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장 수면과 휴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휴식과 수면의 기전

2.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수면-각성 주기에 따른 각 단계별 특성

4. 연령에 따른 수면-각성 주기의 특성

5.수면장애의 종류와 증상/요인

6. 자신의 수면특성 사정

7. 간호과정

본문내용

육이완 돕기 위해 적절한 체위, 압박부위 보호위해 보조 기구 제공
밤에 배뇨위해 일어나는 것 방지 위해 이뇨제 같은 약물투여 시간 잘 계획함
통증 있는 대상자- 수면 30분 전 진통제 투여 / 통증 부위에 온냉요법 적용 / 지지 드레싱 / 부목 대기
호흡 문제 대상자- 취침전 기관지 확장제 투여 / 숨쉬기 편한 자세(반좌위)취하기
대상자 말에 귀 기울이고 문제 제기시 처리해 준다
보온
노인은 추위를 잘 느낌 - 순환, 대사, 신체조직 밀도의 변화는 노인들의 열 생산과 보존능력 감소시킴
*나이든 대상자 따뜻하게 하는 중재방법
-더운물 주머니or 따뜻하게 한 목욕담요로 침대 따뜻하게 함
대상자 침대에 들어가기 전 더운물 주머니를 채운다
-보온 위해 100% 면 플란넬 홑이불 사용 or 시트와 침대커버 사이에 보온 담요 넣어줌
-플란넬 나이트 가운, 파자마, 헐렁한 조깅복, 보온 양말, 다리 보온대, 긴 속옷,
수면 모자, 스웨터, 퀼트나 담요 등 사용도록 해줌
이완 증진
수면은 이완이 되어야 일어남
이완술은 매일밤 일상적 습관의 일부가 되도록 격려
몇분 간 느리고 깊은 호흡 느리고 리드미컬한 근육의 수축과 이완 : 긴장 완화, 평온함 유도
심상요법, 명상, 요가 교육
5)약물을 이용한 수면증진
수면제-진정제와 수면제 : 수면 유도
-항불안제 or 정온제(벤조디아제핀) : 불안과 긴장 감소 필요시 투여(prn)
prn 수면제 처방시 간호사는 언제 약물 투여할 것인지를 대상자와 함께 결정.
가능한 비 약물적 중재가 우선돼어야 함
*약물의 작용, 효과, 적응증, 위험 <표 28-6 (p.819)> "보편적인 진정제와 수면제" 참고
*약물 사용시 고려사항*
진정제와 수면제
-CNS억제, 비자연적인 수면(REM & NREM)수면의 qsu화, 낮 동안의 졸음, 아침에 숙취효과
항불안제
-자극에 대한 반응을 억제하는 CNS의 뉴런의 작용 촉진함으로써 각정의 수준 낮춤
-선천성 기형의 위험과 모유로 약물이 분비 임신부와 수유부에게 금기
수면제
-작용발현과 지속기간에 따라 다양, 화학적 활성상태시 각성 기능에 장애 유(有)
-어떤 약물은 낮 동안 졸리지 않고, 정신운동 기술 장애 사라진 후에도 여러 시간 효과 지속될 수 있음과
약물이 신체내에 있는 동안 운전이나 기계 다루는 것에 대해 주의를 줌
수면제는 REM 수면에 더 영향을 끼침
-약물 투여 중지 후 하루 or 이틀 밤 동안 꿈을 많이 꾸는 것이 보통 (REM 반동)
초기 주여량은 소량으로 시작, 대상자의 반응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
-노인들은 대사변화 때문에 부작용 일으키기 쉬우므로 정신적 명료함과 조정의 변화를 세밀하게 감시
-대상자에게 최소한의 유효량을 필요 시 단 며칠 밤 혹은 간헐적으로 사용하도록 지도함
수면제의 규칙적, 오래(예:4주) 사용시 내성 생겨 다시 불면증 생김
-대상자가 약 용량 늘이거나 알콜 이용하도록 하므로, 약물 의존성이나 알콜 남용의 양상이
나타나는 것에 대해 주의
진정-수면제(barbiturate)의 갑작스런 투여중단
-안절부절 못함, 진전, 허약 함, 불면증, 심박동수 증가, 발작, 경련, 심지어 죽음 같은 금단 증상 가능
-장기 복용자는 투여량을 서서히 줄임 (25~30% / 1주일)
5. 평가
간호사는 목표와 바라는 결과가 달성되었는지를 판단
-수집된 자료와 계획단계에서 작성한 바라는 결과를 지침으로
*평가를 위한 자료수집 방법*
대상자에게 0-10까지의 척도에서 어느정도 불편한지를 ask (10-the worst)
수면 준비 이후 30분간 대상자가 자는지 관찰, 그 후 매 시간 관찰
수면 기간과 REM & NREM 수면의 징후 관찰
일관된 수면-각성주기를 지키는지 확인
이완술 사용, 잠자기 전 유제품 섭취 등 수면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한 중재방법이 도움 되었는지 ask
아침에 깨었을 때 푹 쉬었다는 느낌 드는지 대상자를 사정함
*바라는 결과 미획득시 질문을 통한 원인찾기*
원인 요인들이 잘 확인되었는가?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아 약물치료가 달라졌는가?
대상자가 규칙적 수면-각성 양상 설정에 대한 지시를 따랐는가?
-대상자가 수면-기상 시간표 준수토록 하고, 잠을 자려고 시도한 시간,
깨어나는 획수와 기간 & 아침 기상시간 기록 하도록 함
대상자는 카페인 섭취를 피했는가?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이 되도록 모든 가능한 방법이 동원됐는가?
취침 시의 일상적 습관을 도와주었는가? 아침마다 저녁과 취침 시 행하는 일상습관을 확인
안위와 이완간호가 효과적이었나?
수면증진을 위한 약물의 이용은 적절하였는가?
수면제 or 항불안제 처방시- 보통 취침시간 30~40분 전에 투여
진정-수면제- 단기간에만 사용 (1주 이하)
수면제 복용동안 피할 것- 알콜( 약물의 진정효과 증가, 뇌기능 억압 위험)
흡연과 카페인 섭취 (약물의 효능 방해)
수면제는 통증완화제 아니므로 통증있는 경우는 진통제가 더 적당함
*요약*
수면 -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의식상태의 변화 / 환경에 대한 인식과 반응 감소된 상태
수면주기 - 뇌간의 특정부분에 의해 조절 / 개인의 24시간 리듬에 의해 영향 받음
휴식과 수면 - 건강 회복, 보호, 에너지 보존함
정상적인 밤 수면 동안(성인)- 4~6번의 수면 주기 가짐
각 주기는 NREM(조용한 수면) & REM(빠른 안구운동)수면으로 이루어짐
-NREM &REM 수면의 비율은 나이에 따라 다양
NREM(서파)수면의 4단계 - 1단계(매우 얕은 수면) 4단계(깊은 수면)
수면주기의 대부분을 구성
REM수면- 90분 마다 반복, NREM 수면보다 휴식이 덜 되고, 꿈과 관련
수면에 영향을 주는 인자- 나이, 질병, 환경, 생활양식, 정서적 stress,
알콜, 흥분제, 식이, 흡연, 동기화, 약물
일반적 수면장애- 불면증, 과면증, 수면 발작, 수면성 무호흡,
몽유병증, 잠꼬대, 야뇨증, 반응소실증(예: 이갈기)
대상자의 수면에 대한 사정 - 수면력 조사, 수면일기 검토, 신체검진
대상자 수면을 위한 간호사의 책임
휴식과 수면 증가법 교육 취침시의 일상적 습관 보조
휴식 환경 조성 안위와 이완증진 처방된 수면제 사용
수면 유도, 유지하는데 비 약물적 중재가 항상 우선적인 중재임
  • 가격1,2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3.12.22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8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