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4. 간호 사정
5. 간호진단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4. 간호 사정
5. 간호진단
본문내용
가 아파. 약이 안 들어가나 주사약 좀 줘’-2019.pm 11:30
NRS 점수 7점-2019.
수술 후 침상으로 자리를 옮기며 얼굴을 찌푸리는 모습 관찰함-2019
간호목표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단기목표
수술 후 3일 이내에 NRS 점수가 4점으로 경감될 것이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① 수술 후 V/S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2019.
10:50
(수술 직후)
120/80mmHg 88회/min 22회/min 37°C
15:00
143/82mmHg 64회/min 18회/min 36.9°C
18:00
138/58mmHg 59회/min 18회/min 36.7°C
22:00
110/56mmHg 65회/min 18회/min 36.3°C
정기적인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② 통증 완화를 위한 약물적인 요법을 시행한다.
- 2019. OP 후 PCA를 통한 진통제 투여와 부작용(오심, 두통, 어지러움, 저혈압)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 PCA가 주입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통증을 호소하여 PCA 버튼을 눌러줌
- 2019. am 11:30 PCA 적용 후 오심증상을 보여 PCA를 잠그고 처방에 따른 Tridol 100mg을 정맥주사함 (RN 수행)
->2019. pm 13:00 오심증상이 완화되어 PCA 다시 적용함 (RN 수행)
진통제는 통증의 감소 역할을 한다.
③ 통증 완화를 위한 비약물적인 요법을 시행한다.
- 2019. pm 13:00 대상자의 병실의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 조성을 위해 문을 닫아줌
- 2019.pm 22:00 병실의 조명 밝기를 낮춰줌 (RN)
- 2019. pm 15:00 대상자의 관심을 돌릴 수 있는 손주나 아들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함
전환요법은 대상자의 관심을 통증으로부터 돌리게 하며, 이완요법은 근 긴장도를 감소시켜 통증을 감소시킨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퇴원 시(2019.)까지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2019. pm 16:00 ‘아픈 건 이제 괜찮아’라고 말함. (달성)
단기목표- 수술 후 3일 이내에 NRS 점수가 4점으로 경감될 것이다.
-2019. 15:00에 NRS 점수가 3점으로 감소됨. (달성)
#2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옷이랑 침대에 피가 묻었어’-2019. pm
‘가려워서 자꾸 등에 손이 가’-2019.
wound area에 이상배액, 열감이 관찰됨-2019.
수술 부위의 분비물이 환의에 묻은 모습이 관찰됨-2019.
등 주위로 손을 자주 뻗는 모습이 관찰됨-2019.
간호목표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감염 증상(열감, 발적, 부종 등)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2019.까지 가려움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①V/S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2019
00:00
100/65mmHg 68회/min 19회/min 36.5°C
04:00
145/75mmHg 65회/min 18회/min 36.6°C
08:00
132/73mmHg 72회/min 16회/min 36.9°C
12:00
120/72mmHg 65회/min 18회/min 36.6°C
16:00
126/70 mmHg 76회/min 18회/min 36.6°C
20:00
정기적인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② 배액부위 감염 예방활동을 한다.
- 2019.수술부위의 drain 양상을 확인하였다.
- 2019. 지시에 따라 무균법을 적용하며 드레싱을 교체하였다. (Dr.)
- 2019. 드레싱 후 보호자를 도와 깨끗한 환의로 갈아입도록 도왔다.
- pacetin을 의사 처방에 따라 daily로 정맥주사 하였다. (RN 수행)
습도, 주변환경의 오염은 다른 감염의 발생을 촉진시킨다.
③ 염증완화를 위한 약물요법을 시행한다.
-처방 하에 Tridol 100mg을 정맥주사 하였다. (2019.
항생제는 감염증에 사용한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 퇴원 시까지 감염 증상(열감, 발적, 부종 등)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2019 am 11:00 열감과 이상배액 증상이 관찰되지 않아 drain을 제거함. (달성)
단기목표 - 2019.까지 가려움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2019. pm 20:00 가렵지 않다고 말함. (달성)
#3
수술로 인한 전신마취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아이고 어지럽고 가슴이 답답해’-2019. am 11:30
호흡수와 맥박이 증가하였다.-2019 am 11:00
간호목표
장기목표
수술 후 24시간 이내로 편안한 호흡 양상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수술 후 2시간 내로 정상적인 호흡수를 유지한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① 수술 후 V/S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2019
10:50
(수술 직후)
120/80mmHg 88회/min 22회/min 37°C
15:00
143/82mmHg 64회/min 18회/min 36.9°C
18:00
138/58mmHg 59회/min 18회/min 36.7°C
22:00
110/56mmHg 65회/min 18회/min 36.3°C
정기적인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② 수술 후 SP02를 측정한다.
2019.
am 11:30
97.8%
산소 공급을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③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시범을 보인다.
- 2019. am 11:30 ‘코를 통해 깊게 들이쉬고 입으로 천천히 후 하고 뱉으세요. 10~15초간 시행하시고 어지러울 수 있으니 중간중간 쉬었다가 해주세요. ’ 라고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설명하며 시범을 보임.
전환요법은 대상자의 관심을 통증으로부터 돌리게 하며, 이완요법은 근 긴장도를 감소시켜 통증을 감소시킨다.
④ 호흡에 용이한 체위를 취한다.
대상자의 침상을 불편하지는 않은지 물어보며 30도 올렸다.
반좌위를 취할 시 폐를 확장시킬 수 있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수술 후 24시간 이내로 편안한 호흡 양상을 유지한다.
-2019 (달성)
단기목표- 수술 후 3일 이내에 NRS 점수가 4점으로 경감될 것이다.
-2019.에 NRS 점수가 3점으로 감소됨. (달성)
NRS 점수 7점-2019.
수술 후 침상으로 자리를 옮기며 얼굴을 찌푸리는 모습 관찰함-2019
간호목표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단기목표
수술 후 3일 이내에 NRS 점수가 4점으로 경감될 것이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① 수술 후 V/S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2019.
10:50
(수술 직후)
120/80mmHg 88회/min 22회/min 37°C
15:00
143/82mmHg 64회/min 18회/min 36.9°C
18:00
138/58mmHg 59회/min 18회/min 36.7°C
22:00
110/56mmHg 65회/min 18회/min 36.3°C
정기적인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② 통증 완화를 위한 약물적인 요법을 시행한다.
- 2019. OP 후 PCA를 통한 진통제 투여와 부작용(오심, 두통, 어지러움, 저혈압)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 PCA가 주입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통증을 호소하여 PCA 버튼을 눌러줌
- 2019. am 11:30 PCA 적용 후 오심증상을 보여 PCA를 잠그고 처방에 따른 Tridol 100mg을 정맥주사함 (RN 수행)
->2019. pm 13:00 오심증상이 완화되어 PCA 다시 적용함 (RN 수행)
진통제는 통증의 감소 역할을 한다.
③ 통증 완화를 위한 비약물적인 요법을 시행한다.
- 2019. pm 13:00 대상자의 병실의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 조성을 위해 문을 닫아줌
- 2019.pm 22:00 병실의 조명 밝기를 낮춰줌 (RN)
- 2019. pm 15:00 대상자의 관심을 돌릴 수 있는 손주나 아들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함
전환요법은 대상자의 관심을 통증으로부터 돌리게 하며, 이완요법은 근 긴장도를 감소시켜 통증을 감소시킨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퇴원 시(2019.)까지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2019. pm 16:00 ‘아픈 건 이제 괜찮아’라고 말함. (달성)
단기목표- 수술 후 3일 이내에 NRS 점수가 4점으로 경감될 것이다.
-2019. 15:00에 NRS 점수가 3점으로 감소됨. (달성)
#2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옷이랑 침대에 피가 묻었어’-2019. pm
‘가려워서 자꾸 등에 손이 가’-2019.
wound area에 이상배액, 열감이 관찰됨-2019.
수술 부위의 분비물이 환의에 묻은 모습이 관찰됨-2019.
등 주위로 손을 자주 뻗는 모습이 관찰됨-2019.
간호목표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감염 증상(열감, 발적, 부종 등)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2019.까지 가려움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①V/S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2019
00:00
100/65mmHg 68회/min 19회/min 36.5°C
04:00
145/75mmHg 65회/min 18회/min 36.6°C
08:00
132/73mmHg 72회/min 16회/min 36.9°C
12:00
120/72mmHg 65회/min 18회/min 36.6°C
16:00
126/70 mmHg 76회/min 18회/min 36.6°C
20:00
정기적인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② 배액부위 감염 예방활동을 한다.
- 2019.수술부위의 drain 양상을 확인하였다.
- 2019. 지시에 따라 무균법을 적용하며 드레싱을 교체하였다. (Dr.)
- 2019. 드레싱 후 보호자를 도와 깨끗한 환의로 갈아입도록 도왔다.
- pacetin을 의사 처방에 따라 daily로 정맥주사 하였다. (RN 수행)
습도, 주변환경의 오염은 다른 감염의 발생을 촉진시킨다.
③ 염증완화를 위한 약물요법을 시행한다.
-처방 하에 Tridol 100mg을 정맥주사 하였다. (2019.
항생제는 감염증에 사용한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 퇴원 시까지 감염 증상(열감, 발적, 부종 등)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2019 am 11:00 열감과 이상배액 증상이 관찰되지 않아 drain을 제거함. (달성)
단기목표 - 2019.까지 가려움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2019. pm 20:00 가렵지 않다고 말함. (달성)
#3
수술로 인한 전신마취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아이고 어지럽고 가슴이 답답해’-2019. am 11:30
호흡수와 맥박이 증가하였다.-2019 am 11:00
간호목표
장기목표
수술 후 24시간 이내로 편안한 호흡 양상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수술 후 2시간 내로 정상적인 호흡수를 유지한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① 수술 후 V/S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2019
10:50
(수술 직후)
120/80mmHg 88회/min 22회/min 37°C
15:00
143/82mmHg 64회/min 18회/min 36.9°C
18:00
138/58mmHg 59회/min 18회/min 36.7°C
22:00
110/56mmHg 65회/min 18회/min 36.3°C
정기적인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② 수술 후 SP02를 측정한다.
2019.
am 11:30
97.8%
산소 공급을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③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시범을 보인다.
- 2019. am 11:30 ‘코를 통해 깊게 들이쉬고 입으로 천천히 후 하고 뱉으세요. 10~15초간 시행하시고 어지러울 수 있으니 중간중간 쉬었다가 해주세요. ’ 라고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설명하며 시범을 보임.
전환요법은 대상자의 관심을 통증으로부터 돌리게 하며, 이완요법은 근 긴장도를 감소시켜 통증을 감소시킨다.
④ 호흡에 용이한 체위를 취한다.
대상자의 침상을 불편하지는 않은지 물어보며 30도 올렸다.
반좌위를 취할 시 폐를 확장시킬 수 있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수술 후 24시간 이내로 편안한 호흡 양상을 유지한다.
-2019 (달성)
단기목표- 수술 후 3일 이내에 NRS 점수가 4점으로 경감될 것이다.
-2019.에 NRS 점수가 3점으로 감소됨. (달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