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Client/Server 개념
2. Apache Web Server
3. Linux
4. X-Window System에 관하여(http://kldp.linux-kr.org/참고)
2. Apache Web Server
3. Linux
4. X-Window System에 관하여(http://kldp.linux-kr.org/참고)
본문내용
r 안에 있는 menu파일이 그것이다.
[XDM(X Display Manager)]
Login하고 나서 자동적으로 X를 실행시키려면 사용하는 쉘에 따라, .profile이나 .login같은 파일에 startx 명령어를 적어두면 되지만, 아예 처음부터 X 터미널처럼, 부팅하자 마자 X로 로그인 하려면 xdm을 이용하면 된다.
/etc/inittab 파일에서
# Default runlevel. The runlevels used by RHS are:
# 0 - hal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 1 - Single user mode
# 2 - Multiuser, without NFS (The same as 3, if you do not have networking)
# 3 - Full multiuser mode
# 4 - unused
# 5 - X11
# 6 - reboo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id:3:initdefault:
라는 줄이 있는데, 보시다시피 5번 레벨이 X 전용모드이다. 따라서 이것을 id:5:initdefault:로 바꿔주고 리부팅시키면, X가 실행되면서 로그인 화면이 나온다.
xdm을 사용할 때에는 사용하려는 윈도우 매니저 등의 설정을 /usr/lib/X11/xdm 디렉토리의 Xsession 파일이나 홈디렉토리의 .Xsession 파일에 적으면 된다. 단, 홈 디렉토리의 .Xsession파일을 사용할 때에는 실행 허가권이 주어져있는지 보아야 한다.
실행 허가권이 없으면 동작하지 않는다.
4.5. 개발 환경(GUI library)
예전에는 GUI환경이 중요시되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윈도우가 생기고, 더욱 편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GUI를 위한 라이브러리가 필요해졌다. 모티프가 나오면서 유닉스 계에서는 모티프를 많이 사용하였고, 그러한 추세는 현재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리눅스에서는 모티프가 상용이어서 널리 쓰이지 못하고 Xlib, Xt, Xaw, XView등을 사용하거나 모티프 클론인 lesstif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모티프 스타일도 세련되지 못한 인터페이스로 새로운 라이브러리 개발이 요구되며 이미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라이브러리와 윈도우 매니저, 이를 뒷받침하는 어플리케이션 집합으로 구성된 데스크탑 프로젝트의 개발이 활발하다. Qt-KDE, GTK-GNOME 등이 그 예이다.
[XDM(X Display Manager)]
Login하고 나서 자동적으로 X를 실행시키려면 사용하는 쉘에 따라, .profile이나 .login같은 파일에 startx 명령어를 적어두면 되지만, 아예 처음부터 X 터미널처럼, 부팅하자 마자 X로 로그인 하려면 xdm을 이용하면 된다.
/etc/inittab 파일에서
# Default runlevel. The runlevels used by RHS are:
# 0 - hal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 1 - Single user mode
# 2 - Multiuser, without NFS (The same as 3, if you do not have networking)
# 3 - Full multiuser mode
# 4 - unused
# 5 - X11
# 6 - reboo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id:3:initdefault:
라는 줄이 있는데, 보시다시피 5번 레벨이 X 전용모드이다. 따라서 이것을 id:5:initdefault:로 바꿔주고 리부팅시키면, X가 실행되면서 로그인 화면이 나온다.
xdm을 사용할 때에는 사용하려는 윈도우 매니저 등의 설정을 /usr/lib/X11/xdm 디렉토리의 Xsession 파일이나 홈디렉토리의 .Xsession 파일에 적으면 된다. 단, 홈 디렉토리의 .Xsession파일을 사용할 때에는 실행 허가권이 주어져있는지 보아야 한다.
실행 허가권이 없으면 동작하지 않는다.
4.5. 개발 환경(GUI library)
예전에는 GUI환경이 중요시되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윈도우가 생기고, 더욱 편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GUI를 위한 라이브러리가 필요해졌다. 모티프가 나오면서 유닉스 계에서는 모티프를 많이 사용하였고, 그러한 추세는 현재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리눅스에서는 모티프가 상용이어서 널리 쓰이지 못하고 Xlib, Xt, Xaw, XView등을 사용하거나 모티프 클론인 lesstif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모티프 스타일도 세련되지 못한 인터페이스로 새로운 라이브러리 개발이 요구되며 이미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라이브러리와 윈도우 매니저, 이를 뒷받침하는 어플리케이션 집합으로 구성된 데스크탑 프로젝트의 개발이 활발하다. Qt-KDE, GTK-GNOME 등이 그 예이다.
추천자료
섭외지적재산권법 시론
소유의 종말과 행정
CGI란 무엇인가
OS(Operating System)에 대하여..
캐쉬 사이즈와 Streaming Media data의 Variance에 대한 hit율 측정 및 Service delay 해석
30 C# COM+
[클라이언트/서버시스템]클라인언트/서버시스템의 등장배경과 클라인언트/서버시스템의 특징 ...
[JAVA][자바]JAVA(자바)의 특징과 JAVA(자바)를 이용한 인터넷강의, JAVA(자바)를 이용한 WBI...
CrazyRabbit_유닉스기반 텍스트 게임
[2]에코프로그램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과제1. 멀티 스레드를 이용한 파일 수신 서버 작성
랜(근거리통신망, LAN)의 종류, 랜(근거리통신망, LAN)의 개발, 랜(근거리통신망, LAN)의 구...
정보보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