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언론개혁운동이란 무엇인가?
2. 방송매체 개혁운동
3. 신문개혁 운동
4. 평가와 전망
2. 방송매체 개혁운동
3. 신문개혁 운동
4. 평가와 전망
본문내용
보수언론이라고 인정할 수 없다. 조선일보는 사회발전을 가로막는 수구언론일 뿐이다.
이외에도, 방씨일가의 부끄러운 여러 가지 행적, 조선일보 내 수구적 필진의 수치스러운 행태, 금전을 이용한 사회 전분야와의 야합 등의 문제 등도 우리로 하여금 조선일보에 반대하게 만드는 요소들이다.
우리는 지난 8월 7일 조선일보를 거부하는 1차 지식인 명단을 발표했다. 오늘 『조선일보 반대 시민연대』를 출범시키며 2차 지식인 명단을 함께 발표한다. 많은 분들이 동참의 뜻을 밝혀 왔다. 개중에는 공식적으로 이름 밝히기를 꺼려한 분들도 많이 있다. 공개되는 숫자 뒤에 더 많은 지지자들이 있음을 밝혀두며 조선일보반대 시민연대를 변화를 요청하는 새 시대의 물결 위에 진수시킨다. 오늘 태어나는 조선일보반대시민연대는 지난 98년 결성되었던 조선일보 <허위왜곡보도공동대책위원회>의 연장이며 부활이다. 과거 조선공대위는 조선일보의 오만한 태도에 경종을 울리고 일부분 후퇴한 운동이었다. 그러나 오늘 결성되는 시민연대는 조선일보의 영향력을 그에 걸맞게 축소시켜 통일과 민주화의 대세를 지키는 지킴이가 되고자 한다. 우리는 국민여러분과 함께 조선일보의 허위와 왜곡, 오만과 위선에 맞서 끈질기게 싸워나갈 것임을 단호하게 천명하는 바이다.
------
일단 우리나라 언론시장의 70%를 빅3라 불리우는 조선,중앙,동아 일보(조중동)이 차지하고 있습니다.물론 독자들이 이들 신문을 선택해서 구독하는 것이야 자유지만 알다시피 자전거,비데일보라는 신조어가 생겼을 정도로 이들 신문사들은 막강한 자금력을 동원해서 사람들에게 신문 구독료 1년치에 맞먹는 경품을 무차별로 제공해 독자들을 낚아챔으로서 실질적으로는 자유경쟁,공정거래 원칙에서 어긋나는 행동을 하고 있습니다.(물론 경품에 현혹되서 이들 신문을 구독하는 사람들도 문제지만)이들 신문사가 불공정한 방법으로 신문시장을 잠식함으로서 기타 신문들(한겨레,대한매일,문화,경향,한국 일보 외 기타 지방신문)들은 구독자 감소로 인한 경영난을 겪게 되는 건 당연한 일이죠.그러나,조중동 이들 신문은 보수,냉전적인 사고 방식의 신문으로서 이들 신문이 신문시장을 잠식해 버린다면 이들 신문사의 기사나 논조의 기사를 읽는 독자들은 이것에 세뇌되어 버리고 상대적으로 개혁,진보 경향의 신문사(한,경,대)들은 설자리를 잃음으로서 우리나라 여론 형성에 다양한 목소리가 제대로 날 수가 없다는 것이죠.그리고,조중동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만 그 중심에는 조선일보가 있습니다.조선일보는 자기네들은 역사와 전통 그리고 국내 최고의 판매부수를 자랑한다고 하지만 그 뿌리는 일제시대 사주인 방씨일가의 친일 행각에서 시작되었고 박정희 시대에 이어 전두환 정권때 온갖 독재 정권에 아첨을 하면서 독재 정권 차원의 특혜를 받아 판매 부수1위 자리에 올라서게 됩니다. 그리고,97,02 대선에서 노골적인 이회창 편들기 및 왜곡,편파보도와 냉전사고 방식의 논조로 여론을 자극하고 개혁적이다 싶은 인사들에게는 색깔론 시비를 일으켜 수없이 낙마 시켰구요. 할말은 다한다고 주장하지만 지금까지 자신들의 친일행각 및 독재정권 찬양에 대해서 단 한마디
의 사과도 없었습니다. 진정한 언론개혁은 자신들이 스스로 하면 금상첨화겠지만 현재로서 우리나라 언론은 그럴 마음이 전혀 없습니다. 시민단체 및 일부 개혁 성향 지식인들의 운동도 한계가 있구요. 정부에서 합법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정기적인 세무조사와 공정거래 위원회를 통한 단속입니다. 신문고시도 있지만 이건 무용지물입니다. 하지만,보다 실질적인 언론개혁은 바로 우리국민들이 이들 신문을 보지 않음으로서 신문시장에서 자연스럽게 도태시켜 버리는 겁니다. 그리 쉬운 일은 아닐테지만요...
이외에도, 방씨일가의 부끄러운 여러 가지 행적, 조선일보 내 수구적 필진의 수치스러운 행태, 금전을 이용한 사회 전분야와의 야합 등의 문제 등도 우리로 하여금 조선일보에 반대하게 만드는 요소들이다.
우리는 지난 8월 7일 조선일보를 거부하는 1차 지식인 명단을 발표했다. 오늘 『조선일보 반대 시민연대』를 출범시키며 2차 지식인 명단을 함께 발표한다. 많은 분들이 동참의 뜻을 밝혀 왔다. 개중에는 공식적으로 이름 밝히기를 꺼려한 분들도 많이 있다. 공개되는 숫자 뒤에 더 많은 지지자들이 있음을 밝혀두며 조선일보반대 시민연대를 변화를 요청하는 새 시대의 물결 위에 진수시킨다. 오늘 태어나는 조선일보반대시민연대는 지난 98년 결성되었던 조선일보 <허위왜곡보도공동대책위원회>의 연장이며 부활이다. 과거 조선공대위는 조선일보의 오만한 태도에 경종을 울리고 일부분 후퇴한 운동이었다. 그러나 오늘 결성되는 시민연대는 조선일보의 영향력을 그에 걸맞게 축소시켜 통일과 민주화의 대세를 지키는 지킴이가 되고자 한다. 우리는 국민여러분과 함께 조선일보의 허위와 왜곡, 오만과 위선에 맞서 끈질기게 싸워나갈 것임을 단호하게 천명하는 바이다.
------
일단 우리나라 언론시장의 70%를 빅3라 불리우는 조선,중앙,동아 일보(조중동)이 차지하고 있습니다.물론 독자들이 이들 신문을 선택해서 구독하는 것이야 자유지만 알다시피 자전거,비데일보라는 신조어가 생겼을 정도로 이들 신문사들은 막강한 자금력을 동원해서 사람들에게 신문 구독료 1년치에 맞먹는 경품을 무차별로 제공해 독자들을 낚아챔으로서 실질적으로는 자유경쟁,공정거래 원칙에서 어긋나는 행동을 하고 있습니다.(물론 경품에 현혹되서 이들 신문을 구독하는 사람들도 문제지만)이들 신문사가 불공정한 방법으로 신문시장을 잠식함으로서 기타 신문들(한겨레,대한매일,문화,경향,한국 일보 외 기타 지방신문)들은 구독자 감소로 인한 경영난을 겪게 되는 건 당연한 일이죠.그러나,조중동 이들 신문은 보수,냉전적인 사고 방식의 신문으로서 이들 신문이 신문시장을 잠식해 버린다면 이들 신문사의 기사나 논조의 기사를 읽는 독자들은 이것에 세뇌되어 버리고 상대적으로 개혁,진보 경향의 신문사(한,경,대)들은 설자리를 잃음으로서 우리나라 여론 형성에 다양한 목소리가 제대로 날 수가 없다는 것이죠.그리고,조중동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만 그 중심에는 조선일보가 있습니다.조선일보는 자기네들은 역사와 전통 그리고 국내 최고의 판매부수를 자랑한다고 하지만 그 뿌리는 일제시대 사주인 방씨일가의 친일 행각에서 시작되었고 박정희 시대에 이어 전두환 정권때 온갖 독재 정권에 아첨을 하면서 독재 정권 차원의 특혜를 받아 판매 부수1위 자리에 올라서게 됩니다. 그리고,97,02 대선에서 노골적인 이회창 편들기 및 왜곡,편파보도와 냉전사고 방식의 논조로 여론을 자극하고 개혁적이다 싶은 인사들에게는 색깔론 시비를 일으켜 수없이 낙마 시켰구요. 할말은 다한다고 주장하지만 지금까지 자신들의 친일행각 및 독재정권 찬양에 대해서 단 한마디
의 사과도 없었습니다. 진정한 언론개혁은 자신들이 스스로 하면 금상첨화겠지만 현재로서 우리나라 언론은 그럴 마음이 전혀 없습니다. 시민단체 및 일부 개혁 성향 지식인들의 운동도 한계가 있구요. 정부에서 합법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정기적인 세무조사와 공정거래 위원회를 통한 단속입니다. 신문고시도 있지만 이건 무용지물입니다. 하지만,보다 실질적인 언론개혁은 바로 우리국민들이 이들 신문을 보지 않음으로서 신문시장에서 자연스럽게 도태시켜 버리는 겁니다. 그리 쉬운 일은 아닐테지만요...
추천자료
사회심리학>안티 문화에 대한 고찰 <안티문화>
온라인 저널리즘 - '안티사이트'에 대한 연구와 접근
[실학]실학사상과 개혁론에 관하여
흥선대원군, 왜 그를 개혁가라 하는가?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행정개혁.
[언론윤리][미국 언론윤리 관련 사례][언론][윤리]언론윤리의 의미, 언론윤리의 필요성과 언...
[언론][인격권][표현의 자유]언론의 자유, 언론과 인격권의 상충, 방송의 자유와 인격권 및 ...
[언론][언론보도][언론소송][언론중재제도]언론의 정의, 언론의 기능, 언론보도의 공공성, 언...
안티에이징의 대두배경과 정책적 시사점 고찰
[언론중재법]언론중재법(언론중재및피해구제등에관한법률, 언론피해구제법)의 필요성, 내용, ...
안티에이징의 대두배경과 정책적 시사점 고찰
[한국방송공사, KBS]한국방송공사(KBS)의 연혁, 방송이념과 편성목표, 한국방송공사(KBS)의 ...
언론인권침해(언론과 인격권)의 의의, 선행연구, 언론인권침해(언론과 인격권) 실태, 언론인...
한국사韓國史개관 1894.1895 갑오·을미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