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를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호뢰관 전투

2. 관도 전투

3. 적벽대전

본문내용

바빠 밤에 쉬지도 못하고 식사도 적게 든다는 말을 듣고 제갈량의 죽음이 가깝다는 것을 확신했다고 한다. 대치한 지 100일이 지나 8월, 제갈량이 진영에서 죽자 싸움은 끝난다. 이때 사마의는 퇴각하는 촉군을 추격하려고 하지만, 강유가 군을 되돌려 사마의와 대항하려고 했기 때문에 사마의는 그대로 멈춰선다. 이를 두고, '죽은 공명이 살아있는 중달을 쫓아냈다'고 하는 고사가 생겼다고 한다.
다섯 번에 걸친 제갈량의 북벌은 큰 전과를 올리지 못하는데, 사실 국력이나 병력 면에서 상당히 무모한 원정이었다. 그리고 무언보다도 식량 보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장기전을 견뎌내지 못한 것이 가장 큰 패인이었다. 그러나 '출사표'를 올리고 한 왕조 부흥을 위해 사력을 다해 싸우는 제갈량의 모습은 감동적이다.』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하다. 방대한 스케일하며, 각 장면마다 나에게 주는 감동, 이런 것들이 있기에 난 아직도 삼국지를 손에서 놓지 않는다. 훌륭한 인물들의 등장과 죽음, 매력적인 전투들 다시금 나를 삼국지에 빠져들게 만든다. 비록 촉한정통론에 입각한 관점 때문에 유비의 촉나라 중심으로 삼국시대를 쳐다보게 되지만, 조금만 다르게 보면 조조, 손권 중심으로 봐도 너무 재미있다.
어떻게 보면 이런 책을 통하여 중국을 접할 수 있다는 게 참으로 흥미가 있다. 현 중국의 그 웅장함 자체가 책 속에 내포되어 있어, 중국을 다시 한 번 보게 하는 것 같다. 삼국지외에도 중국소설을 수없이 많이 있다. 중국史에 관심이 많은 나로서는 또 다른 책을 손에 쥠으로서 중국의 숨어 있는 힘을 느껴보고자 한다.
참고자료
이문열의 삼국지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2.2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1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