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의 기본개념2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3. 간호
1) 간호의 정의
2) 간호의 개념 변천
3) 간호이론에 나타난 간호개념
4) 간호사의 역할

4. 환경
1) 인간의 구조적, 물리적 환경 설명
2) 건강관리기관의 물리적 환경 요소
3) 건강관리기관의 물리적 환경 조성
4) 건강관리기관의 다양한 부서의 조직과 기능 설명
5) 건강관리기관의 입원절차 및 관련된 기록
6) 건강관리기관에 입원시 대상자에게 제공해야하는 정보
7) 입원한 대상자에 대한 심리적 간호 (psychological care)
8) 건강관리기관에서의 전동절차 및 관련된 기록
9) 퇴원대상자에게 필요한 교육내용
10) 건강관리기관에서의 퇴원절차 및 관련된 기록

본문내용

③ Health care 에 대한 대상자의 지불 방법을 결정.
④ 대상자의 권리를 설명.
⑤ 건강 관리 기관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실시.
⑥ 병원 특성에 따른 예비 검사와 검진을 실시.
⑦ 대상자에 따른 간호 계획 전개
⑧ 퇴원 계획을 시작.
7) 입원한 대상자에 대한 심리적 간호 (psychological care)
① 불안, 불쾌감, 감정적 혼돈과 흥분 예방
침착성, 신뢰성 있는 태도, 개인의 비밀 보장.
치료절차에 대한 친절한 설명, 병상 생활에 대한 격려.
② 환자의 감정은 예민해지므로 용기와 희망을 주는 것이 중요
8) 건강관리기관에서의 전동절차 및 관련된 기록
① 입원환자의 요청 or 다른 사정에 의하여
- 해당과장의 허가를 얻어 전동 통지서를 원무담당계에 제출.
② 원무담당은 담당의사의 소견서를 첨부한 입원(퇴원·중간) 진료비 계산서와 수입일계표에 의한 진료의뢰서를 발급하여 당해 요양취급기관에 이송.
③ 전과 절차 : 입원환자를 전과시키고자 할 때, 전과 통지서를 상대과에 회부.
전과 통지서를 받은 해당자는 이를 검토한 후에 전과절차를 취함.
④ 인계할 사항
·진단 및 주호소(chief complaint)
·건강력(health history) : 현 병력, 과거력, 가족력
·알레르기
·대상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점검, 간호계획 점검(퇴원계획 포함)
·의사처방, 약물 복용과 처치에 대한 점검.
·대상자에게 시행한 진단적 검사 및 그 결과 점검.
9) 퇴원대상자에게 필요한 교육내용
① 대상자와 가족이 진단, 예상하고 있는 기능수준
② 퇴원 약품과 치료, 예상되는 추후 의료 관리, 응급 시 나타나는 반응을 이해.
③ 퇴원 후 적절한 간호를 보장하기 위한 전문화된 교육 제공.
④ 대상자의 변화된 건강상태에 잘 대처.
⑤ 대상자의 배치전환 및 지지체계를 조정, 다른 건강관리 기관에 대한 의뢰 수행.
10) 건강관리기관에서의 퇴원절차 및 관련된 기록
① 퇴원결정 : 통상적으로 담당의사가 퇴원 1일전에 예고.
② 퇴원수속(원무부) : 퇴원계산 후 병실로 연락, 진료비 청구서 교부, 진료비 수납/퇴원증 발행.
③ 퇴원지도 : 퇴원 수속 완료증을 병동 간호사에게 제출, 퇴원약 지급 및 주의사항 설명, 외래 진료안내
④ 기타
·기록지에 기록내용 및 서명 확인.
·모든 서류를 퇴원계로 보냄.( 의무기록실로 보내짐.)
·대상자의 이름을 대상자 명단과 식단에서 삭제.
·다음 대상자를 위한 침구류 정리.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2.26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5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