국어대사전
(8) ’척하다‘와 ’체하다‘ : 두 표현은 모두 행동이나 상태를 거짓으로 꾸미는 것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잘난 척한다.\'나 \'체한다.\'는 아는 것처럼 행동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화장실에 가는 척한다\'는 실제로 가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며, 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짓는 것은 \'아는 척하다\'가 아니라 \'알은척하다\'나 \'알은체하다\'가 올바른 표현이다.
(9) ‘기리다’와 ‘위로하다’ : \'기리다\'는 주로 업적이나 정신을 칭찬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넋\'은 주로 \'위로하다\'나 \'달래다\'와 함께 쓴다. 예문으로는 ‘스승의 은덕을 기리기 위해 학생들은 특별한 행사를 열었다.’와 ‘고인의 넋을 달래기 위해 제사를 지냈다.’ 등이 있다.
(10) ’보호하다‘와 ’보장하다‘ : \'보호하다\'는 위험이나 곤란으로부터 지키고 돌보는 의미로 지키는 개념이며, \'보장하다\'는 어떤 일이 문제 없이 이루어지도록 조건을 마련하고 보증하는 개념이다. 표준국어대사전
예문으로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강력한 비밀번호를 설정했다.‘와 ’오래된 유물을 잘 보장하여 박물관에 보존할 계획이다.‘ 등이 있다.
참고문헌
- 국립국어원. (2018).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
- 임동훈. ‘‘-데’와 ‘-대’‘. 국립국어연구원
- 충청북도교육문화원 한글사랑관. 우리말배움터_잘못쓰기 쉬운 우리말.
- 표준국어대사전
추천자료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
[2023 글쓰기]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
[글쓰기 2023년] 1. 좋은 글의 요건을 요약,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 2. 다음 제시...
글쓰기-2023년 교재 제I부 제1장 14쪽 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
[글쓰기] 2024년 중간과제물, 1. 교재 제1부 제1장에서 좋은 글의 요건을 요약하고, 좋은 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