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한국인의 색채의식

3. 다른 민족의 방위색

☞ 해당 자료는 한글2002로 작성이 되어있습니다
다운받으시는 회원님 컴퓨터에 한글2002프로그램이 설치가 되어있어야 정상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여러 민족들이 저마다의 고유한 사상에서 비롯된 방위색을 가지고 있다. 거기에 관련된 사상적 배경이 오방색의 경우처럼 반드시 체계화된 철학적 근거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닐지라도 저마다의 관련된 신화 혹은 설화들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때로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색의 변화를 관찰하여 방위 색으로 인식하게 되었을 것이다.




티 벳
중 국
아일랜드
마야족
나바호족
호피족
▲세계 여러 민족들의 방위색
그리고 이들 방위 색에서 주목해야 할 사실은 각 민족들 간의 방위색이 그 구성에 있어서 대동소이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속하는 빨강, 노랑, 파랑의 3색은 지금의 색채학에서 말하는 3원색과 결과 적으로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며, 그 기원이 과학적이고 논리적이지는 않지만 인류의 자연에 대한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얻어진 결과라고 생각된다.
이를 통하여 한국, 중국, 일본의 3국을 중심으로 하는 음양오행에 의한 방위 색은 인류의 보편적인 방위색의 구성과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다만 한국의 경우는 일관된 사상체계에 따라 그것이 생활 전반에 걸쳐 오랫동안 철저하게 반영되어 왔다는 점에서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2.29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