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화의 특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신화의 일반적 특징

2. 한국신화의 분류

3. 한국신화의 특징

본문내용

속에서 굿과 더불어 춤추어진다. 무당은 몇 가지의 배역(act role)을 혼자 도맡아 연행하는 일인무극(一人舞劇)으로 그의 굿을 치러가는 것이다. 그런 면을 강조한다면 무속신화는 몸짓과 노래로써 이야기되는 신화라 하여도 좋을 것이다. 무속신화의 이와 같은 속성은 사실상 상고대, 예컨대 신라 · 가락 등의 왕조신화에서도 발견되는 것이어서 한국신화의 보편적 속성의 하나로 여겨진다. 그 가운데에서도 가락의 수로신화는 집단으로 노래와 춤을 곁들여 연행된 현장을 구체적으로 문헌을 통하여 보여주고 있다.
〈가락국기〉의 신화가 신이 일러준 공수를 기반으로 삼고 있음을 생각한다면, 공수와 풀이의 이중성이 떠오르게 된다. 신에 의하여 인간에게 주어지는 신의 풀이가 공수일 때 공수와 풀이는 한짝이 되어 존재하는 것이다. 공수와 굿거리로서의 풀이와 이야기로서의 풀이가 서로 맺어져 있는 맥락 속에 신과 제의와 신화의 상관성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그 맥락의 구체적인 모습이 앞서 말한 대로 한국 샤머니즘의 현장에서 드러난다. 이 맥락은 상고대의 〈가락국기〉 서두의 영신의(迎神儀)와도 접맥되어 있다. 천신의 공수에 따라 신맞이를 하고 그 굿의 줄거리가 신화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가락국기〉의 영신부분은 한국 상고대신화가 간직한 가장 오래된 한국의 신화적 원형이다. 신 자신이 직접 불러준 것이 공수라면, 그 공수를 인간이 다시 서술한 것이 풀이이다. 공수와 풀이는 서술자의 처지가 달라지는 동일한 실체의 서로 다른 양면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 공수와 풀이의 양면성에서 한국신화가 지닌 기본성격의 하나가 부각되게 되는 것이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2.20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4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