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 학습을 강화하기 위한 계획하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육 학습을 강화하기 위한 계획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계획하기의 필요성
(1) 제한된 실제 교수 시간
(2) 교수 환경
*표 2.1> 한 학년에 36주 동안, 매주의 수업일수에 따라 체육에서 이용 가능한 시간
*표 2.2> 이용 가능한 수업 시간의 양과 성취할 수 있는 목표들의 수
(3) 교사의 배경
(4) 아이들의 배경
(5) 담임교사들의 지원

2. 계획하기를 꺼리는 경향

3. 개별화된 계획하기
*표 2.3> 버지니아주 체육학습기준에서 정해진, 학년과 목적 영역에 대한 목표들의 개수

4. 구성 방식과 구성 요소 계획하기

5. 연중계획

6. 일간 계획

7. 추가적 수업 구성요소

8. 요약

9. 재고(반성)을 위한 질문들

*표 2.4> 5학년까지의 프로그램 계획의 예

본문내용

차이점은 무엇인가?
교사들이 배우는 학생들을 성실하게 도와주는데 초점을 맞출 때, 계획의 역할은 중대하다. 그것이 없다면 임의의 두서없는 수업이 된다. 학생들은 재미는 있겠지만, 교사가 그들을 돕기 위해 계획한 연속적인 진행의 결과만큼 학습하지는 못한다. 효과적인 계획이 없다면 불행하게도 수업은 학생들에게 장기적인 이익을 주기보다는 단지 재미있는 시간이 되기 쉽다.
9. 재고(반성)을 위한 질문들
1. 교사들이 계획이 없을 때 나타나는 결과는 무엇인가? 당신은 제한적이지 않거나 매우 뛰 어난 계획의 결과를 경험했던 명확한 예를 생각할 수 있는가?
2. 왜 교사들이 계획하기를 꺼려한다고 생각하는가? 그것이 숙제에 대한 보편적인 혐오와 어떠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3. Ⅰ단원에서 사용되는 계획하기에 대한 두 가지 유사점: 여행가기 전 지도와 교향악단으로 부터 수반되는 음악노트를 참고하는 것이다. 계획하는 것과 가르치는 것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네 스스로의 유추법을 창조하라.
4. 당신의 초등학교시절을 생각해보아라. 교사들은 학교에서 계획하는데 어떤 문맥적인 사실 들이 고려해야만 했나? (예를 들면, 나의 초등학교는 잔디밭 없이 오직 아스팔트였다.)
5. 완전히 진보적으로 시작하는 모든 교사들은, 일반적인 기간에 목적과 목표들을 기술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왜 당신은 이것이 사실이라고 생각하는가?
6. 각각의 수업을 위한 목표들은 이론적으로 연중계획과 결합되어, 최종 목표들에 기초한다. 당신이 생각하고 있는 하나의 최종 목표를 설명하는 것은, 초등학교를 떠남으로써 성취 되어지는 학생에게 매우 중요하다. 이 목표는 어떻게 각각의 연중계획에서 다르게 반영 되어졌는가? 현실적인 수업계획인가?
7. 이 단원의 목표나 목적의 일부로서 "배울 수 있는 부분들"이 한 차시 수업에서 배울 수 있음을 이 단원에서는 설명하고 있다. 운동 근육기술에 대한 5가지 배울 수 있는 부분들 은 보다 명확하게 말하면, 학생들이 실제적으로 몇 시간동안 배우는 기술인 것이다.
8. 단원의 마지막 부분은 많은 교사들이 그들의 수업계획을 통합하는 특성들을 설명하고 있 다. 왜 당신은 내가 당신이 따라할 수 있는 일인용 안내를 제공할 수 없다고 생각하나? 2.1과 2.2은 당신의 재고를 위한 어떤 흥미로운 식견을 제공해줄 것이다.
9. 만약 당신이 초보교사라면, 수업계획에 포함되는 전형적인 특징들을 곰곰이 생각해보고 당신이 생각하는 형태를 개발하는 것이 도움을 줄 것이다. 만약 경험 있는 교사라면, 당 신이 지금 계획하는 방법으로 구성할 것이다. 어떤 특성들이 당신에게 대체로 포함되고 또 대체되는가? 왜 그러한가?
표 2.4> 5학년까지의 프로그램 계획의 예
는 목표가 습득되는 시기를 표시한다. 이것은 그 목표가 오직 한 해 동안만 배우는 것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많은 목표들은 그것들이 숙달될 때까지 매해동안 배우게 될 것이고, 심지어는 숙달된 후에도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계속 될 것이다.
K-5 program plan
K 1 2 3 4 5
Locomotor
patterns
(운동 양식)
1.1 Run 달리기
1.2 Gallop 질주
1.3 Horizontal jump 멀리뛰기
1.4 Vertical jump 높이뛰기
1.5 Hop (right-left) 깡총뛰기(좌,우로)
1.6 Slide 미끄러지기
1.7 Skip 뛰어넘기
1.8 Leap 도약하기
Object control
(사물 통제)
2.1 Underhand roll 아래로 굴리기
2.2 Bounce/dribble 튀기기/드리블
2.3 Underhand throw 아래로 던지기
2.4 Overhand throw 머리 위로 던지기
2.5 Kick 발로차기
2.6 Punt 펀트하기
2.7 Two-hand sidearm strike (baseball)
두 손을 이용하여 옆으로 던져 스트라 이크하기 (야구)
2.8 Catch/field 공 잡기/공 처리하기
2.9 Underhand strike (volleyball serve)
아래로 치기 (배구 서브)
2.10 Chest pass (basketball)
가슴 높이의 패스 (농구)
2.11 Bounce pass (basketball)
튀기는 패스 (농구)
Physical
fitness
(신체적
적합성)
3.1 Knowledge 지식
3.2 Training concepts 개념훈련
3.3 Terminology 용어
3.4 Leg strength 다리 힘
3.5 Flexibility 유연성
3.6 Abdominal strength 복부 힘
3.7 Endurance 지구력
3.8 Arm and shoulder strength
팔과 어깨 힘
3.9 Agility 민첩성
3.10 Speed 스피드
Social
(사회적인 것)
4.1 Self-discipline(control) 자기단련(통제)
4.2 Cooperation 협동
4.3 Good sportsmanship
훌륭한 스포츠맨정신
4.4 Handling winning and losing
승리와 패배 다루기
4.5 Respect equipment and property
장비와 소유물 고려
Body
management
(신체 관리)
5.1 Nonlocomotor 비운동
5.2 Body awareness 신체인식
5.3 Spatial awareness 공간인식
5.4 Use of space 공간의 이용
5.5 Quality of movement 움직임의 특성
5.6 Relationship of body to other objects
다른 사물들과 신체의 관계
5.7 Basic dance patterns 기본적인 춤양식
5.8 Forward roll 앞 구르기
5.9 Rope jumping 줄넘기
Game and
sport skills
(게임과
스포츠 기능)
6.1 Follow directions 지시 따르기
6.2 Knowledge of safety and rules
안전과 규칙에 대한 지식
6.3 Member of team 팀의 일원
6.4 Participate in games and sports
게임과 스포츠에의 참여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12.2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4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