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칸 비우기 및 줄 바꾸기
(2) 로마 글자 및 아라비아 숫자, 알파벳 쓰기
(3) 문장 부호 쓰기
(4) 제목 쓰기
(2) 로마 글자 및 아라비아 숫자, 알파벳 쓰기
(3) 문장 부호 쓰기
(4) 제목 쓰기
본문내용
) 동일한 형태가 경우에 따라 다르게 쓰이는 예는 다음과 같다.
ㆍ들 : 1) 남자들: 하나의 단어에 결합되어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2) 쌀, 보리, 조, 콩, 들을: 사물을 열거하는 기능의 의존 명사
ㆍ차(次) : 1) 연수차(硏修次) 도미(渡美)했다: '∼하려고'의 뜻을 지닌 접미사
2) 고향에 갔던 차(次)에: '기회를 겸해서'의 뜻을 지닌 의존 명사
ㆍ뿐 : 1) 셋뿐이다: 체언 뒤에 붙어서 한정의 기능을 하는 조사 ('체언 + 뿐 붙여 쓴다)
2) 웃을 뿐이다: '따름'이란 의미의 의존 명사 ('용언 + 뿐' 띄어 쓴다)
ㆍ대로 : 1) 약속대로: 체언 뒤에 붙는 조사
2) 약속한 대로: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 오는 의존 명사
ㆍ만큼 : 1) 너만큼: 체언 뒤에 붙는 조사
2) 애쓴 만큼: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 오는 의존 명사
3) '용언 + 만큼, 만한'은 띄어 쓴다
예) 정화야, 페스티벌이란 노래 부를 만하니?
4) '체언 + 만큼, 만한'은 붙여 쓴다.
예) 너만큼 나도 노래 부를 수 있다.
ㆍ만 : 1)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 체언 뒤에서 한정의 뜻을 부여하는 조사
2) 떠난 지 사흘 만에 돌아왔다: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ㆍ지 : 1) 집이 큰지 작은지 모르겠다: 어미의 일부
2) 그가 떠난 지 열흘이 지났다: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용언의 ㄴ받침 + 지' 띄어 쓴다)
ㆍ(ㄴ)데 : 1) 얼굴은 이쁜데, 마음씨가 나쁘다: '그런데'의 의미를 지닌 어미의 일부
2) 얼굴에 이쁜 데가 없어: '곳, 경우'의 의미를 지닌 의존 명사
3) 다음 세 가지의 경우에는 띄어 쓴다
예 1) 높은 데가 어디냐? ( '곳'이나 '장소'를 나타낼 때)
예 2) 배 아픈 데는 이 약이 좋다. ( '상태, 처지, 경우'를 나타낼 때)
예 3) 노래 부르는 데도 소질이 있다. ( '것, 일'을 나타낼 때)
ㆍ수 : 1) 의존 명사로 '용언(동사, 형용사) + 수'일 경우에는 띄어 쓴다.
예) 너같이 어린 아이가 그런 힘든 일을 할 수 있겠니?
ㆍ것 : '용언(동사, 형용사) + 것'일 경우는 띄어 쓴다.
예) 이 공을 누가 찰 것인가?
ㆍ관형사 '같은'과 조사 '같이' : 1) '같은'은 관형사이므로 띄어 쓰고
예) 앵두 같은 네 입술
2) '같이'는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예) 달덩이같이 예쁘다.
ㆍ'안' 부정사는 띄어 쓴다
예) 그 일을 해서는 안 된다.
원고지 사용법 및 정서법
ㆍ들 : 1) 남자들: 하나의 단어에 결합되어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2) 쌀, 보리, 조, 콩, 들을: 사물을 열거하는 기능의 의존 명사
ㆍ차(次) : 1) 연수차(硏修次) 도미(渡美)했다: '∼하려고'의 뜻을 지닌 접미사
2) 고향에 갔던 차(次)에: '기회를 겸해서'의 뜻을 지닌 의존 명사
ㆍ뿐 : 1) 셋뿐이다: 체언 뒤에 붙어서 한정의 기능을 하는 조사 ('체언 + 뿐 붙여 쓴다)
2) 웃을 뿐이다: '따름'이란 의미의 의존 명사 ('용언 + 뿐' 띄어 쓴다)
ㆍ대로 : 1) 약속대로: 체언 뒤에 붙는 조사
2) 약속한 대로: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 오는 의존 명사
ㆍ만큼 : 1) 너만큼: 체언 뒤에 붙는 조사
2) 애쓴 만큼: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 오는 의존 명사
3) '용언 + 만큼, 만한'은 띄어 쓴다
예) 정화야, 페스티벌이란 노래 부를 만하니?
4) '체언 + 만큼, 만한'은 붙여 쓴다.
예) 너만큼 나도 노래 부를 수 있다.
ㆍ만 : 1)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 체언 뒤에서 한정의 뜻을 부여하는 조사
2) 떠난 지 사흘 만에 돌아왔다: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ㆍ지 : 1) 집이 큰지 작은지 모르겠다: 어미의 일부
2) 그가 떠난 지 열흘이 지났다: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용언의 ㄴ받침 + 지' 띄어 쓴다)
ㆍ(ㄴ)데 : 1) 얼굴은 이쁜데, 마음씨가 나쁘다: '그런데'의 의미를 지닌 어미의 일부
2) 얼굴에 이쁜 데가 없어: '곳, 경우'의 의미를 지닌 의존 명사
3) 다음 세 가지의 경우에는 띄어 쓴다
예 1) 높은 데가 어디냐? ( '곳'이나 '장소'를 나타낼 때)
예 2) 배 아픈 데는 이 약이 좋다. ( '상태, 처지, 경우'를 나타낼 때)
예 3) 노래 부르는 데도 소질이 있다. ( '것, 일'을 나타낼 때)
ㆍ수 : 1) 의존 명사로 '용언(동사, 형용사) + 수'일 경우에는 띄어 쓴다.
예) 너같이 어린 아이가 그런 힘든 일을 할 수 있겠니?
ㆍ것 : '용언(동사, 형용사) + 것'일 경우는 띄어 쓴다.
예) 이 공을 누가 찰 것인가?
ㆍ관형사 '같은'과 조사 '같이' : 1) '같은'은 관형사이므로 띄어 쓰고
예) 앵두 같은 네 입술
2) '같이'는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예) 달덩이같이 예쁘다.
ㆍ'안' 부정사는 띄어 쓴다
예) 그 일을 해서는 안 된다.
원고지 사용법 및 정서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